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일부 대학생의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 (Morphology and Size of Clinical Crowns of Permanent Maxillary Molars in College Students)

  • 전은숙;이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85-296
    • /
    • 2010
  • 이 연구는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 및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 건강한 영구치열을 갖는 C보건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치관의 교두높이, 치관폭, 치관두께는 좌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2. 협면구의 강한 발육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우세함을 보였고, 협면소와는 우측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률을 보였다. 3. 4교두형은 좌 우측 제1대구치에서 100%, 좌 우측 제2대구치에서 각각 78%, 75%로 나타났다. 4. 4교두형일때 원심설측교두 크기는 좌, 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5. 교두정간 거리는 좌 우측 제1,2대구치 모두 근심 교두정간 거리가 컸다. 6. 카라벨리 교두의 발달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발육을 보였다. 7. 사주융선의 출현률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87.0%, 우측 제 2대구치에서는 73.0%의 출현율을 보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는 88.0%, 좌측 제2대구치에서는 73.0%로 이는 제1대구치에서 약한 치관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 때문인것으로 사료되었다. 8. 근심변연융선결절 출현율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원심부 결절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16.0%, 우측 제 2대구치에서 26.0%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 14.0%, 좌측 제2대구치에서 21.0%의 출현율을 보였다.

Anesthetic efficacies of buccal with palatal injection versus buccal with intra-septal injection in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s of pediatric patients

  • Areenoo, Peecharat;Manmontri, Chanika;Chaipattanawan, Nattakan;Chompu-inwai, Papimon;Khanijou, Manop;Kumchai, Thongnard;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4호
    • /
    • pp.239-254
    • /
    • 2022
  • The high success rate of dental treatment is dependent on the cooperation of pediatric patients during procedures. Dental treatment often causes pain, particularly in children. The factors in providing treatment to pediatric patients include th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tooth, profoundness of the anesthesia including the type of local anesthetic, and cooperation of the patient.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several techniques to successfully achieve profound pulpal anesthesia in maxillary permanent teeth. The dentist should select the injection technique to be used based on patient needs. In children, either buccal with palatal injections or buccal with intra-septal injections may be used to anesthetize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Buccal with palatal injections are commonly used prior to routine maxillary dental procedures. Currently,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the employment of buccal with intra-septal injections to anesthetiz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s in pediatric patients. This review will focus on efficacy of buccal with palatal versus buccal with intra-septal pulpal anesthesia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s in pediatric patients and aim to determine which technique should be used during routine dental procedures.

Molar-Incisor Malformation 환자의 유치열 내 전반적인 치수석 관찰의 증례 보고 (Generalized Pulp Stones of Primary Dentition in a Patient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 이동연;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7-343
    • /
    • 2020
  • Molar-incisor malformation(MIM)은 최근 발견된 새로운 형태의 root anomaly로 제1대구치 및 제2유구치의 짧거나 미약한 치근 발달과 협착된 치수강, 그리고 cemento-enamel junction 높이에 석회화물질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증례는 MIM 이환 환자에서 유치열 전반에 걸쳐 치수강 내를 거의 가득 채우고 있는 free pulp stone을 방사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발치된 환자의 하악 제1대구치와 상악 제2유구치를 대상으로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촬영 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을 시행하였다. Micro-CT 영상을 통해, 하악 제1대구치의 치관 외부로 연결된 부근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MIM 이환 치아에서 근관치료의 불량한 예후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dified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한 제 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TREATMENT OF PERMANENT FIRST MOLAR BY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 김영재;김종철;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1-775
    • /
    • 1997
  • Ectopic eruption is defined as abnormal eruption and results in malpositioned teeth and abnormal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Ectopic eruption, first reported by Chapman, occurs in 3% of the population and that mostly in the maxilla. Etiologic factors include narrow maxilla, large maxillary teeth, retarded calcification of the first molar, inclined eruption path of the first molar and retruded position of the maxilla. Impaction of the second molar is rare and occurs mostly in the mandible. Major causes are large teeth and insufficient arch length. Halterman has devised a method of distalizing a ectopically erupting first molar by cementing a band on the second deciduous molar with a hook soldered and a button bonded to the occlusal surface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Ectopically erupted posterior teeth should be treated early to maintain normal development of the dentition, harmony of facial growth and occlusal support, a failure to do so could result in severe malocclusion, periodontal damage and continued root resorption of the adjacent teeth.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is thus vital. The author is submitting this report as he has obtained favorable results in treating a patient who came to the SNUDH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mplaining of the first molar by using a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 PDF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ECTOPIC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 A CASE REPORT)

