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7초

Design of Multipurpose Phantom for External Audit on Radiotherapy

  • Lim, Sangwook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2권4호
    • /
    • pp.122-12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multipurpose dose verification phantom for external audits to secure safe and optimal radiation therapy.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LiF powder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therapeutic radiation dose assurance project. The newly designed multipurpose phantom (MPP) consists of a container filled with water, a TLD holder, and two water-pressing covers. The size of the phantom was designed to be sufficient (30×30×30 cm3). The water container was filled with water and pressed with the cover for normal incidence to be fixed. The surface of the MPP was devised to maintain the same distance from the source at all times, even in the case of oblique incidence regardless of the water level. The MPP was irradiated with 6, 10, and 15 MV photon beams from Varian Linear Accelerator and measured by a 1.25 cm3 ionization chamber to get the correction factors. Monte Carlo (MC) simulation was also used to compare the measurements. Results: The result obtained by MC had a relatively high uncertainty of 1% at the dosimetry point, but it showed a correction factor value of 1.3% at the 5 cm point. The energy dependence was large at 6 MV and small at 15 MV. Various dosimetric parameters for external audits can be performed within an hour. Conclusions: The results allow an objective comparison of the quality assurance (QA) of individual hospitals. Therefore, this can be employed for external audits or QA systems in radiation therapy institutions.

Mg2SiO4 열형광체의 소결공정과 자외선 선량에 대한 TL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The Sintering Process and The Thermoluminescence Properties of UV Dose about The Mg2SiO4 Thermoluminescent Phosphors)

  • 김영국;손인호;김일홍;송재흥;도시홍;강희동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870-874
    • /
    • 2002
  • $Mg_2$$SiO_4$: Dy, Tb pellets were made by using a sintering process, including pressing and heat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optimum parameters of the sintering for the $Mg_2$$SiO_4$: Dy, Tb pellets obtained such as the pressing pressure,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sintering time were in terms of thermoluminescenc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peak of the glow curve for $Mg_2$$SiO_4$: Dy, Tb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was clearly correlated with the energy of the UV and with the grain size. The intensity of the TL glow curve increased and its main peak position shifted to lower temperature with increasing UV irradiation time.

MOSFET 선량계를 이용한 In-vivo 선량의 확인 (In-vivo Dose verification using MOSFET dosimeter)

  • 강대규;이광만
    • 센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2-105
    • /
    • 2006
  • In-vivo dosimetry is an essential tool of quality assurance programs in radiotherapy.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s to verify dose are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 and diode detectors.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has been recently proposed for using in radiation therapy with many advantages. The reproducibility, linearity, isotropy, dose rate dependence of the MOSFET dosimeter were studied and its availability was verified. Consequent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rapeutic planning procedure and minimize treatment errors in radiotherapy.

신형 TL 선량계인 $CaSO_4:Dy,P$를 이용한 Hp(10) 측정용 배지의 필터체계 설계 (Design of a Badge Filter System for Measurement of Hp(10) with the New Type of TL Dosimeter $CaSO_4:Dy,P$)

  • 김현기;권정완;이재기;김장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03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CaSO_4:Dy,P$를 이용하여 ICRU에서 권고하는 Hp(10)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SO_4:Dy,P$는 광자에 내하여 높은 에너지 의존성을 지니므로 Hp(10) 평가를 위해서는 필터물질을 이용하여 모든 에너지에 대하여 반응도를 적절히 보상하여야 한다. ISO에서 권고하는 열형광선량계의 성능요건을 만족하는 필터설계를 위해 몬테칼로 코드를 이용한 이론적 계산과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완성된 필터 하에서 $CaSO_4:Dy,P$ 소자는 $20{\sim}662keV$에 이르는 광자 에너지 범위에서 $0.75{\sim}1.0$의 상대반응도를 보였다. 특히 직경이 큰 후방필터를 설계함으로써 전방필터의 두께를 감소하고 필터 조합을 단순화하였으며 테이퍼를 도입하여 선량계의 방향의존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었다.

열형광선량계에 의한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Evaluation of the Dose with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 송명재;김희근;하정우;이태영;윤석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13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ANSI N13. 11-1983의 시험기준에서 제시한 개인선량계의 선량평가 시험범주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선량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있다. 알고리즘 개발 대상 개인선량계로는 Teledyne Isotopes사의 PB-3 열형광선량계로 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미국 Atlan-Tech사와의 2차례의 검증결과, 본 알고리즘은 ANSI N13. 11-1983의 선량평가 범주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rmally assisted IRSL and VSL measurements of display glass from mobile phones for retrospective dosimetry

  • Discher, Michael;Kim, Hyoungtaek;Lee, Jungi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429-436
    • /
    • 2022
  • Investigations of retrospective dosimetry have shown that components of mobile phones are suitable as emergency dosimeters in case of radiological incidents. For physical dosimetry, components can be read out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thermoluminescence (TL) and phototransferred thermoluminescence (PTTL) methods to determine the absorbed dose. This paper deals with a feasibility study of display glass from modern mobile phones that are measured by thermally assisted (Ta)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Violet (VSL, 405 nm) and infrared (IRSL, 850 nm) LEDs were used for optical stimulation and two protocols (Ta-VSL and Ta-IRSL) were tested. The aim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luminescence properties, compare the results to blue stimulated Ta-BSL protocol (458 nm) and to develop a robust measurement protocol for the usage as an emergency dosimeter after an incident with ionizing radiation. First, the native signals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zero dose signal. Next, the reproducibility and dose response of the luminescence signals were analyzed. Finally, the signal stability was tested after the storage of irradiat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In general, the developed Ta-IRSL and Ta-VSL protocols indicate usabil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test the potential of a new protocol for physical retrospective dosimetry.

