• Title/Summary/Keyword: Thoughts of Suicid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폭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who have been Bullied)

  • 김지인;부윤정;이지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9-9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adolescents who had been bullied.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extracted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4. The data of 1,926 adolescents, in total,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done using SPSS/WIN. Results: The adolescents with an experience of being bullied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than the average teenagers in Korea. In addition, suicidal thoughts were affected by gender, experience of habitual drug use, subjective happiness, as well as sadness and despair. Suicidal attempts were influenced by gender, grade, smoking experience, experience of habitual drug use, size of the city of residence, subjective happiness, sadness and hopelessness, existence of people to get counseling, and habit of walking for 10 minutes every day. Conclusion: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suicidal risk of adolescents having experienced violen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targeting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nd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 조계화;김영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6-18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9 Korean elders living in three different province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through December, 2007.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health state, sleep state, economic state, feeling of loneliness, feeling of abuse, and having friends or neighbors. Suicidal thoughts correlated less with the above factors than depression did. Depressio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life satisfaction, loneliness and suicidal thought. Suicidal thought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depression, health state, and economic state. Conclu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reducing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the health state of Korean elders as well as to relieve their feelings of loneliness.

청소년의 흡연, 음주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th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 김현옥;전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7-22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Method: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092 randomly sampled third-yea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N-City and the L-Kun area in Ch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anonymous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5.0 Program. Result: The smoking rate in the adolescents was 10.1%, and the drinking rate was 43.2%. The stress recognition rate in normal daily life was 45.5%, the frequency of depressive symptoms was 33.2% and 40.0%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anted to die at some point within the past year. The rate of stress recognition,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uicidal planning and attempt in smokers and drinkers was higher than that in non-smokers and non-drinkers (p<.05). Especially, the frequency of suicidal thoughts was higher in the drinkers than in the non-drinkers (p<.05). Conclusion: The smoking and drinking status of the adolescents was correlated with their mental health a sit relates to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Therefore,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n adolescents and improve their mental health status.

  • PDF

노인들의 걷기 운동과 건강관련 변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 최연희;이춘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using KNHNES data. Method: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1437 adults over age 65,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type of walking exercise: regular walking exercise group or irregular walking exercise group. The study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cale physiological function, ment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data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factors related to regular walking exercise were male (OR=0.628, 95%CI=0.503-0.783), subjective health state (OR=0.832, 95%CI=0.751-0.921), thoughts of suicide (OR=0.753, 95%CI=0.586-0.967), hypoHDL-cholesterolemia (OR=0.742, 95%CI=0.591-0.930), and stroke (OR=0.604, 95%CI=0.366-0.997).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is related to physiological function, mental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 Therefore, providing for the education and awareness of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will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성인 초기의 아토피피부염이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opic Dermatitis on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in Young Adult)

  • 김지영;양영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4-51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opic dermatitis on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in young adult. Methods: Data are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2013, 2015) in a sample of 2,983 respondents aged 19 to 39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x^2$ test, Complex sample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18.0 software. Results: Firstly,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re gender, education level, smoking, self-reported health status, asthma, depression and stress perception. Factors affecting suicidal plan are education level, self-reported health status, asthma and depression. Lastly, factors affecting suicidal attempt are gender, education level, smoking, self-report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tress perception. Compared to non-atopic group,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plan of atopic group increased from odds ratio 2.14 to 2.48 and 1.90 to 2.50, respectively. Odds ratio for suicidal attempt was odds ratio 2.69 (10% error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atopic dermatitis in young adult affects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topic patients who have suicidal thoughts and plans and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and manage suicide in young adult.

