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Innovation Index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9초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s of Public Research Funding on the Performance of Researcher)

  • 이종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15-93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연구비 지원이 연구자의 연구 성과에 미친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학 분야와 자연과학 분야에서 각각 두 개의 전공분야를 선정하여 각 전공별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정부의 연구비 지원은 KCI급 연구업적과 SCI급 연구업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분석결과에서, 학문분야별로 연구비와 연구업적의 관계에 상이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비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특성이 반영된 정책수립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기술혁신연구의 인용문헌 법칙과 의사 영향력지수 (Citation Laws and Quasi-Impact Factor on Innovation Studies in Korea)

  • 박정민;설성수;남수현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4호
    • /
    • pp.135-150
    • /
    • 2009
  • 계량서지학은 오랫동안 잘 정의된 과학저널의 기초 위에서 구축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의 역사는 짧고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범위도 다양하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서도 전통적인 계량서지학의 법칙들이 적용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편 전통적인 법칙과 함께 멱함수 법칙의 설명력을 비교한다. 영향력지수와 관련하여,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 기여 정도를 측정하는 의사 영향력지수를 제안한다. 연구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Lotka's law와 Bradford's law가 적용됨을 확인했으나, Nicholls(1998)와 마찬가지로 Price's Square Root law가 유효하지 않았다. 저널에 대한 인용의 측면에서는Garfield의 법칙 역시 적절하지 않았다. 다만 멱함수 법칙은 저자, 저널, 논문 및 단행본 모두에서 잘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추정된1.5에서3사이의 범주와 유사하게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서도 1.6에서 3.5사이의 수치가 추정된 것이다. 의사 영향력지수(quasi-impact factor)를 본 연구에 적용한 결과, 피인용도가 높은 저널 집단의 한국기술혁신연구에 대한 영향력은 국제적 기술혁신연구에 비하여 그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 투자를 위한 실무 평가 지표와 해석 (A Study on Practical Valuation Assessment Indexing and Interpretation for Venture Company Investment)

  • 한재우;김병관;김완기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8
    • /
    • 2016
  •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평가 시 심사역의 직관과 경험 위주의 투자 행태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무 투자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지표별 해석을 통해 벤처기업 투자 평가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벤처캐피탈 심사역 65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과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벤처캐피탈의 벤처기업 투자결정에 가장 중요한 평가요인은 시장 관련 요인들이었으며, 투자를 희망하는 벤처기업에게는 시장접근성, 경영자 기술/경영 경험 및 추천/평판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자 모바일 결제서비스 기술준비도의 한.중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echnology Readiness Index of Third Party Payment Service Between Korea and China)

  • 김종기;청샤오;김지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15-122
    • /
    • 2019
  • 두드러진 성장을 보이는 모바일 결제서비스는 한국과 중국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모바일 결제서비스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제3자 모바일 결제서비스 기술준비도에 있어 한국과 중국 사이에 근본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준비도를 나타내는 각 요인에 대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준비도의 모든 요인에서 한국과 중국 사이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국 사용자의 경우 긍정적 요인인 낙관성, 혁신성과 함께 부정적 요인인 불편감 역시 더 높았다. 반면 불안감은 한국 사용자에게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3자 모바일 결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기술준비도에 대한 통찰력을 높여 관련 연구의 학문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Listed Companies in China's Digital Cultural Industry)

  • 동호;배기형;장몽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69-379
    • /
    • 2022
  • 과학기술과 문화산업의 융합이 심화되면서 중국의 디지털 문화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 문화산업은 디지털 경제 시대에 문화소비에 대한 새로운 욕구를 충족시켜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A주 36개 디지털 문화 상장기업의 2018년~2019년의 공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했다.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하여 36개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상장기업 36곳은 기술혁신 효율성이 낮다. 둘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 자원의 배치가 불합리하다. 셋째, 상장기업 간 기술혁신 효율성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연구개발 자금 투입의 확대, 연구개발 자원의 합리적 배치, 연구개발 인력 도입과 육성 확대, 효과적인 동적 인센티브 메커니즘 구축, '정산학연용(政产学研用)'의 긴밀한 결합 촉진 및 정부 정책의 충분한 발휘 등의 조치를 통해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Diffusion of ICT from the view of ICT generation: The experience in the UK during the 1980s

