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seled Cap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임상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영상 알고리즘 변별력 실증 연구 -KOMPSAT-MSC를 이용한 경주지역을 대상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iscrimination of Image Algorith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Forest Type Classification -Case of Gyeongju Area Using KOMPSAT-MSC Image Data-)

  • 조윤원;김성재;조명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5-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경주시 내남면을 대상으로 KOMPSAT-2 MSC(Multi Spectral Camera) 영상(2007.06.12)을 기반으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TCT(Tasseled-Cap Transformation) 영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DN 분포도를 작성 하였다. NDVI 및 TCT DN 분포도와 산림 현장 조사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임상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영상 알고리즘 변별력 분석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현장조사 자료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임상분류 정확성을 검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OMPSAT-2 MSC 영상을 이용하여 임상 분류 자동화 실용성에 대한 검토와 정밀 산림 임상도 제작과정에서 저비용 고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산불 후 식생 회복 모니터링을 위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RGB 합성기술 (RGB Composite Technique for Post Wildfire Vegetation Monitoring Using Sentinel-2 Satellite Data)

  • 김상일;안도섭;김승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939-946
    • /
    • 2021
  • 산불로 인한 피해지역의 산림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식생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자연 재해를 완화하고 복구하기 위해 공간정보를 가지는 원격탐사 자료는 모니터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복구 측면에 초점 두어 연구된 사례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화재 후 식생회복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Sentinel-2 위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불 피해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불피해지역의 식생회복 모니터링을 위해 Tasseled Cap 선형회귀 추세를 기반으로 RGB 합성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시각화 기법을 통해 효과적인 모니터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충청남도 임상 분석 및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Analysis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the Forest Carbon Stocks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i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 김성훈;장동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6-216
    • /
    • 2014
  • 본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과 수치임상도 등을 이용하여 충청남도의 임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임상분석은 NDVI 방법과 Tasseled Cap, ISODATA, 감독분류 등을 사용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기초로 임상통계를 활용하여 충청남도의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임상분석에서는 감독분류를 통한 임상분석이 가장 높은 전체정확도를 보였으며, 충청남도 전체 임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침엽수(49.3%), 활엽수(28.0%), 혼효림(22.7%)로 나타났다. 수정된 수치임상도를 통해 추정된 산림 탄소저장량과 다른 추정 방법들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Tasseled Cap과 무감독분류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유사한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지만, 단순히 수치임상도만을 이용한 경우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위성영상 및 수치임상도를 통합하여 탄소저장량을 추정한다면 국가단위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교목연령 추정에 영창을 주는 영상 밴드 및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imber Age, Image Bands and Vegetation Indices for Timber Age Estimation Using Landsat TM Image)

  • 이정빈;허준;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3-590
    • /
    • 2008
  • 본 논문은 Landsat TM 영상을 활용하여 교목연령 추정과 이와 관련이 있는 영상의 밴드값과 식생지수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취득시기가 다른 Landsat TM 영상 (1990, 1994, 1998년)과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과 National Elevation Dataset(NED) 영상의 차분영상이 사용되었으며 밴드 4, 5, 7 영상, 태슬모자형 변환을 통한 녹색식생지수, 토양수분지수 영상, 정규식생지수 (NDVI), 적외선지수 (II), 식생상태지수 (VCI), 토양보정식생지수 (SAVI) 영상은 Landsat TM 영상에서 추출되었다.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된 값인 총 1992개 자료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교목연령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높은 결정계수($R^2$)값을 보이는 요소로는 태슬모자형 변환 토양수분지수. 적외선지수 (II), 식생상태지수 (VCI) 영상이며 이들 값이 교목연령을 추정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GE ESTIMATION TECHNIQUE OF INDUSTRIALIZED TIMBER PLANTATION USING VARIOUS REMOTE SENSING DATA

  • Kim, Jong-Hong;Heo, Joon;Park, Ji-S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94-97
    • /
    • 2006
  • Timber stand age information of timber in industrialized plantation forest is generally collected by field surveying which is labor-intensive, time-consuming, and very costly. It is also inconsistent in analyses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practical solution for estimating timber age of loblolly pine plantation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TM) images,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and national elevation dataset (NED). A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upon satellite image-based information (i.e.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tasseled cap (TC) transformation, and derived tree heights). A residual studentized technique was applied to remove potential outliers. After that, a refined age estimation model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square of 84.6% was obtained. Finally, the feasibility test of estimated model was performed by comparing estimated and measured stand ages of timber plantations using test datasets of plantation stands (2,032 stands).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of this study can estimate loblolly pine stand age within an error of $2{\sim}3$ years in an effective and consistent way in terms of time and cost.

