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ity

검색결과 23,702건 처리시간 0.052초

U-City정보의 생산.수집.가공.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방안 수립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U-City Data Management)

  • 안종욱;신동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35
    • /
    • 2009
  • U-City법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U-City를 건설하기 위한 제도적인 기틀은 마련되었으나 U-City법에 의한 계획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고 세부적인 지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U-City의 핵심인 정보와 관련해서도 구체적인 계획과 지침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법에 의해 국가와 지자체에서 수립해야 할 U-City종합계획과 U-City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U-City정보의 생산 수집 가공 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먼저 U-City종합계획은 U-City계획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세부 실천과제는 '연계 및 공유를 위한 U-City정보 생산 수집 가공 기준 수립', 'U-City정보의 가공 및 활용 활성화 방안 수립', 'U-City정보 유통체계 기반구축', 'U-City정보 품질 및 가격제도 확립'이다. 그리고 U-City계획은 U-City종합계획을 기반으로 지자체단위의 정보의 생산 수집 가공 활용 및 유통 등 정보관리사항을 수립해야 한다.

  • PDF

u-City서비스.기술.기반시설의 연계성 확보방안 (Study on the Relationship Establishment among u-City Service,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 조춘만;김정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87-299
    • /
    • 2009
  • U-City의 계획, 건설 및 개발 후 운영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이하 u-City 법) 이 제정 공포되었다(2008.3.28). 본 법률을 근거로 한 국가주도 u-City도입의 궁극적 목표는 이미 선진국 궤도에 근접한 우리나라의 IT, 공간정보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도시공간 이용 및 관리의 첨단화에 있다고 하겠다. 법에 의한 u-City의 정의는 물리적 도시기반시설에 u-City기술을 적용하여 u-City기반시설 화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u-City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 법규정의 가장 핵심개념에 해당하는 u-City서비스, 기술 및 기반시설과 이들의 상호관계의 상세 정도로는 각 지자체의 특성과 역량에 맞는 도시기반시설지능화 및 이를 통한 u-City서비스 제공 등의 가이드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적이고 만족도 높은 u-City서비스의 계획, 구축 및 운영관리를 위한 법제도 정비의 핵심사안의 하나로서 서비스-기술-기반시설간 상호관계 정립의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Study on the Trends of U-City and Smart City Researches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 임시영;임용민;이재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7-97
    • /
    • 2014
  • 현재 도시는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ICT 기술을 접목시킨 지능형 도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도시는 U-City, Smart City 등으로 정의되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논문 추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문 추세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분석 도출하여, 향후 U-City 연구의 방향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U-City는 도시에 대한 실제적 적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Smart City는 단일 서비스 제공이나 기술개발 쪽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집합의 구성에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었고, 키워드와 초록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므로 논문의 본문 또는 관련 연구보고서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U-City와 Smart City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U-City Competitiveness Index

  • Kim, Kirl;Kwak, Su-Jung;Shin, Dong-Bi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1
    • /
    • 2012
  • 본 연구는 U-City 경쟁력의 개념 및 U-City 관련 지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U-City 경쟁력 지수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정보화시대, 미래도시, U-City의 개념을 관련문헌을 토대로 파악하고, U-City경쟁력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U-City를 비롯한 미래도시 관련 지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U-City 경쟁력 지수 개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U-City 경쟁력지수 개발 절차와 각 단계에서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U-City 경쟁력은 거주민의 요구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도시공간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ICT, U-City 인프라, U-City 서비스, U-City 관리 능력을 의미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체계의 마련, 평가지표의 선정, 표준화, 지표별 가중치 산정, 평가모형 설정의 개발절차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U-City 서비스 지원기관 기능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연구 (Research on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iority for the Functions of the U-City Service Aid Organization)

