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learning Method

검색결과 1,768건 처리시간 0.031초

임상실습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한지영;박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5-37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268) enrolled in one of 4 universities in 2 citie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teaching effectiveness was 3.09 (${\pm}.53$) on a 5-point scale, fo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3.09 (${\pm}.50$) on a 5-point scale, and for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3.94 (${\pm}.52$) on a 6-point scal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8.8%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increas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17-22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I융합교육 전공 교과목 중 'AI융합교육방법' 수강자의 요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목을 개발 및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수강하는 초중등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사전 지식 수준, 교육내용 요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AI융합교육방법' 교과목의 영역, 15주의 교수·학습 내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15주간 대상에게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사하고 분석한 결과,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은 적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정보 수업 가치관, 정보 교수 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학교 현장과의 연계, 타 교과와의 융합 등 교사 전문성 확보를 위한 후속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교수학습 자료, 인공지능 교육용 플랫폼 등 다양한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수학 교육에서 열린 교수 학습의 실천적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Methods of Open Teaching and Loam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임문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32
    • /
    • 1997
  •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열린 교육이 이론과 실제의 양면에서 연구되고 실천되어 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육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열린 교육의 학습 지도 방법 세 가지를 소개하였는데, 이들은 ‘오픈 엔드 어프로치,’ ‘문제에서 문제로,’ 그리고 ‘문제 설정’이다. 이들 세 가지 학습 지도 방법 각각에 대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지도 계획을 제시한 다음, 학생들의 실제 활동의 예를 보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Teachers' and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 Meiyue, Jin;Feng, Dai;Yanmin, Gu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235-249
    • /
    • 2008
  • The paper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to compare Chinese students' and teachers' mathematics related beliefs, including belief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ir beliefs. Based on the results, we give some recommendations.

  • PDF

조리실기 과목의 원격교육 활용을 위한 실증연구 - 2년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식교과목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Distance Learning to Practical Cooking Class - With a Focus on Korean Food Cooking Class in Culinary College Students -)

  • 강재희;정유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9-260
    • /
    • 2011
  •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verify whether distance learning can be adopted in practical cooking class for Korean foods in a two-year college.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can be a supplementary method to the traditional cooking class. The face-to-face teaching method an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of the one is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practical cooking cla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e-to-face class evaluated their class experience higher than those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with respect to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On the contrary, regarding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face-to-face class. The end result supports the claim that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he participants for gaining cooking knowledge.

U-러닝 환경에서의 통합적 수업 전략 연구 (The Study o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Learning)

  • 유정아;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27-134
    • /
    • 2009
  • 무선인터넷과 이동형 컴퓨터의 발달로 다양한 수업 전략과 새로운 교육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러닝의 환경에서 수업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통합수업 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효과적으로 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육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동 단말컴퓨터를 지원하는 3개의 핵심적인 교육 요소로 교육내용, 시간요소, 공간요소로 범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핵심 교육 요소를 통합하여 이동형 컴퓨터 기술을 적용한 통합적 수업 전략을 제안하였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수업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통합적 수업 전략은 효과성 지표로 제시된 고차원적 사고 및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의 영역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u-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교육을 촉진시키고 총체적인 통합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대한 e-Learning 적용 효과 (The Effect of e-Learning Application to the Unit of Making Short Trouser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정복희;손원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는 중등교육과정의 의생활 단원 중 반바지 만들기 수업에 e-Learning 적용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e-Learning 수업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인터넷 카페를 개설하고, 여러 곳에서 개발한 기존의 의생활 관련의 콘텐츠를 활용하였으며, e-Learning 수업을 위한 인터넷 카페 운영의 효율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e-Learning 수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업 후 학생들의 반응을 설문 조사하였다. 요약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활용 수업으로 가정 교과 학습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여러 가지 학습콘텐츠를 제공하였다. 둘째, e-Learning 활용 수업을 위하여 학습 자료실에 교과서외의 다양한 자료와 심화 보충 학습 자료를 탑재하여 수준별 선택학습이 가능하였다. 셋째, 과제 결과물을 모든 학생들이 같이 볼 수 있어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며, 과제 제출물에 대하여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넷째,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간에 쌍방향적 교류가 가능하므로 교과학습 내용이나 과제에 대한 의견 교환으로 효율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친 상담도 수시로 이루어져 학습지도, 진학지도 및 인성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섯째, e-Learning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의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와 이해가 증가되었고 스스로 공부하는 학습 태도나 습관이 길러졌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e-Learning활용 수업이 도움이 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방과후에도 계속 학습할 수 있고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과제제출방법이 간편하다는 것을 들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과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보다 발전적인 연구를 위하여 e-Learning 교수 학습 모형에 따른 다양한 가정과 영역별 적용 사례 개발 및 발굴이 진행되어야 하며, 사이버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으로 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의 제작 보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대학의 UCC 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University's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 권명순;간진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37-95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rationale which are applicable effectively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Firstly, we have designed the rationale based on the research of documents and preceding researches about teaching method models. Secondly, we have developed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rationale was assessed by the professional formative evaluation group and tested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n advance and thereafter. It was finally rectified and supplemented. Particularly, any corrections were to be made repeatedly in the stage of developing of the UCC project. And also, during the assessment and arrangement process, it was design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as learners who combin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articipants'subjects of the curriculum and professional vocational skills by performing the nursing science training scene which could happen in the field. Thirdly, the final version of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verified in its effectiveness by being applied in the field of the nursing science education in the $2^{nd}$ step. As a result, we noticed that learners diverse abilities were improved through systemic process and performing elements such as teaching plan which was needed for designing the UCC project in the field, making storyboard and skills for making video contents. We hope that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is study will be used by the students for designing, developing and utilizing educational UCCs which are necessary in industrial fields and it will contribute for training university students as professionals having the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Curriculum that Applies Team-Based Learning)

  • 김재엽;이웅균;조민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21-432
    • /
    • 2021
  • 최근 대학에서는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인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대학의 강의 운영현황 및 팀기반학습 강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팀기반학습 강의의 학습절차, 주차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방안 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은 국내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각 대학에서는 대학별 교육여건과 교수자 및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통계 수업에서 가르치기가 수학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aching on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in university statistics class)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99-108
    • /
    • 2021
  • 다른 사람에게 학습 자료를 가르치는 것의 이점은 학업 성취도에서 나타났다. 불안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수학 불안은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통계를 학습할 때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수학 불안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통계수업에 등록한 학생들 59명이 참여했고 30명의 학생은 그룹 안에서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했고, 29명의 학생은 수행하지 않았다. 그룹 과제를 제외하고 강사, 강의, 문제 풀이 과제와 시험은 모두 동일했다. 그 결과,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의 수학 불안은 학기 말에 감소하였다. 수학 불안이 증가하면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학습 성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수학 불안과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으로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르치기는 수학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학습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