  • 소정원;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반재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0-135
    • /
    • 2010
  •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상악 제1대구치,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에서 발생하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흔히 제2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를 야기하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 및 회전, 제2소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 및 교합문제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소맹출로 진단될 경우 조기 치료가 추천된다. 이소맹출은 대개 통상적인 방사선검사를 통해 발견되나, 간혹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가 심할 경우 치수가 감염되어 동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소맹출의 치료는 제2유구치를 보존하면서 제1대구치의 맹출 방향을 바로 잡아 주는 것으로 크게 치간이개(interproximal wedging)와 원심경사이동(distal tipping)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증례들은 하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을 보이는 환아들로, Humphrey appliance와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영구대구치(永久大臼齒)의 교합면상(咬合面上)에 나타난 발육구(發育溝)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developmental grooves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permanent molars in Korea)

  • 이영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0
    • /
    • 1989
  • The development of the lobe pattern in the human dentition plays a part in the form and function of each individual teeth. In order to determin the morphological categories used to describe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s, the variation of the developmental grooves which separate each lobe in the molars was examined and analysed. The obtained conclusions were as follow. 1. Mos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with more distinct and more developmental grooves than the other molars but in most cases of the third molar, a heart-shaped outline due to poorly developed or abscent distolingual cusp was most frequent and in this case the third molar had the 3 cusps separated by the central developmental groove and the buccal developmental groove. 2. In most cases, the mandibular first molar had the 5-cusp type that the groove patter resembles a Y, the second molar the 4-cusp typ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buccal and lingual developmental grooves meet the central developmental groove at right angle on the occlusal surface and many instances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had the 5-cusp thpe with a+groove pattern which separatess the mesiolingual cusp from the distobuccal cusp and the 4-cusp type with a+groove pattern. 3.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hird molar were most variable in the developmental groove.

  • PDF

제 1대구치와 제 2유구치의 교합면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OCCLUSAL FEATURES OF FIRST PERMANENT MOLAR AND SECOND PRIMARY MOLAR)

  • 전소희;김재곤;양연미;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0
    • /
    • 2005
  • 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합면 형태를 분석하고자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 (남자 43명, 여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의 상, 하악 석고모형의 3차원 형상 data로부터 각 교두정간 거리, 교두정을 최소한의 오차로 지나는 평면과 교합면사이의 체적, 평면에서 교두정간 까지의 방향별 Section curve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형성된 표준평면과 각 교두정과의 거리에 관한 오차는 하악 제2유구치에서 남자 0.05-0.09mm, 여자 0.04-0.09mm로서 제일 작았다. 2. 각 교두정간의 거리는 하악 제2유구치와 제 1대구치 에서 남자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제2 유구치에서는 유의성이 존재하였다(p<0.05). 3. 남녀 모두에서 사주 교두거리를 제외하고, 상악 제2유구치는 원심 협측교두와 설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2유구치는 원심교두와 원심 설측교두 사이가, 상악 제1대구치는 근심 설측교두와 협측교두 사이가, 하악 제1대구치는 원심 설측교두와 근심 설측교두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4.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교합면 체적은 하악에서 크게 나타났고, 영구치가 1.40-1.75배 값을 보였으며(p<0.05), 남녀간에는 남자가 큰 값을 보이긴 하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대부분의 경우 유치열에서 보다 영구치열에서 section curve가 넓고 깊었으며 교두사이의 사선거리를 제외하고 상악의 경우 근심 협측과 설측교두 사이에서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으며 하악에서는 영구치열은 원심 협측과 원심교두사이 유치열은 원심 설측과 원심교두 사이에서 가장 깊은 section curve를 이루었다.

  • PDF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4
    • /
    • 2008
  •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 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 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 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 PDF

한국인아동에 있어서 상악제일대구치의 Carabelli's 결절에 관한 통계학적연구 (STATISTICAL STUDY ON THE CARABELLI'S TUBERCLE OF UPPER FIRST MOLAR IN KOREAN CHILDREN)

  • 김성용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0권11호
    • /
    • pp.731-733
    • /
    • 1972
  • Occurence of different forms of Carabelli's cusp on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was studied in 282 Korean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rabelli's cusp was absent in 36.2% of the teeth studied. 2. The percentages of various form appeared Carabelli's tubercle were as follows; a. Pronounced tubercle............9.9% b. Slight tubercle............24.5% c. Groove............25.5% d. Pit............3.9%

  • PDF

In-depth morphological study of mesiobuccal root canal systems in maxillary first molars: review

  • Chang, Seok-Woo;Lee, Jong-Ki;Lee, Yoon;Kum, Kee-Ye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1호
    • /
    • pp.2-10
    • /
    • 2013
  • A common failure in endodontic treatment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s is likely to be caused by an inability to locate, clean, and obturate the second mesiobuccal (MB) canal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knowledge on these additional canal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maxillary first molar MB root canal morphology using in vivo and laboratory methods. In this article, the protocol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arious methodologies for in-depth study of maxillary first molar MB root canal morphology were discussed. Furthermore, newly identified configuration type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classification system were suggested based on two image reformatting techniques of micro-computed tomography, which can be useful as a further 'Gold Standard' method for in-depth morphological study of complex root canal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