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tudent Architectu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FTSnet: 동작 인식을 위한 간단한 합성곱 신경망 (FTSnet: A Simp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ction Recognition)

  • 조옥란;이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8-879
    • /
    • 2021
  • Most state-of-the-art CNNs for action recognition are based on a two-stream architecture: RGB frames stream represents the appearance and the optical flow stream interprets the motion of action. However, the cost of optical flow computation is very high and then it increases action recognition latency. We introduce a design strategy for action recognition inspired by a two-stream network and teacher-student architecture. There are two sub-networks in our neural networks, the optical flow sub-network as a teacher and the RGB frames sub-network as a student. In the training stage, we distill the feature from the teacher as a baseline to train student sub-network. In the test stage, we only use the student so that the latency reduces without computing optical flow. Our experiments show that its advantages over two-stream architecture in both speed and performance.

동작 인식을 위한 교사-학생 구조 기반 CNN (Teacher-Student Architecture Based CNN for Action Recognition)

  • ;이효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3호
    • /
    • pp.99-104
    • /
    • 2022
  • 대부분 첨단 동작 인식 컨볼루션 네트워크는 RGB 스트림과 광학 흐름 스트림, 양 스트림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RGB 프레임 스트림은 모양 특성을 나타내고 광학 흐름 스트림은 동작 특성을 해석한다. 그러나 광학 흐름은 계산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동작 인식 시간에 지연을 초래한다. 이에 양 스트림 네트워크와 교사-학생 아키텍처에서 영감을 받아 행동 인식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제안 신경망은 두 개의 하위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다. 즉, 교사 역할을 하는 광학 흐름 하위 네트워크와 학생 역할을 하는 RGB 프레임 하위 네트워크를 연결하였다. 훈련 단계에서 광학 흐름의 특징을 추출하고 교사 서브 네트워크를 훈련시킨 다음 그 특징을 학생 서브 네트워크를 훈련시키기 위한 기준선으로 지정하여 학생 서브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테스트 단계에서는 광학 흐름을 계산하지 않고 대기 시간이 줄어들도록 학생 네트워크만 사용한다. 제안 네트워크는 실험을 통하여 정확도 면에서 일반 이중 스트림 아키텍처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시성장에 따른 효율적인 중학교군 설정 방법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의 중학교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ropriate Allotment Methodology of Middle School District According to Urban Growth -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District in Sejong City -)

  • 조창희;이화룡;동재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18
    • /
    • 2016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efficient settlement of middle school district and the appropriate allo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It focuses on the middle school district in Sejong city wher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long-term plans of school establishment, the current state of the student accommodation and the number of increa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continuing developments. To set up the efficient school district, it investigates the number of students per school district, school location and the commuting condition to each school. Throughout a question investigation to school parents, it analyzes the school choice factors - distant to school, school environment, school facilities, teacher's passion, the school curriculum, and so on. Furthermore it carries out focus group interview(FGI) targeting parents and teachers. It proposes a short-distance allotment method as an appropriate dispos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Sejong city, which conducts a process of the first-application and the later-draw with a community as a unit.

국내공립학교의 국제인증기준과 단위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 and Unit Spatial Organization of Public School in Korea)

  • 이을규;전유창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16
  • Recently, Korea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ternational Schools manifesting to improve the nation's capacity of the foreign languages skill and to cultivate internationally trained professional manpower. In order to achieve the vision of a world-class educational organization, it has to be designed for the facility standards to meet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basic resources through comparison of facility conditions between public schools in Korea and international accredited schools. By comparing those two different plan drawings are found the following things. First, Schools which established with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 are prepared detailed criteria for the facility, Furthermore information about the furnishings included, in addition to specific equipments for classes are stated to be prepared. Secondly, it is more effective when special classrooms such as music and science are equipped with various spatial elements, enough educational equipment storage, teacher's study rooms, practical training rooms and student's activity rooms to support various teaching programs and learning efficiently. Lastly, there was a clear tendency that not only hardware but also software standards for the audiovisual room and library have been more enhanced to enable multidisciplinary educational approaches with the recent education training trend.

