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rphology and Size of Clinical Crowns of Permanent Maxillary Molars in College Students

일부 대학생의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

  • Received : 2010.06.08
  • Accepted : 2010.06.23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among 100 students of C College of Public Health who have healthy permanent dent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morphology and sizes of clinical crowns of permanent maxillary molars. The following are conclusions of this study. 1. The cusp height, crown width, crown thickness of clinical crowns appeared to be bilaterally symmetrical. 2. The strong development of the buccal groove showed to be superior in the right first molar. The appearance rate of the buccal pit was high in the right first molar also. 3. The type 4th cusp appeared as 100% in the left and right first molars, and 78%, 75% in the left and right second molars respectively. 4. The distal lingual cusp(DLC) size were bilaterally symmetrical in the type 4th cusp. 5. As for the distance between two cusp tips, it was large between mesial cusp tips in all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at both sides. 6. Development of the Carabelli's cusp was high in both the left and right first molars. 7. The appearance rate of the oblique ridge was 87.0% in the right first molar, 73.0% in the right second molar, 88.0% in the left first molar, and 73.0% in the left second molar. This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people who have mild dental crown caries in their first molars. 8. The appearance rate of the mesial marginal ridge tubercle(DMRT) was high in both of the left and right first molars. That of the distal tubercle was 16.0% in the right first molar, 26.0% in the right second molar, 14.0% in the left first molar, and 21% in the left second molar.

이 연구는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 및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 건강한 영구치열을 갖는 C보건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치관의 교두높이, 치관폭, 치관두께는 좌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2. 협면구의 강한 발육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우세함을 보였고, 협면소와는 우측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률을 보였다. 3. 4교두형은 좌 우측 제1대구치에서 100%, 좌 우측 제2대구치에서 각각 78%, 75%로 나타났다. 4. 4교두형일때 원심설측교두 크기는 좌, 우 대칭관계를 보였다. 5. 교두정간 거리는 좌 우측 제1,2대구치 모두 근심 교두정간 거리가 컸다. 6. 카라벨리 교두의 발달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발육을 보였다. 7. 사주융선의 출현률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87.0%, 우측 제 2대구치에서는 73.0%의 출현율을 보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는 88.0%, 좌측 제2대구치에서는 73.0%로 이는 제1대구치에서 약한 치관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 때문인것으로 사료되었다. 8. 근심변연융선결절 출현율은 좌 우측 모두 제1대구치에서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원심부 결절은 우측 제1대구치에서 16.0%, 우측 제 2대구치에서 26.0%였고, 좌측 제1대구치에서 14.0%, 좌측 제2대구치에서 21.0%의 출현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 Grunder, The study of tooth shapes: a systematic procedure, Quintessesce Pubishing Co., 1976.
  2. 오상천, 정재훈,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악기능교합학회지, Vol.17, No.1, pp.38-42, 2001.
  3. 이기영, "한국인과 백인의 치아 및 치열궁에 관한 비교연구", 구강생물학연구, Vol.17, No.1, pp.1-15, 1993.
  4. Lavelle C.L.B.,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size in different racial groups and in different occlusal categories," Am.J.Orthod, Vol.61, pp.29-37, 1972. https://doi.org/10.1016/0002-9416(72)90173-X
  5. H. J. Keen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permanent teeth in male American Negroes," Am.J.Orthod, Vol.76, pp.95-99, 1979. https://doi.org/10.1016/0002-9416(79)90303-8
  6. M. Sekikawa, J. Akai, E. Kanazawa, and T. Ozaki,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of the occlusal surface of lower 1st molars in Austalian aboriginals," Am J Phys Anthrop, Vol.70, pp.25-32, 1986. https://doi.org/10.1002/ajpa.1330700106
  7. M. Sekikawa, E. Kanazawa, T. Ozaki, and T. Brow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intercuspal distances on the lower 1st molars of three human populations," Archs oral Biol, Vol.33, No.8, pp.535-541, 1988. https://doi.org/10.1016/0003-9969(88)90126-4
  8. 구중회, 이기수, "영구치 근원심 폭경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치교지, Vol.11, pp.143-150, 1981.
  9. 권순영, 이동주, “영구치아의 근원심폭경 및 치열궁 크기에 관한 연구”, 구강생물학 연구, Vol.11, pp.11-22, 1987.
  10. 정헌영, "금관 가공의치에서의 대구치 지대치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32, No.6, pp.435-442, 1994.
  11. 백기석, 김명국, "한국인 성인의 상악중절치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12, No.1, pp.37-42, 1988.
  12. 최승민, 최대균, 최부병, "한국인 하악 치아의 수평적인 위치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턱관절기능교합학회지, Vol.19, No.3, pp.154-168, 2003.
  13. 오상천, "한국 성인의 하악 소구치 임상치관의 형태과 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악기능교합학회지, Vol.14, pp.55-64, 1998.
  14. E. Kanazawa, M. Sekikawa, and T. Ozaki,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of the occlusal surface of lower 1st molars in a modern Japanese population," Acta Anat, Vol.116, pp.90-96, 1983. https://doi.org/10.1159/000145730
  15. D. H. Morris, "Maxillary molar occlusal polygons in five human samples," Am J Phys Anthrop, Vol.70, pp.333-338, 1986. https://doi.org/10.1002/ajpa.1330700308
  16. M. Sekikawa, J. Akai, E. Kanazawa, and T. Ozaki, "Study of the cuspal ridges of the upper 1st molars in a modern Japanese population," Acta Anat, Vol.129, pp.159-164, 1987. https://doi.org/10.1159/000146393
  17. J. T. Maygall and E. Kanazawa, "Three-imensional analysis of the maxillary 1st molar crowns of Canadian inuit," Am J Phys Anthrop, Vol.78, pp.73-78, 1989. https://doi.org/10.1002/ajpa.1330780108
  18. 차권실, 오상천, 동진근, "한국 성인의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 원광치의학, Vol.9, No.3, pp.117-131, 2000.
  19. 유종덕, "한국인 치아형태의 특수성",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8, No.3, pp.243-245, 1970.
  20. 김광수, 김영경, 류정숙, 문희정, 박정란, 송현철, 정재연, 최은미, 최정이, 치아형태학, 고문사, 2006.
  21. R. C. Wheeler, Dental anatomy, physiology and occlusion, W.B. Saunders Company, 1974.
  22. R. P. Renner, An introduction to dental anatomy and esthetic," Quintessence Publishing Co., 1985.
  23. 오상천, "한국 성인의 하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과 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7, No.2, pp.242-25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