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1,283건 처리시간 0.03초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Child Care Teachers' Reflective Assessment on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 유병예;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43-157
    • /
    • 2013
  •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child care training in depth with the following content: the goals of child care teachers preparing for practical training; how they perform and feel about their roles throughout the training period as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evaluation after the training period. A total of 10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training activitie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qualitatively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have expectation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take time for self-evaluation while preparing for teaching. Also, child care teachers set a goal of helping prospective teachers develop into outstanding teachers and have expectations for it. Second, child care teachers evaluate prospective teachers by treating them as colleagues while teaching them. Furthermore, child care teachers consider themselves as educators who train and produce child care professionals. Prospective teachers define their roles as assistants and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addition, child care teachers feel a sense of pride by performing as hands-on training teachers. At the same time, they reflect on themselves by evaluating their duties as educato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rospective teach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suggested the need for changing the training system for themselves and prospective teachers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the gaps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should be reduced through solid training for acquir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both pla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changing child care environment. Finally, th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train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in their institution.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공학수학 수업모형의 설계원리 개발 (Development of The Design Principles for Engineering Mathematics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College)

  • 정애경;이상회;홍유나;김능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1호
    • /
    • pp.36-44
    • /
    • 2011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수학 기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공학수학 수업모형의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D 대학 디지털전자과의 교수 학습환경 분석과 함께 산업체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요구분석 결과와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학수학 수강생들의 기초수학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의 기반 설계이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모형의 기반 설계이론으로는 (1) 수학 기본개념과 반복훈련을 통해서 수학 기초학습능력을 높이고, (2) 동료 학습자간 협력적 문제해결활동을 통해서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고, (3) 학습자의 성찰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수업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체계적인 점검과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4)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문가 설문에 의한 초·중등학교의 정보윤리 학습요소 및 교수법 연구 (A Study about Learning Elements and Teaching Methods of Information Ethic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by Expert Survey)

  • 최현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59-26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정보윤리 교육을 위한 학습요소 및 교수법을 전문가 설문 방법으로 연구하여 제안하였다. 최근 인터넷이 생활의 새로운 장이 되었지만 올바른 인터넷 활용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은 초,중등학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정보 교육이 실제 초,중등학교에 이루어지 위해 가장 우선해야 될 것은 바로 교육을 위한 학습요소의 선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설문을 통해 초,중등학교에서 교육해야 할 학습요소를 추출해 보았고, 이를 학교급별로 다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된 정보윤리 학습요소가 실제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가르쳐지기 위해 각 학습요소에 적합한 교수법을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윤리 학습요소와 교수법만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정보윤리를 가르칠 수는 없다. 하지만, 정보윤리 관련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실제 정보윤리 교과서를 제작하는 데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사서교육전공 석사과정 졸업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with Master's Degree in Educational School Librarianship)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01-225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교육전공 학생들의 석사과정 중 학습경험이 어떤 의미와 본질을 지녔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K대학교 석사과정을 졸업한지 2년 이내인 전공생 12명을 대상으로 도입 질문, 소개 질문, 주요 질문, 마무리 질문의 4가지 종류로 정한 개방형 질문 방식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뒤 답변 내용을 분석하여, 석사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해 9개의 주제, 35개의 범주, 10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각 영역별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석사과정 진학 동기는 임용고시 응시를 위한 조건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학습경험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 중 평균 7.66점이었다. 또한 석사과정 동안 가장 불만족스러웠던 부분은 학교도서관 운영과 사서교사 임용고시에 도움 되지 않는 교과목과 수업 내용이었기 때문에,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Book Cu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곽순임;오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15-42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현황, 북 큐레이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북 큐레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51명의 경기 지역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운영 현황을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6.3%가 북 큐레이션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자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셋째, 북 큐레이션의 주제는 도서 관련 행사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선정하며, 넷째, 사서교사들은 북큐레이션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지만 공간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 연구가 북 큐레이션의 실제를 보고하는 데이터로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도서관의 자원이 사장되지 않고 이용자와 적극적으로 매칭되기 위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적 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6th and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a)

  • 최선영;강호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06-716
    • /
    • 2002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 탐구 기능과 교수 학습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탐구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 기능은 증가하였으나 통합탐구 기능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6차에서는 조사 학년 모두에서 기초탐구 기능보다 통합탐구 기능의 비율이 높았고, 제7차에서는 저학년에서는 기초탐구 기능이, 고학년에서는 통합탐구 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탐구 기능을 기초탐구 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기초탐구 영역에서는 관찰기능이 각각 63.8%, 54.4%, 통합탐구 영역에서는 문제인식에 관한 탐구 활동이 각각 75.3%, 82.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탐구 기능 전체를 비교해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에서 관찰(24.8%), 분류(5.4%), 측정(5.6%), 추리(6.0%), 자료해석(4.4%) 기능이 증가하였고, 예상(3.8%), 가설 설정(0.5%), 변인통제(1.8%), 자료변환(1.2%), 결론도출(0.8%), 일반화(0.9%) 기능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관찰학습이 감소한 반면에, 실험학습, 토론학습, 조사 및 과제학습과 창의학습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는 제6차에 비해 기초탐구학습과 통합탐구기능이 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성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특징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Explan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Description of Observable Lunar Phases)

  • 신윤주;안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4-20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관찰의 맥락을 강조한 달의 위상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그 특징을 파악하여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30명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을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현상의 관찰과 이에 대한 과학적 추론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달의 위상별 출몰 시간표를 도입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태양이 뜨면 달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달이 떠 있다면 무조건 달을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대안 개념이 확인되었다. 셋째, 달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위에 대해서는 태양의 위치와 무관하게 관찰할 수 있다거나 남중할 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달을 관찰하는 날짜는 음력으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육학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2-4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 분석 (Analysis of Programming Questions of the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0호
    • /
    • pp.291-29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정보·컴퓨터 표시과목의 임용시험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이 프로그래밍 능력을 겸비한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연구하였다. 최근 5년 동안의 문항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래밍 문항의 평균 배점이 교과내용학 총점의 38%(20.8점)로 높게 나타났다. 기출문항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의 배점 비중이 높은 과목은 프로그래밍과 자료구조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평가영역별 배점분포를 분석한 결과 각각 0%~47%, 0%~53%로 영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문항이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에서 평가할 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컴퓨팅 사고력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항의 적합도에 대한 응답에서 문제해결력이 5점 척도 기준에서 2.84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를 위해 적합한 언어로 C언어와 파이썬의 응답이 각각 55%, 45%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교사들은 기존의 C언어 외에 파이썬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