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ic neoplasms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초

폐절제술을 받은 폐암환자의 영양섭취 상태와 수술 후 폐합병증 (Nutritional Intake and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mong Lung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 이선혜;이해정;현수경;이미순;김도형;김영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1-21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lung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the nutritional intake and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s in the nutritional intake after surgery were related to pulmonary complications. Data of a total of 8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nutritional intake status was confirmed using a 24-hour dietary recall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26.0 program and word clouds were generated using the R software program. Results: Overall, a decrease in the postoperative nutritional intake was observed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except for the intake of fat. The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BMI and the presence of comorbidity. Twenty-three out of 74 patients with vitamin E levels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developed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surgery. Conclusion: Lung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generally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appropriate nutritional intake and need balanced nutritional management. Future investigations on the impact of increased vitamin E intake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may provide bett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E intake and pulmonary complication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Factors Affecting Blood Loss During Thoracoscopic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rcinoma

  • Urabe, Masayuki;Ohkura, Yu;Haruta, Shusuke;Ueno, Masaki;Udagawa, Harush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66-472
    • /
    • 2021
  • Background: Major intraoperative hemorrhage reportedly predicts unfavorable survival outcomes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esophageal carcinoma (EC). However, the factors predicting the amount of blood lost during thoracoscopic esophagectomy have yet to be sufficiently studied. We sought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xcessive blood loss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for EC. Methods: Using simpl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 performed retrospective analyse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clinicopathological/surgical factors and estimated hemorrhagic volume in 168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VATS-type esophagectomy for EC. Results: The median blood loss amount was 225 mL (interquartile range, 126-380 mL). Abdominal laparotomy (p<0.001), thoracic duct resection (p=0.014), and division of the azygos arch (p<0.00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volumes of blood loss. Body mass index and operative duration, as continuous variables, were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blood loss volume in simple linear regressi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prolonged operative duration (p<0.001), open laparotomy approach (p=0.003), azygos arch division (p=0.005), and high body mass index (p=0.014)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higher hemorrhage amounts during VATS esophagectomy. Conclusion: As well as body mass index, operation-related factors such as operative duration, open laparotomy, and division of the azygos arch were independently predictive of estimated blood loss during VATS esophagectomy for EC. Laparoscopic abdominal procedures and azygos arch preservation might be minimally invasive options that would potentially reduce intraoperative hemorrhage, although oncological radicality remains an important consideration.

Esophageal Leiomyoma: Radiologic Findings in 12 Patients

  • Po Song Yang;Kyung Soo Lee;Soon Jin Lee;Tae Sung Kim;In-Wook Choo;Young Mog Shim;Kwhanmien Kim;Yookyu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권3호
    • /
    • pp.132-137
    • /
    • 2001
  • Objective: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radiologic findings of esophageal leiomy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chest radiographic (n = 12), esophagographic (n = 12), CT (n = 12), and MR (n = 1) findings of surgically proven esophageal leiomyomas in 12 consecutive patients [ten men and two women aged 34 - 47 (mean, 39) yea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tumors, surgical specimens of which ranged from 9 to 90 mm in diameter, were located in the upper (n = 1), middle (n = 5), or lower esophagus (n = 6). In ten of the 12 patients, chest radiography revealed the tumors as mediastinal masses. Esophagography showed them as eccentric, smoothly elevated filling defects in 11 patients and a multilobulated encircling filling defect in one. In 11 of the 12 patients, enhanced CT scans revealed a smooth (n = 9) or lobulated (n = 2) tumor margin, and attenuation was homogeneously low (n = 7) or iso (n = 4). In one patient, the tumor signal seen on T2-weighted MR images was slightly high. Conclusion: Esophageal leiomyomas, located mainly in the middle or distal esophagus, are consistently shown by esophagography to be mainly eccentrically elevated filling defects and at CT, lesions showing homogeneous low or isoattenuation are demonstrated.

  • PDF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분석 (Long-term Survival Analysis of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

