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self-efficacy

검색결과 708건 처리시간 0.026초

뇌졸중환자의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질 연구 (The Study of Stroke Patient's of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Qualty of Life)

  • 이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19-225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도과 삶의 질을 평가하고 뇌졸중환자의 사회적지지도, 자기 효능감과 삶의 질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P시에 소재하는 재활병원에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해있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1일부터 10 월 1일까지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활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모두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치료에 제공한다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Self-efficacy, and Life Stres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강은희;박효진;김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우울 15.85점, 자기효능감 3.19점, 생활스트레스 2.47점, 스마트폰 중독 39.23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분석한 결과는 연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t=-2.540, p=.014), 학년(F=3.080, p=.029), 스마트폰 중요도(F=16.192,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F=6.938, p<.0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r=.351, p<0.01), 생활스트레스(r=.321, p<.001)와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r=-.383, p<.001)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과 자기효능감(r=-.529, p<.001)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생활스트레스(r=.568,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생활스트레스는(r=-.434, p<.001)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i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due to COVID-19

  • Park, Jung-H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88-193
    • /
    • 2021
  •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first-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5 to November 2, 2020.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was operated for a total of 8 hours in 4 sessions over 4 weeks. Online lectures were conducted using books, movies, and art recommended by expert. The subjects could take lectures using their smartphones, laptops, desktops, and tablet PC.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refle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t=-2.594, p=.013). In the sub-items,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t=-2.527, p=.015; t=-2.471, p=.018). However, other-exploration and other-understand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226, p=.227; t=-.758, p=.453).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70, p=.866).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improve self-reflection for nursing students.

기술.가정과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Self-Efficacy in the 'Invention Technique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지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85
    • /
    • 2012
  • 이 연구는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의 5차시에 대한 학습을 실험 집단에게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개별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효능감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효능감에 대한 검사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도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집단 내 사전, 사후검사 결과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자아효능감이 향상된 정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활동시작 능력기대, 활동지속 능력기대, 활동수행 능력기대, 경험극복 능력기대의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멘토링 수업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개별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보다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료 멘토링 수업이 개별 수업보다 자아효능감에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교수 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즉,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Self-Efficacy in Performing Medical Treatment)

  • 제남주;윤지원;화정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67-278
    • /
    • 2024
  •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 J지역의 의과대학생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임의 표출하였으며, 총 12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IBM SPSS/25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r=.61, p<.001), 자기조절학습(r=.50, p<.001), 의사소통능력(r=.33, p<.001)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료수행 자기효능감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 순이었다. 총 설명력은 46.6%이었다.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임상실습을 통해 졸업 후 의사가 되어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진료수행능력을 갖추는 것은 의과대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생의 진료수행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관리, 전공만족도, 생활만족도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자기조절학습,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시스템 개선 노력도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학령기 비만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이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ffecting Dietary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school-age obese children)

  • 류현숙;조인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41-950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기 비만아동의 생활습관, 식이자기효능감 및 운동자기효능감의 관계와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의 비만아동 85명이었고 2019년 7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식이자기효능감(𝛽=.406, p=.001)이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운동자기효능감(𝛽=.245, p=.038)이 그 다음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통계량은 6.34(p<.001)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4.2%였다. 따라서 비만아동의 생활습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이자기효능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본 연구는 비만아동 생활습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게임경험과 사회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line Game Experience and Social Self-efficacy)

  • 장예빛;박수호;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7-105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적 자기효능감이라는 교육심리학적 개념을 이용해 게임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온라인게임 이용자들은 MMORPG를 통해 게임 내에서 타인과 소통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경험을 쌓아나간다. 이러한 맥락에서 온라인게임은 일상의 확장이자 또 하나의 사회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게임 이용 경험이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온라인게임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무조건적인 게임이용에 대한 제한이나 우려보다는 게임이용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아동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효능, 감정노동,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 홍은영;양윤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36-243
    • /
    • 2015
  • Purpose: In this study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were examined.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study was done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4,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45 nurses from 3 advanced general hospitals, 5 general hospitals and 2 children's hospital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nd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Average levels of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were similar to other general nurses and the average level of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was also similar to other pediatric nurses.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job stress in pediatric nurses was emotional labor (${\beta}=0.372$, p<.001). The combination of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self-efficacy accounted for 25.4% of job stress in pediatric nurs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to decrease emotional labor and improve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s and self-efficacy are critical to decrease job stress for pediatric nurses. Continued development of nursing management interventions to decrease job stress in pediatric nurses is suggested.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몰입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Big 5 personality on Entrepreneurship of the College Stud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low and Self-efficacy-)

  • 백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37-144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몰입 및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은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 5요인과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또한 모든 모형에서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이 성격 5요인과 기업가정신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 of Family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 Kim, Na-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97-2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318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가족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