유리선량계의 단계별 관전류량 변화에 따른 특성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Glass Dosimeter According to Graded Change of Tube Current)

  • 손진현;김성호;문현준;김륜균;손인화;김용준;민정환;김기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2호
    • /
    • pp.135-141
    • /
    • 2014
  • 개인의 피폭선량 측정에 사용되는 유리선량계 (Glass Dosimeter; GD)와 선량측정용 Piranha 반도체 선량계를 이용하여 진단방사선영역에서 사용하는 저에너지 X-선 영역에서 관전류량을 변화시켜 (5mAs, 10mAs, 16mAs, 20mAs, 25mAs, 32mAs의 저에너지 방사선) 측정하여 선량에 따른 선형성과 재현성, 그리고 지연시간에 따른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다기능 QA 측정기 (RTI Electronic, Sweden)인 Piranha 657의 external detector로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80 kVp, SSD 100 cm로 조사영역은 $10cm{\times}10cm$으로 하였으며 유리선량계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24개의 유리선량계들은 6 개의 그룹 (5mAs, 10mAs, 16mAs, 20mAs, 25mAs, 32mAs)로 나누고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저 에너지 영역에서 관전류를 변화시켜 선형성 및 재현성을 측정한 결과이며,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서 앞선 연구의 관전압 변화에 따른 특성과 같이 저 에너지 영역에서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방피폭선량계측이 가능한 TL 개인선량계의 설계 및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Design of a TL Personal Dosimeter Identifiable PA Exposure and Development of Its Dose Evaluation Algorithm)

  • 권정완;김현기;양정선;김장렬;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4
  • 인체의 전면에 착용하는 단일선량계는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작업자의 피폭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방사선이 인체의 후면에서 입사되는 경우 유효선량을 심각하게 저평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의 선행연구자들은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인체의 후면에 추가의 선량계를 착용하는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하는 선량평가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한 선량평가는 과대평가 내지 작업의 효율성 저하 및 비용부담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AP와 PA 방향으로 입사하는 방사선에 대하여 두 개의 TL 소자가 서로 상반되는 반응도를 보이도록 필터를 설계함으로써 단일선량계 사용의 결점을 보완하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빔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터를 몬테칼로 계산과 실험을 통해 도입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PA 입사에 대한 새로운 선량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광자의 유효에너지가 100keV이상으로 입사방사선의 인체투과율이 상당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정확히 후방입사가 아닌 기타 방향의 후방피폭의 경우에도 본 연구에서 수립된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진단방사선의 노출 조건에 따른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형광 선량계의 선량값 상대비 (Relative ratio about dose value of thermoluminescence and optical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according to exposed condition in diagnostic radiation)

  • 강영한;권순무;김부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99-505
    • /
    • 2012
  • 개인피폭선량계인 열형광선량계(TLD)와 광자극형광선량계(OSLD)를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사용할 때 에너지와 조사 횟수, 투시촬영 시간, 산란선 노출 일 수 등에 따라 측정값이 차이가 있는지를 상대비와 상대비 간격으로 알아보았다. 에너지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1.81{\pm}0.41$)가 OSLD의 상대비($1.40{\pm}0.26$)보다 높았고, 조사 횟수에 따라서는 TLD의 상대비($2.10{\pm}0.10$,)보다 OSLD의 상대비($2.33{\pm}0.09$)가 더 높았다. 투시촬영 시간에 따른 상대비와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는 두 선량계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선 노출일수에 따른 상대비의 간격이 0.2 이내로 나타나 직접선의 상대비 간격보다 좁았다. 이는 직접선의 측정결과보다 산란선의 측정에 있어 TLD와 OSLD의 결과값에 신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피폭상황에 따라 선량계 간에 상대비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선량계를 이용하여 교차평가를 함으로써 선량 측정 결과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Phosphorus-compound $CaSO_4$ : Dy(KCT-300) TL Pellets

  • Yang, Jeong-Seon;Kim, Doo-Young;Kim, Jang-Lyul;Lee, Jung-ll;Kim, Bong-Whan;Chang, Si-Young;Park, Jae-W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142-145
    • /
    • 2002
  • CaSO$_4$:Dy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 is widely used as a personal or environmental dosimeter because of its high sensitivity to radiation. There are many methods to make pellets from the TL phosphorss[l-5]. Sintered pellets were made from a mixture of CaSO$_4$:Dy phosphor and Teflon powder is the most common method. But this method has disadvantage that CaSO$_4$:Dy pellet does not have very high sensitivity because of large amounts of Teflon in Pellets. This Paper described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CaSO$_4$:Dy pellets by using P- compounds as a bonding material (KCT-300), and compared the TL sensitivity with that of the commercialized Teledyne CaSO$_4$: Dy pellets. Sensitivity of a new developed KCT-300 shows about 6 times than Teledyne ones, and can be used to measure very low radiation d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