  • 이승현;김용희;문혜원;김동관;김종욱;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06-110
    • /
    • 2006
  • 배경: 기관세지페포암종은 흔치않은 폐암으로 $2{\~}14\%$의 유병률을 보인다. WHO의 분류에 따르면 일종의 선암으로 분류되며 최근의 정의에 의하면 흉강내 일차 원발성 선암병변이 없어야 하며, 중심기관지내의 원발병변이 없고, 말초기관에 국한되어야 하며 폐간질의 침범이 없고 암종의 실장이 폐포격막을 따라서 성장해야 한다. 또한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폐암보다 술 후 생존율이 좋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기관세지폐포암의 장기결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199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술 후 기관세지폐포암으로 병리 진단을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발생부위, 조직학적 병기, 술 후 부작용, 술 후 재발여부, 술 후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여부와 술 후 생존여부를 의무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61.09$\pm$10.63세($31{\~}79$세)이고 남녀의 성비는 12 : 19였다. 발병부위는 우상엽 7예, 우중엽 1예, 우하엽 4예, 좌상엽 8예, 좌하엽 11예였다. 수술은 엽절제술 28예, 전폐절제술 2예였고, 술 후 병리학적병기는 TIN0M0 (stage Ia) 12예($38.70\%$), T2N0M0 (stage Ib) 15예($48.38\%$), T1N1M0 (stageIIa) 1예($3.22\%$), T1N1M0 (stageIIb) 1예($3.22\%$), T2N2M0 (stage IIIa) 1예 ($3.22\%$), T1N0M1 (stage IV) 1예($3.22\%$)였다. 술 후 경과 추적 중에 사망은 4예($12.90\%$)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퇴원하였다가 2개월 후에 재발 없이 전신상태 악화에 의한 사망이었고, 한 명(T2N2M0, stage IIIa)은 술 후 29개월째에 우측 늑골 전이로 항암화학요법 중에 사망하였다. 한 명(T1N1M0, stage IIa)은 술후 항암화학요법 중 34개월에 뇌전이가 있었으나 치료거부 후 퇴원하였다가 사망하였다. 한 명(T1N0M0, stage Ib)은 술 후 방사선요법 중에 21개월 째에 양측폐에 다발성 결절을 보이는 전이로 치료 중 사망하였다. 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50.87$\pm$24.77개월이었다. 전체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3년에 $97.1\%$, 5년에 $83.7\%$였다. 병기1기 환자의 경우 2년에 $96.3\%$, 5년에 $96.3\%$로 나왔다. 전체 환자의 재발 없는 생존율을 분석해보면 1년에 $100\%$, 2년에 $90\%$, 5년에 $76\%$이고 병기 1기의 경우 2년에 $96.4\%$, 5년에 $90.6\%$였다. 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7명으로 $22.58\%$이고, 술 후 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1명으로 $3.22\%$, 2가지 모두 시행한 환자는 2명으로 $6.45\%$였다. 재발부위는 폐전이 3예, 골전이가 1예, 뇌전이가 1예였다. 결론: 기관세지폐포암은 동일병기의 다른 비소세포암보다 수술 절제 후에 비교적 재발률이 적고 병기가 초기인 경우 생존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냉동침을 이용한 폐 냉동수술의 동물실험: 냉동수술 방법의 비교 실험 (Cryosurgery of Lung with 2.4 mm Cryoprobe: An Experimental in vivo Study of the Cryosurgery in Canine Model)

  • 김광택;정봉규;이성호;조종호;손호성;방영호;선경;박성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20-526
    • /
    • 2006
  • 배경: 폐암치료에 있어 냉동수술은 저온에서 폐조직의 반응에 대한 연구 자료가 많지 않아 임상적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초저온에서 폐조직의 반응과 온도변화에 따른 폐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2마리의 잡견을 전신마취 후 5번째 늑간을 열어 폐를 노출시켰다. 2.4 mm 냉동침을 폐표면으로부터 20 mm 깊이로 폐조직으로 삽입하고 냉동침으로부터 5 mm 간격으로 온도센서(T1-4)를 삽입하였다. 실험견을 A군(n=8)과 B군(n=4)으로 나누어 A군은 20분간 $-120^{\circ}C$로 냉동한 후 5분간 해동하였다가 다시 20분간 냉동하였으며, B군에서는 40분간 해동과정 없이 $-120^{\circ}C$로 냉동하였다. 냉동수술 후 1일째 폐조직을 적출하였으며 A군 중 4마리는 지연된 조직반응을 보기 위해 7주일째 폐조직을 적출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하였다. 결과: A군에서 일차 냉동 시 T1과 T2의 온도가 각각 $4.1{\pm}11^{\circ}C$$31{\pm}5^{\circ}C$로 떨어졌으며 이차 냉동 시 온도는 더욱 하강하였다: T1 $-56.4{\pm}9.7^{\circ}C,\;T2\;18.4{\pm}14.2^{\circ}C,\;T3\;18.5{\pm}9.4^{\circ}C\;and\;T4\;35.9{\pm}2.9^{\circ}C$. 일차 냉동시기와 이차냉동 시의 온도-거리 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온도-거리 관계가 곡선에서 선형으로 변화했다. B군에서는 온도센서의 온도가 감소하였으며 냉동 40분 동안 변화 없었다. A군에서 광학현미경상 지름 $18.6{\pm}6.4mm$의 출혈성 괴사의 소견을 볼 수 있었다. B군에서의 괴사부위 지름은 $14{\pm}3mm$였다. 괴사된 부위에서 살아 있는 세포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냉동 후 해동과정은 폐조직의 전도율을 변화시키며 이는 이차 냉동 시 폐조직의 온도를 더욱 떨어뜨리고 세포파괴의 범위를 넓힌다.

