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Based Learning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6초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 on Team-based Technology Design Project of Non-Engineering Students

  • 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5권2호
    • /
    • pp.201-215
    • /
    • 2014
  • The design project of a technology produc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inter-connectedness of academic information and ill-defined real-world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non-engineering students' activity and perception through the assistive technology design project.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engaged in a team-based technology design project. Then,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adopted, which included reflective journals with 24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Adaptive Physical Educ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six factors (knowledge value, social value, reality value, accomplishment value, perspective value, benefit value) of perception and five stages (topic selection, function suggestion, visualization, presentation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of activity.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건축시공교육에 팀 기반 학습 적용 연구 (Building Construction Education Adopted Team-based Learning)

  • 김광희;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7-604
    • /
    • 2014
  • 최근 건축공학교육에서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실무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팀 기반학습 강의법을 실제 건축공학교육에 적용해보고 그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적용성 검토를 위해서 강의 수강생 39명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학습 성취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팀 기반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 다양한 건축공학 교과목에서 팀 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실무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struc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 신연하;유기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수업활동을 위해 팀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수업효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수업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젝트 수업 구성 요인을 검증하여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의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겸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15주 수업에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5주 수업과 프로젝트가 끝나는 날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80부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차이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식 수업보다 프로젝트 수업에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팀 응집력과 팀 워크는 수업효과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프로젝트 수업은 성적 결과와 상관없이 수업참여과정에서 즐거움과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효과 향상을 위해 수업 프로그램 구상과 제작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Design Principles for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TEAM Education

  • Kim, S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55-61
    • /
    • 2021
  • In this study,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TEAM theory was proposed to support and improve learner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for convergent design educa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influence STEAM education with intentional design and schedule coordination, schools can create informal environments that are crucial to STEAM education. The physical surroundings of the learning space should be applied to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y, especially for STEAM-based education, physical space conditions should support the learner's design thinking and process. Furthermore, STEAM-based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support a vast array of experiences that allow students to learn the context around ideas and skills. For spaces for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TEAM, common design principle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echnology integration, safety and security, transparency, multipurpose space, and outdoor learning. Therefore,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TEAM needs flexible and mobile, connected, integrated, organized, flipped, and team-focused surroundings to support the learners understand, participate, cooperate, and accomplish the design process.

AI 기반의 Varying Coefficient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한 산질화층 예측 (Predicting Oxynitrification layer using AI-based Varying Coefficient Regression model)

  • 박혜정;심주용;안경준;황창하;한재현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74-381
    • /
    • 2023
  • This study develops and evaluates a deep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oxide and nitride layers based on plasma process data. We introduce a novel deep learning-based Varying Coefficient Regressor (VCR) by adapting the VCR, which previously relied on an existing unique function. This model is employed to forecast the oxide and nitride layers within the plasma.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the proposed VCR-based model exhibit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Long Short-Term Memory, Random Forest, and other methods, showcasing its excellence in predicting time series data. This study indicates the potential for advancing prediction models through deep learning in the domain of plasma processing and highlights its application prospects in industrial settings.

Comparativ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Predicting Soccer Injury Types

  • Davronbek Malikov;Jaeho Kim;Jung Kyu Par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1호
    • /
    • pp.257-268
    • /
    • 2024
  • Soccer is type of sport that carries a high risk of injury. Injury is not only cause in the unlucky soccer carrier and also team performance as well as financial effects can be worse since soccer is a team-based game. The duration of recovery from a soccer injury typically relies on its type and severity. Therefore, we conduct this research in order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players injury typ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in this paper. Furthermore, we compare different machine learning models to find the best fit model. This paper utilizes various supervised classification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ing Decision Tree, Random Forest, K-Nearest Neighbors (KNN), and Naive Bayes. Moreover, based on our finding the KNN and Decision models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rates at 70%, surpassing other models. The Random Forest model followed closely with an accuracy score of 62%. Among the evaluated models, the Naive Bayes model demonstrated the lowest accuracy at 56%. We gathered information about 54 professional soccer players who are playing in the top five European leagues based on their career history. We gathered information about 54 professional soccer players who are playing in the top five European leagues based on their career history.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09-418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분야의 심장계 환자간호에서 팀기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교과목 학습성과로서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성취도,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고, G시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52명, 대조군 5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2014년 2학기 중 주당 3시간씩 2주 동안 팀기반학습을 적용하고, 대조군은 동 기간동안 강의 및 사례적용 발표수업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문제해결능력(F=5.92, p=.017)과 수업만족도 점수(F=5.80, p=.018)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성취도 점수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교육에 팀기반학습의 적용은 간호학생들의 중요한 학습성과인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eamwork Skills and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Students)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49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work skills' (often called team activity competence) and 'thinking styl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environment as well as for the increase of teamwork skills. Teams and team activity are pervasive in today's organization and there has been relatively much research on teamwork skills and its related factors.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eamwork skills, essential factor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inking sty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83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students' teamwork skills as well as thinking styles have been measured before and after team-based learning class (hereafter TBL).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teamwork skills between before and after TBL class. Second, team activity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a higher correlation with most of creativity generating styles (i.e. legislative, judicial, hierarchical and global styles). Third, hierarchical style was found to influence team activity more than other components, and also legislative, external, global and judicial styles contributed to team-based activit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inking styles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will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