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pod armor block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깍은 사면체형 소파블록의 안정성 평가 (Investigation of Statbility of Truncated Tetrahedron Type Amore Block)

  • 조홍동;배우석;김명균;이호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3-47
    • /
    • 2009
  • Armor block is used to reduce wave energy. To do this, the stability of coastal structure is enhanced. It is very expensive to develop a new type armor block. So, the research of new type armor block is very short. We develope truncated tetrahedron type armor block(new type block) which have a hole in center part.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new type armor block is investigated by hydraulic model test. In the result, the stability coefficient($K_D$) of new type armor block is 11.8. this value is more superior than value of tetrapod.

국내에서 시공된 Tetrapod 피복재에 대한 Hudson 공식의 부분안전계수 산정 (Evaluation of partial safety factors of Hudson formula for Tetrapod armor units constructed in Korea)

  • 김승우;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45-356
    • /
    • 2009
  • 국내 항만의 경사제 피복재는 대부분 Tetrapod이다. Hudson 공식은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블록의 설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Tetrapod에 대한 Hudson 공식의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를 산정하였다. 국내 무역항 12곳과 연안항 8곳의 대표단면을 채택하여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정하였다. 또한 부분안전계수의 평균을 US Army(2006)에서 제안한 부분안전계수와 비교하였다. US Army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하중의 부분안전계수는 비교적 작게 산정되었고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는 약간 크게 산정되었다. 하지만, 하중과 저항의 부분안전계수를 곱한 전체안전계수는 US Army의 결과와 비슷하다.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항만의 방파제 피복블록에 대한 최종적인 부분안전계수를 제안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신경망과 M5' model tree를 이용한 Tetrapod 피복블록의 안정수 예측 (Prediction of Stability Number for Tetrapod Armour Bloc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5' Model Tree)

  • 김승우;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09-117
    • /
    • 2011
  • 국내 경사식 방파제의 대표적인 피복재인 Tetrapod는 대부분 경험식을 사용하여 중량을 산정한다. 경험식은 수리 실험의 결과를 곡선맞춤(curve-fitting)하여 제안되기 때문에 실험 오차에 따른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런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경신경망과 M5' model tree를 사용하여 피복재 안정수를 예측하였다. 각 모형의 불확실성의 정도는 예측된 안정수와 수리실험의 안정수 사이의 일치지수(index of agreemen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일치지수가 가장 큰 인공신경망은 우수한 예측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 설계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큰 단점이 있다. 반면에 M5' model tree는 인공신경망보다는 예측 능력이 조금 떨어지지만 기존의 경험식보다는 예측능력이 우수하고 또한 일반 설계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공식의 형태로 주어지는 장점이 있다.

극치파고분포의 형상 모수에 따른 Tetrapod 피복블록의 부분안전계수 산정 (Evaluation of Partial Safety Factors for Tetrapod Armor Blocks Depending on the Shape Parameter of Extreme Wave Height Distributions)

  • 김승우;서경덕;이동영;전기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B호
    • /
    • pp.59-69
    • /
    • 2012
  • 불확실성이 큰 해안환경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확률설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결정론적 설계법에 익숙한 설계자는 기존 방법과 유사하면서 확률적 개념이 도입된 설계법을 원한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부분안전계수 설계법이 새로운 설계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경사식 방파제의 피복재로 Tetrapod가 널리 사용된다.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된 부분안전계수 설계법이 Tetrapod를 포함하고는 있지만 제한된 파랑 및 구조물 단면 조건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제 설계에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역항 16곳과 연안항 15곳의 116개 단면 및 파랑조건에서 FORM과 최적화 보정 기법을 사용하여 Tetrapod 피복블록의 부분안전계수를 산정하였다. 특히, Weibull 극치파고 분포의 형상 모수에 따른 부분안전계수를 제안하였다. 그 외 극치분포 형태에 대해서는 왜곡도와 형상 모수의 관계를 통해 본 연구의 부분안전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부분안전계수를 기존 구조물에 적용하여 목표수준을 잘 만족하는지 확인하였고 기존에 개발된 부분안전계수보다 적용성과 실효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비중 차이에 따른 테트라포드 안정계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Change of Stability Coefficient of Tetrapod According to Difference in Density)

  • 이달수;오상호;조봉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24-13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비중이 서로 다른 테트라포드의 Hudson식에 의한 안정계수($K_D$) 변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수리실험은 사면 경사 1:1.5인 경사식 방파제에 대하여 반복실험 없이 1회 수행되었으며, 본 실험 조건에서는 고비중 테트라포드의 안정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테트라포드 안정계수가 비중에 따라서 달라지게 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보다 많은 실험을 통해서 테트라포드의 비중이 안정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투수성 블록 2층적으로 구성된 잠제의 기본설계법 연구 (Study on the Basic Design Method of Submerged Breakwater Composed of Double-Layer Permeable Blocks)

  • 이달수;오상호;박이동;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72-180
    • /
    • 2013
  • 이 연구의 초점은 실험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투수성 블록 2층적으로 구성된 잠제에서 목표 전달파 성능을 만족시키는 잠제의 제원을 결정하거나 혹은 잠제 제원이 주어졌을 때 전달파고비를 예측하는 기술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테트라포드 및 삼각뿔블록을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실험자료의 분석과정에서 파라메터 $K_Th_b/h$를 도입 제안하였다. 실험자료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면 잠제가 전달파고를 크게 감소시키는 여건에서는 잠제의 마루수심 변화에 대응하여 전달파고비를 쉽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 방법은 서로 다른 블록을 사용하여 구성된 잠제의 전달파 특성을 비교하고, 블록의 소요수량을 추정함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