식도암에 있어서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 후 문합 위치와 방법에 따른 문합 부위 누출과 협착 (Anastomotic Leakage and Stricture Relating to Anastomotic Level and Methods in Esophage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Esophageal Cancer)

  • 신홍주;김종욱;박순익;김용희;김동관;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08-213
    • /
    • 2006
  • 배경: 식도암 수술에 있어서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은 문합 방법이나 위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식도암으로 식도절제 및 식도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문합 방법 및 위치와 누출 또는 협착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식도암으로 식도재건술을 시행 받은 3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합 방법, 문합 위치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64.5$\pm$4.9세(37${\~}$94세)였고, 성비는 남자 3001 명($93.5\%$), 여자 21명($6.5\%$)이었다. 결과: 문합부위의 누출은 7예($2.2\%$)에서 발생하였다.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3예($4.1\%$), 흉부 문합에서 4예($1.6\%$)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문합 방법은 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4예($1.6\%$), semi-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3예($9.1\%$), 수봉합한 경우는 0예($0.0\%$)로 문합 방법에 따른 누출의 차이가 없었다. 문합 부위의 협착은 52예($16.2\%$)에서 발생하였고,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2예($2.7\%$), 흉부 문합에서 50예($20.2\%$)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1). 문합 방법별로는 stapler봉합이 49예($20.0\%$), semi-stapler봉합 1예($3.0\%$), 수봉합 2예($4.7\%$)로 stapler 봉합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식도암 환자의 식도재건술에 있어서 문합방법은 문합 부위 누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문합 부위의 협착과 관련하여 stapler 봉합은 semi-stapler 봉합 및 수봉합보다 높은 빈도로 협착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stapler 문합시 협착을 줄이기 위해서는 문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연기흉에 동반된 폐암의 수술치험 1예 (Lung Cancer Presenting as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승훈;안용찬;한정호;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35-538
    • /
    • 2003
  • 자발성기흉이 원발성 폐암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원발성 폐암의 초발 소견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더욱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폐암 환자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폐암에 동반된 자발성 기흉에 대한 논문이 드물게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의 폐암은 진행된 경우가 많아 페종양을 절제하게 되는 경우는 드물고 고식적 치료 즉 자발성 기흉의 페쇄성흉관삽관술, 항암요법, 방사선요법이 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최근 단순한 자연 기흉의 진단하에 기포절제술과 늑막유착술을 시행한 후 검체의 조직학적 검사상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되어 즉시 근치적 절제술 및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나 6개월 내 국소 재발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환자의 추적관찰 후 상태와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피하전이를 일으킨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ssociation with Subcutaneous Metastasis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 이해영;조성호;변정훈;김종인;박진경;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25-1028
    • /
    • 2004
  •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은 조직학적으로는 혈관내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나 임상적으로는 전이와 재발을 보이는 매우 드문 악성종양 중의 하나이다. 무증상의 좌하엽 폐암으로 진단받은 29세의 남자에서 좌하엽 폐절제술, 좌상엽 페 쐐기 절제술, 횡격막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좌하엽 폐의 병변에서는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 확진되었으나 좌상엽 폐와 횡격막의 병변은 유상피 혈관내피종이 자연 관해되어 석회화만 남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10개월과 19개월 두 차례에 걸쳐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부터 피하 전이를 일으킨 환자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자발성 혈흉을 동반한 후종격동 신경섬유초종 (Spontaneous Hemothorax in a Patient with Posterior Mediastinal Neurilemmoma -A case report-)

  • 김혁;양주민;정기천;김영학;강정호;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19-1021
    • /
    • 2004
  • 신경종은 후종격동 종양의 흔한 형태이며 주로 증상 없이 단순흉부촬영상 우연히 발견되거나 흉통이나 요통 등의 신경압박증상이나 기관지를 압박하여 나타나는 증상 등에 의해 발현되기 쉽다. 하지만 본 증례와 같이 자발성 혈흉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환자는 45세 남자로 갑자기 생긴 흉통 및 호흡곤란을 증상으로 타 병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흉부촬영상 우측 늑막삼출이 의심되어 폐쇄성 흉관삽입술 후 혈흉으로 진단되었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후종격동 종양 소견 보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전원 후 시행한 흉추 자기공명영상촬영상 아령모양의 신경종 의심되어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고 병리조직검사상 신경섬유초종으로 판명되었다.

폐의 원발성 암육종 -1례 보고- (Primary Pul monary Carcinosarcorna -A case of report-)

  • 안상구;김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36-1039
    • /
    • 1996
  • 폐의 암육종은 상피조직과 간염조직이 혼재하는 악성종양으로 전체 폐종양의 0.3%에 불과한 매우 희귀한 종양이며 흡연과 깊은 관계가 있는 질환이다. 폐에서의 위치에 따라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endobronchial type과 빠른 원격전이로 예후가 불량한 solid parenchymal type으로 분류된다. 비침습적 진단방법으론 발견이 어렵고 생검에 의해 종종 발견된다. 폐문과 종격동으로 전이를 잘하며 광범위 절제가 치료의 기본이고 항암제 요법을 병용하기도 한다. 암육종의 예후는 매우 불랑하여 술후 평균생존 기간은 9개월 정도이고 2년까지 생존율은 10% 미만인것으로 보고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