  • Hwang, Gyu-hee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
    • /
    • pp.205-242
    • /
    • 2001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ho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diffused. The investigation is conduc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ICT evolu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change and usage pattern. The definition used is presented as 'the ICT is a process of convergence of technologies between information-processing and information-transforming technologies, mainly due to the advent of microelectronlcs'. After examining technological changes of ICT, the diffusion path of ICT is traced through the usage ratio in total input and/or investment based on Input-Output tables (I-O). It shows that the evolution of ICT from the change of usage pattern is an up-and-down usage pattern rather than a uni-modal usage time path. With this recognition, the diffusion index is prepared. JEL classification : C43, L63, O33.

  • PDF

과학계량학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 특허성과의 기술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roperties of the Public R&D via Scientometric Analysis of Patent Data)

  • 금영섭;옥주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3호
    • /
    • pp.65-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로서 창출되는 특허정보의 거시적 미시적 분석을 통해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허성과의 기술군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IT계열 기술군으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군별 상대적인용도 지수(RCI)의 분석은 향후 BT계열 기술군이 부상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상대적시장확보 지수(RFI)는 BT계열 및 IT계열과 같은 기술적 파급이 큰 기술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융 복합화, 연구개발 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에 대한 신규지표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군 사이의 흡수-파생 관계, 연구개발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종기술간 기술 융 복합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이한 연구개발주체들 사이의 연구개발 협력성과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지식지표의 통합 및 구조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ggregation and Structuring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dicators)

  • 박광만;신준석;박용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3년도 제22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40
    • /
    • 2003
  • Though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has been the core competenc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firms and to raise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social and economic systems, only single or fragmentary variables, such as R&D expenditure, R&D stock,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number of R&D employee have been adopted to measure the amount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use nine conventional technological knowledge measures under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put-output framework to technological knowledge. Applying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ine proxy measures quantitatively and suggest the new approach for the calc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dex as a aggregated measure.

  • PDF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OECD 국가별 R&D 효율성과 생산적 분석

  • 박수동;홍순기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1-173
    • /
    • 2003
  • This paper analys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R&D system across time (1991${\sim}$2000) and 16 OECD countries using multi-output and multi-input non-parametric frontier methods such as DEA (data envelopement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es. Malmquist productivity indexes are decomposed into two components measures, namely technical change and efficiency change. To calculate R&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e used R&D stock and the number or researchers as R&D input proxies and the number of adjusted SCI papers and U.S. patent applications as R&D output proxies. Empirical result shows that Switzerland, Canada, U.S., Australia's R&D efficiencies are the highest and Korea's R&D productivity growth is the highest in the sample for the period. Technical efficiency growth was a more important source of productivity growth than technological innovation.

  • PDF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y of Firms on Competitive Advantage: An Empirical Study of the ICT Industry in Thailand

  • ANUNTARUMPORN, Nuttanai;SORHSARUHT, Puri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121-131
    • /
    • 2022
  •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see how quality management (QMA), strategy (STR), and innovative capability (INC) influe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Thai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irm (COA). The researchers collected 431 surveys from Thailand's owners and managers employed in ICT enterprises from the beginning of June 2021 to the end of September 2021using diverse sample strategies. A questionnaire with an index of item-objective congruence (IOC) value of 0.60-1.00 and a reliability value of 0.92-0.96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requested to fill out a seven-level opinion survey posted on Google Form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path analysis using LISREL 9.1 was used for the four latent variables, 31 manifest variables, and the five hypotheses testing.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three causal variables positively affected COA, which had a total effect (TE) R2 value = 80% when combined with the other latent variables. Moreover, the values for the latent variables when ranked by total effect (TE) were STR, QMA, and INC with TE values of 0.95, 0.89, and 0.25, respectively. Finally, there were very strong influences from COA to STR (0.95), INC to QMA (0.86), and STR to QMA (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