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검색결과 1,754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 통계 수업에서 가르치기가 수학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aching on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in university statistics class)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99-108
    • /
    • 2021
  • 다른 사람에게 학습 자료를 가르치는 것의 이점은 학업 성취도에서 나타났다. 불안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수학 불안은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통계를 학습할 때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수학 불안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통계수업에 등록한 학생들 59명이 참여했고 30명의 학생은 그룹 안에서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했고, 29명의 학생은 수행하지 않았다. 그룹 과제를 제외하고 강사, 강의, 문제 풀이 과제와 시험은 모두 동일했다. 그 결과,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의 수학 불안은 학기 말에 감소하였다. 수학 불안이 증가하면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학습 성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수학 불안과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으로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르치기는 수학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학습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재학생들의 사회과 학습의 역동성을 지원하는 협력교수 체제의 구안 (Construction of cooperative teaching system to support dynamics in gifted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 박해진;백순화;남율수;노경현;이수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36
    • /
    • 2005
  •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지도 방법에 협력교수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살펴보고, 사회과의 교수-학습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교수 방안과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것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여러 교육현장에서 이 개념에 근거한 방법적 적용들이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둘째,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 교과의 교수-학습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주어진 여러 물리적.인적 여건을 고려하여 사회과의 협력교수 방안을 탐색하였다. 넷째, 협력교수의 한 방안으로 제시된 '세미나 수업'의 일부분을 시행하였다. 세미나의 대주제는 시사성이 있는 통합적 주제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였으며, 지리, 역사, 일반사회, 윤리 및 사상을 담당하는 교사와 희망한 학생들이 영역별 소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와 협력학습이 진행되었다. 다섯째, 세미나 준비와 발표등의 과정에서 교사-교사, 학생-학생,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있었고, 특히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은 협력교수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사회과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사회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을 익히고 동시에 사회현상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안목을 넓히게 되었다.

한국 가정생활 문화 관련 단원의 학습에서 ICT활용 수업이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 전통문화의식, 학업성취 및 수행평가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CT Teaching Method on Interest in Home Economics,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Achievement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Borne Economics Instruction)

  • 하영희;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35-150
    • /
    • 2003
  • This research was to verity the effects of ICT teaching method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 ICT teaching method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home economics and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in teaming the uni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home life’? 2. Is the ICT teaching method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teaming the uni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home life’?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following procedure: developing the homepage and lesson plans for ICT teaching, constructing questionnaire, and testing its reliability, pre-testing, treatment for 8 weeks, and post-testing. Two groups were arranged for 8 weeks experiment from May 7,2001 through June 30,2001. Sixteen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experiment group whereas 8 hours of ICT teaching and 16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mparison group were input. SA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ed pairs t-test were peformed for answering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Sixteen hours of ICT teaching and 8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experiment group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assessment. 2. Eight hours of ICT teaching and 16 hours of traditional lecture for comparison group was not effective in learning home economics. This means that at least 2 hours of ICT teaching is demanding for effective learn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ICT teaching will be effectively applied in high school home economic with well developed ICT teaching materials. And home economics educators should continuously put effort in developing curricular,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home economics.

효과적인 자동차 전기공학교육을 위한 총괄 교수 - 학습 시스템의 개발 (A Development of Effective Total Educational System of Electrical Engineering for Automobile Engineer)

  • 손일문;이중순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67-77
    • /
    • 2006
  •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질적 고도화 요구에 발맞추어, 자동차공학 교육에서도 실험실습 기자재를 중심으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도입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에서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기자재에 대한 활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기자재를 중심으로 일체의 강의 자료들을 체계화한 이른바 총괄 교수-학습 시스템의 개념을 정의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자동차공학의 전기장치 분야에 대한 총괄 교수-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효율적인 강의 및 실험실습의 수단으로서 강의 프로세스 상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Effect of PBL on Self Leadership, Nursing Leadership,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Applying Flipped Learning

  • Park, Jung-H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62-168
    • /
    • 2021
  •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to self leadership, nursing leadership, and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87 4th nursing students who took nursing management from March 15 to April 26, 2021.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elf leadership, nursing leadership, and confidence. The measurement of self leadership is a 5-point Likert scale that employs a questionnaire. Flipped learning uploaded a 5-8 minute lecture video, and the subjects learned on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PBL teaching was developed about personal growth, cooperation, nursing excell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influ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ducation than before education(t=-6.27, p<.001). Nursing leadership and confidence were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education(t=-16.10, p<.001; t=-2.37,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improving leadership, and confidence.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e and verify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applying nursing experts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leadership.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Building Construction Curriculum that Applies Team-Based Learning)

  • 김재엽;이웅균;조민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21-432
    • /
    • 2021
  • 최근 대학에서는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인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대학의 강의 운영현황 및 팀기반학습 강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팀기반학습 강의의 학습절차, 주차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방안 등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은 국내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각 대학에서는 대학별 교육여건과 교수자 및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1-263
    • /
    • 2011
  • 학교 교육의 내실화 및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가 수준의 차원에서 좋은 수업 선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그리고 교사 지식에 관한 특징 규명 및 이를 통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등이 교과별로 꾸준히 시행되어 왔다. 이의 궁극적 목적은 교사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의 계발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자 함이다. 이의 실천적 방안의 하나로, 교사 자신 및 동료 교사의 수업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에 관한 평가기준 개발 및 관련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교사 지식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에 초점을 두어 이 에 적합한 수업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환경기초시설을 활용한 환경교육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埋立場을 中心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 Focus on the sanitary landfill -)

  • 곽홍탁;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2호
    • /
    • pp.91-102
    • /
    • 2000
  • N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recommends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survey and discuss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nvestigation of case studies, experiments, role play, and field-experienc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a good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ly sound attitude an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but here has been very limited research concerning models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In this study a kind of such a basic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developed basic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was applied to the case utilizing landfill faciliti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landfill program to the Bangcheon-ri landfill, in Daegu, was also presented with related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ies. And various aspects in the program was discussed.

  • PDF

집단 지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 추천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algorithm of collective intelligence)

  • 김근호;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1-243
    • /
    • 2014
  • 본 연구는 학습자 및 교수자의 학습 방법 및 교수방법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집단 지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발 하여 학습자 및 교수자가 효과적인 학습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쇼핑몰이나 영화등에 적용되는 추천시스템을 교육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주제를 선정시 학습자 수준, 학습환경, 학습자의 상태등에 따른 적절한 학습 방법 및 교수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는 본인에게 알맞은 학습 방법을 찾는데에 더 효율적이여 교수자는 교수학습과정을 설계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학습 콘텐츠 추천시스템에 대한 정확성 및 효용성은 교수자 및 학습자들의 지속정인 사용으로 데이터가 쌓인 후 사용자들의 평가를 통하여 검증이 필요 할 것이다.

  • PDF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Met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by th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of learning mathematics)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31-45
    • /
    • 2020
  •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