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Content Analysis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 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9
    • /
    • 1998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see as to how much of changes has occurred in the newly revise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required by the 6th Curriculum and to seek future policy directions which can be improved even better, if any, for further revision.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6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1996 geared for the 6th Curriculum for data base.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divides into two major parts. The first part faUs into a category of holistic analysis of the textbooks, which gives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changes in the textbook revised. It includes those areas of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pacover page, illustrations, table of contents, appendices, unit cover, introductory remarks, summary and evaluation, etc. It also covers the information on authors of textbook. The latter part consists of several specific areas of major changes occurred in the textbooks for the 6th Curriculum. It covers such areas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ategory and its weigh laboratory experiences, and illustrations and tables. To conclude the study, there found followings key features : 1) The new textbooks have adopted more of varieties in physical appearances and contents per se as to the older ones. And yet, there still found a weakness in numbers of authors participated to a full reflection of contents variety.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authors reflected on an unrealistic idealism which lacks the on-si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hool teachers. 2) The content area consists of 3 major areas of Human Development & Family Relationship. Food and Nutrition. Clothing and Textiles with ratio of 23.8%, 23.1%, and 21.9% respectively. 3) Human Development & Family Relationship area ranked first with 71 times in the numbers of laboratory activities for each content area. followed by Food and Nutrition with 56 and Family Resorces & Consumerism with 54. These increased number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textbooks represent the changing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imply the desirable and positive directi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numbers of laboratory activities for each content area. followed by Food and Nutrition with 56 and Family Resorces & Consumerism with 54. These increased number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textbooks represent the changing contents of Home Economics and imply the desirable and positive directi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 PDF

안전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 분석 (Contents Analysis of Textbook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송미경;이정은;문선영;양숙자;김신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5-22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ethod: Analysis is made based on textbooks for $1st-{\sim}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blished by Korea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sults: 1) Among the textbooks. only , . , and courses dealt with safety education. 2)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cluded traffic safety, water safety, indoor and outdoor safety, fire, emergency measures, misuse and abuse of drug, smoking, toy safety, sports safety, leasure safety and disasters. However, the contents were theoretical, fragmentary, local and limi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ents of safety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and more practical and more behavior-oriented in consideration of activities.

  • PDF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및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MBL 실험 분석 (Analysis of MBL Experiments from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and Chemistry Textbooks Based on 2007 and 2009 Revision)

  • 정은아;차정호;김인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54-266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교과서 및 화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실험을 교육과정 시기, 대상 학년, 실험이 제시된 맥락, 내용 영역, 주제, 사용된 센서, 그리고 출판사 등의 측면에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MBL 실험은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만 25번 제시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과학 및 화학 I, II 교과서를 통틀어 29회(중학교 19회, 고등학교 10회)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MBL 실험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MBL 실험은 중학교 1학년에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선택탐구보다는 필수탐구에 주로 포함 되었다. 센서 중에서는 운동 센서와 온도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센서가 많이 사용되었다. 출판사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고, 일부 출판사의 교과서에서는 MBL 실험이 단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nalysis of the oral health unit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xtbooks

  • Park, Jung-Eun;Hwang, Su-Yeon;Jang, Jong-Hwa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9-128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 specifically that of the oral health units, of Korean elementary health textbooks in order to discuss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extbook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oral health" units of six health textbooks for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It identified the number of pictures, practice contents, and summaries in the textbooks, calculating the proportion of oral health units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pages in the textbook and comparing the learning goals provided by the WHO with the education contents. In addition, the study also analyzed several keywords from the textbooks in terms of whether they relate to oral health. Results: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oral health units within the three health textbooks analyzed revealed that all three were similar, except that the textbook from publisher A did not include an introduction. The three textbooks also ha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In terms of the learning goals of the oral health unit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WHO standards and the learning goals from the textbooks, with the WHO standards only partially reflected.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more keywords on oral diseases than those related to oral health management and prevention. Conclusions: Improvements should be made regarding the learning goals and education topics of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ensure that children receive a more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in their earlier years, which will help to develop and correct oral health management habit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일본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Housing Unit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Japan)