  • 이미숙;신동빈;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35-43
    • /
    • 2013
  • 본 연구는 U-City 서비스 지원기관이 'U-City 서비스 및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떠한 기능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관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방법을 활용하여 U-City 서비스 지원기관의 기능 영역과 기능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1) U-City 서비스 관련 정보의 유통, 2) U-City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인증, 3) U-City 기술의 연구개발, 4) U-City의 표준화, 5) U-City 전문인력 양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1) U-City 정보 유통 추진체계 마련, 2) U-City 정보 유통을 위한 유통망 설치 운영, 3) U-City 정보 유통 및 가격 정책 수립 지원, 4) U-City 정보 유통 목록 제공, 5) U-City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인증 기준 마련 및 적용, 6) U-City 인증항목, 인증대상, 인증절차 등 제도연구, 7) U-City 정보 유통현황의 조사 분석 및 제공, 8) U-City에 구축된 인프라와 서비스 수준 평가, 9) U-City 관련 핵심원천기술의 개발 및 국산화, 10) U-City 수집 정보 및 서비스의 분류체계, 전달체계 등의 표준화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U-City 서비스 지원기관의 기능 설계에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직무 조정과 인력 배치, 재원 배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건설사업과 u-City 사업 프로세스 (A study on the Processor of City construction and u-City business)

  • 유재덕;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87-292
    • /
    • 2009
  • u-City 사업은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IT 사업 프로세서가 결합된 구축 프로세서로 도시개발 계획 단계에서 u-City 계획 및 설계 내역이 반영되어야 효율적으로 구축이 가능하며,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u-City 사업 프로세서 간 연계방안을 제시하고 각 단계별 주요업무를 설정하여 제시하였으며, 특히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연계한 u-City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단계별 핵심 업무 중 USP(u-City Strategic Planning)수립 방안들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for Development of u-City Export Model)

  • 김윤형;박광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u-City 해외 선점을 위한 일환으로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해 u-City 수출 관련 정부의 정책 방향 및 u-City 해외 진출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u-City의 해외 진출을 위한 구상 계획, 구축 계획, 운영 계획, 평가 계획 단계를 가지는 마스터플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또한, 현재 국토부에서 진행 중인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해외 맞춤형 u-City 마스터플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u-City 해외 선점을 위한 정부의 정책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u-City를 기반으로 해외에 진출하고자 하는 민간기업들의 U-City 수출 모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적 정보관리를 위한 U-City 정보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City Information Characterization for the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 안종욱;신동빈;김정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9-1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U-City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U-City 정보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U-City 서비스는 228개 정도이며, 이러한 서비스를 단기 적용 가능성, 서비스의 실용성 그리고 서비스의 공공성을 기준으로 39개의 분석대상 서비스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서비스를 대상으로 U-City 정보흐름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U-City 정보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U-City 정보의 특성은 실시간 정보, 서비스별 필수 및 선택정보, 융.복합 정보, 동적인 정보, 대용량 데이터,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정보보안의 취약성, 개인정보노출 및 사생활침해우려 등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City 정보의 특성은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U-City 정보관리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연구의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U-City 건설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U-City 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관리 기준이 수립되어야 한다.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f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of U-Eco City)

  • 강영옥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0-176
    • /
    • 2009
  •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은 U-Eco City사업 단의 타 핵심과제에서 개발된 요소기술과 타 연구과제의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각 기술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체계를 수립해 나감으로써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와 함께 테스트베드 구축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자치단체 및 해외 시장에 U-Eco City 건설 경험을 체계화하여 이를 판매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U-Eco City 적용 기술 평가, U-Eco City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대한 종합시설계획 수립, 상세계획 수립,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 및 모니터링 등 전 과정의 경험과 지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국내 및 국외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필요하다.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의 1차년도 연구목적은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U-City 추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생태도시와 U-City와의 연계성을 파악하였으며, U-City 구축 단계를 체계화하고, 단계별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 PDF

도시 브랜드 이미지가 도시 브랜드 인지도와 도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 김도헌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3호
    • /
    • pp.69-79
    • /
    • 2018
  • Purpose - Competition amon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shifting from competition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osts and quality of raw materials to competi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settlement environment, culture, and place. The entry into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nsumption factors is not only attracting investment for strengthening city competitiveness, but also actively inducing urban image reconstruction and new image making.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marketing are being carried ou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external citizens about Changwon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eoul and Busan citizen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mong the nine hypotheses. In summary, pleasant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brand recognition. The magnanimous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ity brand recognition. In the impa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loyalty, magnanimous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loyalty. Pleasant images and dynamic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ity loyalty. In addition, city brand recogni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loyalty. Conclusions - Firs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its contribu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investigating mutual influences in urban aspect by combining place marketing with image, recognition, and loyalty. Secondly, kinetic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and dynamic image have more influence on recognition, and static images such as magnanimous images have more influence on loyalty. So,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ori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to local c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urban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magnanimous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