우울증 대상자의 정신 상담 경험 여부 예측 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Psychiatric Counseling for Depression among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 한명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5-135
    • /
    • 2023
  • Purpose: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and by 2030, it is expected to pose a severe social and economic burden. Reports suggest that approximately 30% of subjec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do not attempt treatment. Therefore, pred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who have not even attempted counseling treatmen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for such treatment. This study intends to predict the participation rate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treatment for depression among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decision tree to design a model that predicted participation in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depres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aged 65 to 74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explanations of medical staff even though they did not have cognitive impairment. Only 11.1% of this group received psychological counseling, which was the lowest rate among the various age groups. Among the subjects, 62.4% of those aged 19-44 or 45-64, who had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ed suicide, receive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his was the highest rate among the age groups surveyed. Conclusion: The identification of people showing depressive symptoms is crucial for encouraging them to undertake treatment. Also, proper depression-oriented medical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people with depressive symptoms who exhibit a blind spot towards attempting treatment.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The Method and Meaning of the Archiving Project of Suicide Survivors)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59호
    • /
    • pp.207-275
    • /
    • 2019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유족지원팀)와 자살유족 기록작업을 같이 했다. 자살유족지원팀은 자살유족의 심리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을 운영하고 있었다. 자조모임은 자살유족들이 모여 앉아 대화를 나누며 고통을 나누는 자리이다. 자조모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자 모임에서 리더역할을 수행하는 성원들이 생겼다. 이들이 모여서 글을 쓰는 에세이 모임을 구성했다. 아들을 먼저 보낸 아버지(2명), 딸을 먼저 보낸 엄마(2명), 아들을 먼저 보낸 엄마(1명), 남편을 먼저 보낸 아내(1명). 이렇게 6명의 사람들이었다. 에세이 모임은 사직공원 앞에 자리를 잡은 한 공간에서 매주 만났다. 한쪽 벽면 전체를 차지하는 창문으로는 저녁이 들어오고 있었다. 낮에 있었던 일들은 지는 해를 따라 갔다. 10명(에세이 모임 6명, 자살유족지원팀 3명, 임상역사가 1명)이 탁자를 가운데 두고는 빙 둘러 앉았다. "자,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자살유족 기록작업은 2013~2014년에 있었다. 교육적으로 중요하고 특수한 환자의 임상사례를 학회, 잡지에 보고하는 것을 의학에서는 증례(證例. case report)라고 한다. 자살유족들과 같이 했던 기록작업을 증례로 소개하는 형식을 취해 정리했다. 증례 형식을 취한 것은 기록을 말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말해야 하고, 인간을 말하기 위해서는 기록에 대해 말해야 하는 '인간과 기록의 상관성'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자살유족 기록작업에 대한 글이 이런 상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몇 년의 시간이 지났다. 당시 상황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거리가 확보되었을까? 그건 자신할 수 없지만, 작업의 과정과 방법을 서술하면서 '일상의 기록생산'에 대해 말해본다. 나아가 기록과 기록의 의미(인간)에 관한 몇 가지 단상을 말해본다. 1장에서는 기록의 출처를 다루었다. 그것은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기록하는가 하는 것이다. 기록이 무엇인가 보다는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앞서야 할 것 같다. 2장은 기록하는 형식에 관한 논의로 무엇을 위해 기록하는가, 무엇을 기록화 대상으로 삼는가, 어떤 기록형식이 필요한가 하는 것을 다뤘다. 3장과 4장은 일종의 기록방법론일 수 있는데, 3장에서는 쓰기, 4장에서는 대화를 다뤘다. 5장에서는 기록을 수용하는 의례를 다뤘다. 3개월이든 1년이든 자신이 기록했던 시간을 어떻게 수용하며 그 의미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6장에서는 논의의 지평을 넓혀 일상의 기록생산, 일상적 아카이브를 다뤘다.

한국 성인 자살관념자의 자살시도 연관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Attempt among Suicidal Ideators of Korean Adults)

  • 최윤철;김현석;이상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27-136
    • /
    • 2022
  • 연구목적 자살관념이 있는 한국성인에서 자살시도와 연관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질병관리청에서 매년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자살행동을 조사한 2015, 2017, 2019년도 결과를 분석하였고,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살관념자를 자살시도군(n=92)과 비자살시도군(n=831)으로 나누었고, 복합표본 교차분석으로 두 군의 사회인구학적, 정신의학적,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자살관념자에서 자살시도와 연관된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 과 자살관념자 중 자살시도군에서는 비자살시도군에 비해 우울증 진단 병력, 자살시도 전 정신의학적 상담 경험, 자살계획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1). 또한 두 군은 소득 수준, 폭음 빈도, 흡연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변량 분석 모형(Adjusted model)에서 자살계획이 있는 경우(Odds ratio [OR]=8.46, 95% Confidential Intervals [CI]=4.72-15.00), 매일 폭음을 하는 경우(OR=3.14, 95% CI=1.26-7.84), 최근 1년 동안 정신의학적 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OR=3.03, 95% CI=1.75-5.23), 소득 수준이 낮은 경우(OR=2.89, 95% CI=1.17-7.10), 평생 우울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경우(OR=2.39, 95% CI=1.29-4.42)가 자살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우리나라 일반인구의 자살관념자에서 사회인구학적, 정신의학적, 임상적 변수 모두에 걸쳐서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이 나타났다. 자살관념이 있는 환자들에서 자살계획, 문제음주, 소득수준, 우울증 병력 등을 평가하고 개입하는 것이 자살시도로의 이환을 방지해 줄 가능성이 있다.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6가지 박탈 유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lderly's Socio-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 강동훈;김윤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271-290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박탈 경험이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차이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을 받지 못했던 경험, 근로능력이 있으나 실업 상태였던 경험, 경제적 어려움으로 균형 있는 식사를 할 수 없었던 경험, 먹을 것이 떨어졌는데도 더 살 돈이 없었던 경험 등의 순으로 박탈 빈도가 높았다. 둘째, 배우자가 없는 경우,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돈이 없어서 본인이나 가족이 병원에 갈수 없었던 경험, 2달 이상 집세가 밀렸거나 집세를 낼 수 없어 집을 옮긴 경험, 먹을 것을 살 돈이 없어 균형 있는 식사를 할 수 없었던 경험, 공과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못한 경험, 근로능력이 있으나 직업을 갖지 못한 경험,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먹을 것이 떨어졌는데도 더 살 돈이 없었던 경험 등이 노인의 자살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의료급여 사례관리 확대, 노인 주거급여 및 정주 여건 개선, 노인 식생활실태 조사 강화, 노인 공과금 지원 방안 확대 등의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 -룸살롱과 바 여성종업원 태도 비교조사- (Korean Hostess' Attitudes toward Death and its Effects on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stess Working at the Room Salon and Bar-)

  • 김유리;한흥식;제민지;천경주;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07-521
    • /
    • 2017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룸살롱/바)을 대상으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120명의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죽음해방인식,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죽음생각빈도, 자살충동억제의지로 구분된다. 결과: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은 '월수입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자살충동억제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룸살롱 여성들의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과 '월수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죽음해방인식' 요인만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월수입 만족도'가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에 관한 생각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개인이 가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하지 않게끔 도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