  • 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5-183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교육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집필, 내용 수시보완 및 교육내용 재구성 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 사용되는 2009년판 중학교의 '기술 가정' 교과서 '가정분야' 2종과 고등학교의 '가정총합' 6종이며, 분석내용은 외형체제, 본문내용, 용어해설, 읽기자료, 표자료 및 활동자료의 내용이었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을 학교급의 증가에 따라 학습의 연계성을 갖고 계통성 있게 심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주생활영역의 학습목표를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개정되는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교과서의 주생활영역은 학년별, 학교급별로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2009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 시점에 집중이수하는 방식은 교육효과가 낮을 것이므로 교육과정의 검토가 요망된다. 둘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관점은 생활의 주체인 개인이나 가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근접환경, 광역환경 차원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지구환경을 생각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수준은 학교급별 이해수준을 감안하여 이해도가 낮은 중학교에는 실험이나 실습과 같은 체험활동을 포함하고, 고등학교에는 스스로 문제를 연구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PDF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 허영선;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1-13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병행 삼각 설계(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의 절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기준틀(UNESCO의 TLO)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TLO의 9가지 주제에 대해 빈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은 2015 개정 가정과 12종 교과서 전체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제가 다뤄진 비율 중 사회·정서적 영역은 54.6% 정도를 차지하였다. 특히, TLO 4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TLO 5, TLO 1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2종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된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를 가정과 학습 영역별로 분류해 본 결과 아동·가족생활 영역(94개)은 모든 학습 주제와 가장 큰 관련성을 보였으며, 식생활(13개), 의생활(13개), 주생활(15개), 소비생활(14개)은 비슷한 분포로 학습 주제를 나타내었다. 아동·가족생활 영역은 청소년기 발달과 특징, 가족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 양립,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에서, 식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에서, 의생활 영역은 의복 관리와 재활용에서, 주생활 영역은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주거생활과 안전에서, 소비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내용 요소가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처럼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와 가정과 모든 학습 영역별 학습 내용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세계시민교육과 가정교과와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어떻게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환경교육적 탐구를 통한 유역 중심의 물 환경교육 교재화 연구 - 무심천 유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 of Watersh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by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Watershed Musim Cheon (Stream) -)

  • 허진숙;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25-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teaching material, which develops the Model of Watershed Water Environment Education(EE) Textbook, by seeking for a method of the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EE and by questing for the contents of watershed water environment necessary for Water EE with the Perspective of EE. First, the value of watershed EE was reilluminat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on the watershed. And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EE' methodology was newly presented that quests for the contents necessary and proper for EE from the viewpoint of EE. Also, with suggesting it as concept and methodology of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Watershed EE' by considering the value of EE in Water EE, it presented the content approach direction in the inquiry and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inquiry. Second, through the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EE into water environment of the watershed Musim cheon (stream), which is a case region, it allowed the watershed water environment to be able to be synthetically understood. As for a sphere of the inquiry, 5 spheres were sought by taking into account a relation to a human being, as well as the water environment itself of the watershed Musim cheon (stream). Thir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quiry with the Perspective of EE into the watershed Mlisim cheon (stream), 'the Model of Watershed Water EE Textbook' for middle-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his model of textbook was selected largely four parts, and was organized with 10 learning objectives and 11 activities.

  • PDF

스마트 교육환경을 위한 e-교과서 포맷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f e-Textbook Format Standardization Scheme for Smart Education Circumstance)

  • 손원성;임순범;김재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27-336
    • /
    • 2012
  •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Apple사의 iBooks 2 보급과 더불어 교육 환경에서의 디지털 교과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는 스마트 교육 추진 계획안을 최근 발표하였으며, 디지털 교과서 적용 및 클라우드 교육 시스템 구성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미래의 교육환경은 이러닝을 넘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도 정확한 학습 및 소통이 가능한 스마트 교육 환경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정부의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중장기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목표로 전자책과 유사한 형태의 모델로서 배포가 용이한 PDF 기반 e-교과서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차후 스마트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서도 변형이 용이하고 원본 콘텐츠에 대한 중립성이 강화된 e-교과서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 기반의 e-교과서 포맷에 대한 표준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자책 요소 기술의 동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하였으며, 기존 교과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서책형 교과서의 디지털화를 위한 전자책 포맷 표준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안된 표준 방안에 근거하여, 실제 e-교과서 시범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제안 기법은 향후 스마트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하며 디지털교과서 중장기 사업 목표에 효과적으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토양 동물에 관한 내용 연구 (On Texts Refering to Soil animals in Textbooks of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s)

  • 임길영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6-61
    • /
    • 1996
  • At present, 51 textbooks from 6 kinds are adopted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According to results of content analysis related to soil animals, their bionomics and the ecological roles were mentioned limitedly in only one or two pages. Since mere 7 phyla and 24 kinds of soil animals have been appeared, it is demended that more of subjects concerning soil animals especially in relation to environment should be introduced in school textbooks near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