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7초

Changes in $SO_{2}$ Concentration from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A Case Study from 1998 to 2003

  • Nguyen Hang Thi;Kim Ki-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1권E3호
    • /
    • pp.95-105
    • /
    • 2005
  • The concentrations of sulfur dioxide ($SO_{2}$) were measured from seven major cities and nine provinces in Korea for the period covering 1998 to 2003. Its concentration data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possible influences of spatial and temporal factors on the $SO_{2}$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Examination of spatial trends of $SO_{2}$ distribution and behavior indicated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lthough its annual trends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e.g., regulation on the use of S-containing fuels), the seasonal trends indicated a cyclic and systematic pattern that may be characterized as: a gradual decrease in concentrations across winter, spring, fall, and summer. The results showed the generally enhanced mean concentrations of $SO_{2}$ from Ulsan, Busan, and Daegu with 12.8, 10.1, and 8.80 ppb,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otably reduced $SO_{2}$ concentrations were seen from Gwangju and Jeju sites with its mean values of 5.43 and 3.88 ppb,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a decrease in $SO_{2}$ concentration levels continued through time, while its spatial distribution appears to be affected most sensitively by such factor as city scale and industrial activities.

격자기반의 토양수분추적표형 개발 : 보청천 유역 사례연구 (Development of GRld-eased Soil MOsture Routing Model (GRISMORM) Applied to Bocheongchun Watershed)

  • 김성준;채효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9-48
    • /
    • 1999
  •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일단위 토양수분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분포형 토양수분추적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C-언어로 구성하여 다양한 GIS 소프트웨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서 래스터 GIS 소프트웨어인 GRASS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고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결과를 GRASS상에서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보청천 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75.6㎢)을 대상으로 이평교 지점에서의 실측 일유출량과 모형에 의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였으며, 출력결과로서 월별로 정리된 토양수분 분포도를 GRASS상에 작성하여 예시하였다.

  • PDF

새만금 해역에서 와편모조류 휴면포자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at the Saemangeum Area)

  • 박기홍;김근용;김창훈;김학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2-208
    • /
    • 2004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resting cysts was investigated by palynological processing to understand the harmful algal bloom (HAB) potential in the sediment of the Saemangeun area in 2003. In total, thirty-two dinoflagellat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6-1,618\;cysts{\cdot}g^{-1}$ (dry weight). The concentrations of resting cysts were higher in the spring (26 species, $64-1,101\;cysts{\cdot}g^{-1})$ and summer (30 species, $81-1,618\;cysts{\cdot}g^{-1})$ than in the autumn (32 species, $6-1,150\;cysts{\cdot}g^{-1})$ and winter (24 species, $25-728\;cysts{\cdot}g^{-1}).$ The composition rate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to the tota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utrophication process, to ranged from 6 to $29\%$ in the study are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toxic Alexandrium tamarense/catenella $(25\%)$ followed by Gonyaulax scrippsea $(9\%)$ and toxic Protoceratium reticulatum $(5\%).$ Given the high abundance of the toxigenic dinoflagellate species, the Saemangeun a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great potential for HABs in the future.

색상 분포 및 인체의 상황정보를 활용한 다중카메라 기반의 사람 대응 (Multiple Camera-based Person Correspondence using Color Distribution and Context Information of Human Body)

  • 채현욱;서동욱;강석주;조강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39-94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which corresponds people under the structured spaces with multiple cameras. The correspondence takes an important role for using multiple camera system. For solving this correspondence,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main steps. Firstly, moving objects are detected by background subtraction using a multiple background model. The temporal difference is simultaneously used to reduce a noise in the temporal change. When more than two people are detected, those detected regions are divided into each label to represent an individual person. Secondly, the detected region is segmented as features for correspondence by a criterion with the color distribution and context information of human body. The segmented region is represented as a set of blobs. Each blob is described as Gaussian probability distribution, i.e., a person model is generated from the blobs as a Gaussian Mixture Model (GMM). Finally, a GMM of each person from a camera is matched with the model of other people from different cameras by maximum likelihood. From those results, we identify a same person in different view.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ree scenarios and verified the performance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인덕션·메탈할라이드 집어등에 의한 갈치(Trichiurus leptueus)의 유집 효과 비교와 시공간 분포 (Comparison of the effect of fish gathering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eus) using induction and metal halide fishing-lamp)

  • 박근창;박성욱;노시열;오우석;오선영;이사라;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4호
    • /
    • pp.334-344
    • /
    • 2022
  • In this study, we used underwater acoustics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eus) based on the luminous thronging of metal halide fishing lamps and induction fishing lamps. As a result, the illuminating power was approximately 1.3 times higher using the metal halide fishing lamp whereas the density of hairtals by distance was approximately 1.9 times higher using the induction fishing lamp. Regarding water depth distribution, hairtails were detected depths of 25-30 m during August and at all water depths in November as assessed using fishing lamps.