학교공간혁신사업 운영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교육청 미래교실사업 매뉴얼 중심으로 - (A Study on Guideline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 focused on the Manual for Project of Future Classroo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

  • 박열;최진희;오승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1-16
    • /
    • 2020
  • Today,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changing from teacher-centered, facility-centered, suppli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people-centered, and user-centered. In 2019,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ed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to provide a school space as a balanced life space, such as learning, play, and rest,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led by students, who are the leaders of the future society. Based on this,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prepared a manual for practice while carrying out a project to build a future classroom. In those projects 'user participatory design' is applied as a new design approach and facilitators play an important role as experts in the proces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guidelin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erms of facilitator role; facilitator in Incheon's future classroom projects can be in charge of designer par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design scope was limited to the classroom space and the construction permit work was not applied, and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eems to be able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lan derived through 'user participatory desig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facilitator. However, this may be consider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the case of the school unit project, it is considered that more systematic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도동서원의 강학영역의 공간구성 (Spatial Configuration of Education Area in Do-dong Seowon)

  • 강태중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9-68
    • /
    • 2023
  • A new type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e appeared starting from the 16th century, called Seowon consist of educational spaces and Jesa(a form of memorial ritual for the family's ancestors) space. Seowon Architecture is representative Confucian Architecture. Seowon is a kind of private school and it is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e. the time of establishment was from the middle of 16th century to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amous Seowon which remains up to now had been mainly buil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Seowon was built on a quiet place far from the town for Students and Scholar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y. and it has beautiful surrounding scenery. Seowon has a place for study in the front and a place for sacrifice at the back regardless of configuration of ground. Gangdang is a building in the place for study in which teacher and students study. It is smilar place to Myongryundang of Hyanggyo. As a plan composition, there is a wide Daechong and two rooms at the both sides. Infront of Cangdang, there are Dongjae and Seojae on the right and the left side which are student' dormitor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fucianist ideas and topography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ierarchy Seowon. In light of this,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Education Area in Do-dong Sewon attempted to conduct an analysis by applying such backgrounds, and therefore studied the arrangement rul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Seowons.

명상숲의 중요도-만족도 평가 - 광주광역시 중학교를 대상으로 -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Meditation Forest in Schools - Focusing on Middle Schools in Gwang-Ju City -)

  • 강태순;정문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8-80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교 명상숲의 물리적 환경특성과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중학교 명상숲 조성에서 이용자 중심의 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명상숲 대상지의 부지특성, 자연성 기능성, 효과성을 바탕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24항목을 선정하였다. 광주광역시의 중정형 A, B 중학교 두 곳에서 대상지 현황조사분석과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명상숲에 대한 인식과 이용정도는, 두 학교 모두에서 학생의 명상숲 인식정도와 이용률이 교사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교 간 집단비교 결과는 A학교가 B학교에 비해 이용 및 인식정도가 매우 양호하였다. 둘째, 명상숲 이용행태는 휴식(49.6%), 주중 점심시간(63.6%), 친구(65.0%) 또는 동료(60%)와 함께 10분 이하(68.6%)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이 피는 식물(30.0%)과 녹음수(28.9%)를 좋아하며, 주로 쉼터(57.9%)와 산책로(37.1%)를 이용하였다. 셋째, 중요도,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 24개 항목에 대한 평균은 중요도(3.81)가 만족도(3.62)보다 높았다. I사분면(지속적 유지)의 항목들은 9개, II사분면(우선적 시정)의 항목들은 3개, III사분면(관리운영 시 저우선순위)의 항목들은 7개, IV사분면(과잉노력의 지양)의 항목들은 5개이다. 두 학교 간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16개 항목에 대해서 A학교 만족도가 B학교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A학교 명상숲에 규모가 더 큰 숲과 산책로가 확보되어 있고, 접근성이 더 용이하며, 다양한 식재유형 및 식재면적이 제공되고 있어 B학교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전반적 만족도 분석결과에서 A학교(68.0%)와 B학교(47.2%)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A학교의 주요 만족공간인 산책로와 쉼터가 B학교보다 더 잘 조성되어 있어 만족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가장 만족하는 공간의 순위로 산책로(1위), 쉼터(2위)가 선정되었고, 만족하는 이유는 A와 B학교 모두 휴식(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함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선시대 사가(私家) 정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A Cases of Crane Breeding(養鶴) at Private Homes(私家)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2-5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가 정원에서 학을 기른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여기에 반영된 보편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실체에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내용적 범위는 사가(私家)에서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관련 연구자의 번역 자료도 추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친, 사대부, 향촌 사족, 평민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이 학을 기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을 기른 인물 중에는 조선시대 정치와 학문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도 있으며 일부 경우에서는 평생에 걸쳐 처사의 삶으로 일관하며 학을 기른 인물도 있었다. 둘째, 전국 경향각지에 학을 기른 사람들이 있었다. 특히 한양 도성 내를 비롯해 인근에서도 여러 사례가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셋째, 학을 기르는 행위는 혈연과 교우관계, 사승 등 학맥과 관련성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학 기르기는 단순한 취향이나 풍류이기 보다 한 인물의 삶의 태도와 지향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임포의 고사를 토대로 하는 성리학적 출처의식이 학을 기르는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의 경우에서는 도가적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사례도 있었다. 다섯째, 학을 길들이는 것을 생업으로 삼은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학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존재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번역 자료에 의존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추후 자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가 더욱 축적된다면 보다 풍부한 사례를 확인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