  • PDF

원격 탐사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한 기저면적 예측 지도 제작 (Basal Area Mapping using Remote Sensing and Ecological Data)

  • 이정빈;;허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21-629
    • /
    • 2008
  • 인도의 Tamil Nadu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Landsat ETM+ 영상과 현장 조사 자료(기저면적, 개체 수, 종의 수)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자료를 통하여 (1) 영상의 분류, (2) 식생지수 영상의 추출(NDVI, Tasseled Cap 토양명도, 녹색식생, 토양습도), (3)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결과를 보인 NDVI와 기저면적(Basal area)을 이용한 식생다양성 분포 예측 지도 제작이 이루어 졌다. 기저면적과 NDVI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대상지역 영상분류 결과 69%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다.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시화지구 일대의 지표환경변화와 토공량 예측연구 (Geo-surface Environmental Changes and Reclaimed Amount Predic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e Siwha Area)

  • 양소연;송무영;황정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161-176
    • /
    • 1999
  • 해안매립의 적지로 선정된 시화지구 일대의 시화방조제와 안산신도시개발과 관련된 지표지형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년도별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시화방조제 완공으로 노출된 간척지의 매립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시화지구 일대의 인위적인 인간활동과 관련된 년도별 지형의 변화양상과 퇴적물의 분포양상, 산림의 토지피복상태, 그리고 변화된 토지피복현황을 관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위성영상합성, Tasseled cap, 식생지수와 감독분류기법을 이용하였다 매립계획이 수립된 간척지의 매립량을 토목공사 이전에 추측하기 위하여 지질도, 시화간척지 조성계획도, 지상 DEM, 해저 DEM자료층을 지형도, 지질도, 해도, 시화지구 계획도면으로부터 추출하였다. 또한, 인공위성 영상자료 중 감독분류 영상을 분석하여 인근육지의 절취예상 가능위치를 추출하였다 해안선 및 연안지역의 지표지형변화 관측을 위한 처리기법 중 Tasseled cap으로 노출된 조간대의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지역을 관찰하였고, 식생지수 기법으로 식생지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림피복 분포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감독분류 영상으로부터 년도별 토지피복 변화현황을 관찰하였다. 수치지형분석으로 계산된 시화지구 간척지의 총매립량은 $581,485,354\textrm{m}^3$이고, 이를 호수공원 하부에서 준설할 경우 예상되는 최종 호수공원의 깊이는 9.2m이다. 또한, 계획단지 주변에 제방을 축조할 경우, 소요될 매립량은 $3,387,360\textrm{m}^3$이며, 이를 인근육지로부터 절취한다고 가정할 때, 선감도와 송산면일부, 대부도일부 예정지의 절취량은 각각 $5,229,576\textrm{m}^3,{\;}79,227,072\textrm{m}^3,{\;}47,026,008\textrm{m}^3$이다. 따라서, 제방 축조시 필요한 토공량은 대부도일부의 절취량만으로도 충분히 충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도권 지표특성 분석을 위한 Landsat 자료의 활용 (Conjugation of Landsat Data for Analysis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in Capital Area)

  • 지준범;최영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4-68
    • /
    • 2014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의 지표면 특성분석을 위하여 Landsat 위성자료(Landsat 5, Landsat 7, Landsat 8)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표 특성지수와 지표면 온도를 계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Landsat 자료는 가을철 자료로써 1985년 10월 21일의 Landsat 5, 2003년 9월 29일의 Landsat 7 그리고 2013년 9월 1일의 Landsat 8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주변지역에 대하여 토양조절 식생지수, 수정 정규 습윤지수, 정규 습윤지수, 태슬 모자형 밝기, 태슬 모자형 초록, 태슬 모자형 습윤, 정규 식생지수, 정규 건설지수와 같은 지표 특성지수와 지표면 온도를 산출하였다. 대부분의 지표 특성지수들은 도시, 시골, 산, 건물, 강 그리고 도로 등에서 잘 구별되었다. 특히, 도시화의 특징은 서울 주변의 신도시(예, 일산)에서 잘 나타났다. 정규 식생지수와 정규 건물지수 그리고 지표면 온도에 따르면 도시의 확장은 서울의 주변지역에서 뚜렷이 보였다. 지표면 온도와 지표고도는 식생 또는 건설물의 구조와 분포를 나타내는 정규 식생지수 그리고 정규 건물지수와 강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정규 식생지수는 지표면온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지표고도와 음의 상관성을 가지는 반면, 정규 식생지수는 지표면온도와 지표고도에 대하여 각각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andsat의 정규 식생지수와 정규 건물지수는 수도권지역에서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Landsat 8과 Landsat 5에서는 -0.6 이하의 강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Landsat 7에서는 -0.5 이상의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KOMPSAT MSC 영상을 이용한 임상분류 알고리즘 변별력 실증 연구

  • 조윤원;김성재;조명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경주시 내남면 일대를 대상으로 KOMPSAT MSC(Multi Spectral Camera) 영상(2007.06.12)을 이용하여 TCT(Tasseled-Cap Transformation),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포도를 작성 하였으며 TCT DN 값을 기초로 영상 강조 및 변환을 통한 임상분류에 적합한 밴드 추출과 NDVI 분포도에서의 DN값을 기초로 산림현장 조사 결과에서 취득된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알고리즘에 대한 임상분류에 있어서의 변별력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OMPSAT MSC 영상에서의 임상분류를 위한 식생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Identification of riparian vegetation using Spectral Mixture Analysis of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

  • Kim, Sang-Wook;Park, Chong-Hw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75-177
    • /
    • 2003
  • To monitor riparian wetlands as one of complex natural ecosystems using remotely sensed data, we need to concurrently consider vegetation, soil and water which constitute complicated wetland ecosystems. To identify riparian distribution we adopted linear Spectral Mixture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identification accuracy of riparian areas. This study has indicated that linear SMA adopting tasseled cap endmember selection is an enhanced routine for Identification of riparian wetlands and phenologically autumn imagery is more appropriate to detect riparian vegetation in the Paldang water catchment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