위성영상을 활용한 가뭄지수 지도제작 (Mapping of Drought Index Using Satellite Imagery)

  • 장은미;박은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2
    • /
    • 2004
  • 농촌지역의 신규 수자원개발과 지속가능한 물의 사용과 배분을 위해서는 수자원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고는 안성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다중 시기의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양습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Landsat 위성영상은 다목적 실용위성과 융합하여 용수구역도의 배경으로 사용되는 것을 원래 목적이었으나 세 시기에 걸친 영상분석의 결과를 통해 보다 높은 해상도의 토양수분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 2001년 4월의 영상분석결과는 논의 상태는 인공지물과 같이 매우 낮은 반사도 값을 보여준 반면에 5월과 6월에 촬영된 영상의 습도지수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앙기를 지나면서 토양의 습도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도 산지지역의 경우에는 습윤지수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호수와 하천의 경우에는 보유유량에 따라 매우 급격한 변화값을 보여주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농업지역의 토양의 습도 상태에 대한 지도제작을 수행하고 가뭄에 민감한 정도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표시되는 주제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 이로써 ETM영상과 다목적 실용위성영상의 융합을 통한 습윤지수 지도는 경제적이면서도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수문학적 가뭄과 기후학적 가뭄 자료와 더불어 가뭄 민감도 지도생성을 통한 합리적인 용수 배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동요인별 시·공간적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인구분포 예측: 마르코프 연쇄 모형을 활용하여 (A Markov Chain Model for Population Distribution Predic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by Migration Factors)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1-3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이동요인별 인구이동 및 인구분포의 시공간적 특징을 분석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분포의 변화를 예측하고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 가족, 주택, 교육 등 주요 이동요인별 거주지 변화로 나타나는 지역별 인구이동의 추이를 파악하고, 장래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의한 인구분포의 변화를 추정하는 예측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거주지를 변경함에 있어 대도시지역과 시 단위 중심의 지리적 이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도시와 시 단위 내에서도 지역별 인구 유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동요인별 구성 비율은 각기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동요인별 시군구별 추이확률과 상태확률을 토대로 6단계-정상 마르코프 연쇄 프로세스를 진행한 결과, 각 이동요인에 따라 장래 시군구별 인구분포의 변화 정도도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과 분석결과는 특히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이 우려되는 지역에서 인구의 유입요인은 강화하고 유출요인은 개선하는 지역 맞춤형 인구 및 각종 정책을 계획하고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호우사상의 시간적 정량화를 위한 베타분포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Beta Distribution for the Temporal Quantification of Storm Events)

  • 전창현;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6호
    • /
    • pp.531-5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호우사상을 베타분포로 적절히 표현하기 위한 매개변수의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첨두에 대한 고려를 추가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실제 우량주상도 및 첨두를 중심으로 재배열된 수정 우량주상도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그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점의 2010년 독립 호우사상과 1961~2010년 사이의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베타분포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타분포를 이용하여 실제 호우사상의 우량주상도 형태를 유사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첨두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첨두를 중심으로 시간강우를 좌우 순차적으로 재배열한 수정 우량주 상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실제 우량주상도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실제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에 보다 가까운 베타분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시간축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블라인드 비디오 핑거프린팅 (Blind Video Fingerprinting Using Temporal Wavelet Transform)

  • 강현호;박지환;이혜주;홍진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263-127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불법으로 복제된 컨텐츠의 근원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핑거프린팅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의 키로 만들어진 균일 랜덤 신호를 시간축 웨이블린 변환에 의해 얻어진 계수 중에서 배포 받을 사용자의 영역에 삽입하여 핑거프린팅을 수행하게 된다. 제안기법은 핑거프린팅된 컨텐츠에 대한 공모 공격과 MPEG2 합축에도 유일한 핑거프린팅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할 사용자의 영역 지정을 위해서 시간축 웨이블릿 변환의 특성을 이용한다. 실험에서는 비디오 컨텐츠의 불법 배포를 추적할 수 있음을 보이고, 다양한 공모공격과 MPEG2 압축에 대해 강인(robustness)함을 보인다.

  • PDF

환경 위성관측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한 동아시아 대기오염특성 연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Over Asia with Satellite-derived $NO_2$ and HCHO using Statistical Methods)

  • 백강현;김재환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95-503
    • /
    • 2010
  • Satellite data have an intrinsic problem due to a number of various physical parameters, which can have a similar effect on measured radiance. Most evaluations of satellite performance have relied on comparisons with limited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of ground-based measurements such as soundings and in-situ measurement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new way of satellite data evaluation is suggested with statistical tools such as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 The EOF analyses with OMI and OMI HCHO over northeast Asia show that the spatial pattern show high correlation with population density. This suggests that human activity is a major source of as well as HCHO over this region. However, this analysis is contradictory to the previous finding with GOME HCHO that biogenic activity is the main driving mechanism(Fu et al., 2007). To verify the source of HCHO over this region, we performed the EOF analyses with vegetation and HCHO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no coherence in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between two factors. Rather, the additional SVD analysis between $NO_2$ and HCHO shows consistency in spatial and temporal coherence.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anthropogenic emission is the main source of HCHO over the region. We speculate that the previous study appears to be due to low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GOME measurements or uncertainty in model input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