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mias sibiricu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8. 다람쥐(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의 형태적 형질, 염색체 핵형 및 미토콘드리아 DNA절단 단편의 분석과 만주다람쥐(Tamias sibiricus orientalis Bonhote)와의 형태적 형질의 비교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Rodents : VIII. Analyses of Morphometric Characters, Chromosomal Karyotype, and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s in Siberian Chipmunks from Korea (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 with the Comparison of Morphometric Characters of Siberian Chipmunks from Manchuria (Tamias sibiricus orientalis Bonhote))

  • Hung Sun Ko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2호
    • /
    • pp.231-243
    • /
    • 1994
  • 한국에 살고 있는 다람쥐(Tamias sibiricus barberi)의 형태적 형질, 염색체 핵형 및 미토콘드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 골수세포 및 blot-hybridization법으로 표본들을 분석하였다. 아종 barberi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위하여, 만주에 살고 있는 다람쥐(Tamias sibiricus orientalis)의 표본들의 형태적 형질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한국의 6개 지역의 다람쥐는 서로 형태적으로 유사했으며, 만주산 다람쥐는 한국의 다람쥐와 다른 군을 형서알 정도로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한국의 4개 지역의 다람쥐는 동일한 핵형(2n = 38)을 가졌고, 5개 미토콘드리아 DNA clone이 나타난 한국의 3개 지역의 다람쥐의 미토콘드리아 절단단편의 양상도 서로 유사하였다. 한국산 다람쥐는 단일한 집단이며, Corbet(1978)가 지적했던대로 아종 barberi는 아종 orientalis의 synonym임이었다. 한국과 만주산 다람쥐의 학명은 T.sibiricus orientalis이지만 분류학적 재 검토를 위하여 북한, 만주 및 중국의 표본들을 사용한 계통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Korean Squirrel, Tamias sibiricus)

  • 정태동;이정훈;김상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3호
    • /
    • pp.159-170
    • /
    • 2004
  • 한국산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 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정자변태는 첨체변화와 핵의 형태의 특징을 기초로 하여 골지기, 두모기, 첨체기, 성숙기 그리고 이탈기로 구분하였고, 골지 두모 첨체기는 각각 전 중 후기, 성숙기는 전 후기, 이탈기는 1기로 세분하였다. 따라서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정자변태는 12기(phases)로 구분되어졌다. 골지기(steps 1-3)의 경우,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는 첨체소포가까이에 위치하고, 첨체소포는 3단계에서 핵막과 융합하여 함입되어있다. 두모기(steps 4-6)에서는, 첨체소포가 핵의 표면 위에 넓게 퍼지며 핵의 1/3을 덮고, 첨체과립은 아직 분산되지 않았다. 첨체기(steps 7-9)동안에 있어서, 핵과 첨체는 신장되었으나 핵질은 농축되지 않았다. 성숙기(steps 10-11)에서는 핵질이 더욱 농축되어 졌으며, 미토콘드리아들은 축사의 중심에 완전하게 배열되어졌다. 이탈기(step 12)에서 정자머리는 완전하게 주걱형태의 모양을 갖추고 있었다.

한국산 다람쥐 핵형의 비교연구 II. G-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산 청서(Sciurus vulgaris coreae)와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의 핵형분석 (A comparative Karyotype study on Korean Squirrels. II. Karyotype Analysis of Sciurus vulgaris coreae and Tamias sibiricus asiaticus by G-banding Method.)

  • 김종봉;이희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5-259
    • /
    • 1990
  • G-banding 방법에 의하여 한국산 청서와 다람쥐의 핵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종의 모든 염색체를 동정할 수 있었으며 청서의 9, 10, 12번 염색체 및 X염색체와 다람쥐의 6, 9, 12번 염색체 및 X염색체의 banding pattern이 동일하였다. 또한 청서의 1, 7, 8, 16번 염색체들과 다람쥐의 4, 10, 7, 17번 염색체 사이에 pericentric 역위가 중요한 역할을 한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다람쥐 핵형의 비교연구 I.일반염색과 C-Banding방법에 의한 한국산 청서(Sciurus vulgaris corea) 와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의 핵형 분석 (A Comparative Karyotype Study in Korean Squirrels. I Karyotype Analysis of Sciunis vulgaris coreae and Tamlas sibiricus asiaticus by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and C-Banding Method)

  • 김종봉;이희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2-230
    • /
    • 1990
  • 한국산 청서(Sciunis vulgaris corea)와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의 핵형을 일반 Giemsa- stain과 C-banding stain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청서의 염색체 수는 2n=40이였으며 이 중 6쌍은 중부, 8쌍은 차중부, 3쌍은 차단부 그리고 2쌍은 단부 염색체이었고 X 염색체는 차중부,Y염색체는 acro또는 차단부 염색체로서 NF(arm number)=72(성염색체 제외)를 나타내었다. 다람쥐의 염색체 수는 2n=38이었으며 이 중 3쌍은 중부, 4쌍은 차중부, 5쌍은 차단부, 그리고 6쌍은 단부 염색체이었고 X염색체는 차중부, Y염색체는 중부염색체로서 NF=60을 나타내었다. C-banding분석결과, 청서의 염색체에서는 각 경우 대부분 동원체 (centromere)부위와 말단부(telomere)에 주로 구조적이질염색질이 분포하였고 다람쥐에서는 몇몇 염색체상(제2,3,9번)을 제외하고는 주로 동원체 부위에 구조적이직염색질이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핵형상의 분화에 non-Robensonian 재배열과 구조적 이질염색질의 분포가 중요한 작용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eminiferous Epithelium Cycle in the Korea Squirrel, Tamias sibiricus

  • Jung Tae-Dong;Lee Jung-H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5-283
    • /
    • 2004
  • The annual changes in testis weight and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s, and the seminiferous epithelium cycle of Tamias sibiricus were studied by light microscope. Testis weight and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 a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January to July, and decreased rapidly to the size from August to December. Spermatogenesis occurs from January to July, and spermatocytogenesis are produced from August to December. The cycle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was divided into 12 stages during the development of spermatids as a changes of the nucleus and acrosomal structure, presence and/or absence of residual body, appearance and/or absence of sperm tail and meiotic figure and spermiation. The dark type spermatogonia (Ad) are appeared in all stages (I ~ XII), and the spermatids of step 10 are observed at I, II, X and XII stages. The spermatids of step 11 are appeared in III and IV stages, only the step 12 spermatid observed in V stage.

  • PDF

한국산 다람쥐의 Orientia Tsutsugamushi에 대한 항체양성율 (Seropositive Rate of Orientia Tsutsugamushi in Tamias Sibiricus from Korea)

  • 송진원;이상원;고은영;정기모;이용주;송기준;백락주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68
    • /
    • 2000
  • Among wild chipmunks, Tamias sibiricus, captured in Kyunggi and Kangwon province in Korea, 1997, seropositivity for Orientia tsutsugamushi was determined. Serological test for Orientia tsutsugamushi infection was performed using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IFA). Of 243 wild chipmunks, 61 against Gilliam strain and 64 against Karp strain of Orientia tsutsugamushi were IFA positive. Seropositivity against Gilliam strain was shown 33.3% in Kyunggi and 23.5% in Kangwon province, and against Karp strain was shown 33.3% and 25.4%, respectively.

  • PDF

한국산 다람쥐(Tamias sibiricus) 정자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Sperm in the Korea Squirrel, Tamias sibiricus)

  • 이정훈;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2호
    • /
    • pp.99-107
    • /
    • 2011
  • 한국산 다람쥐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다람쥐 정자머리의 모양은 주걱 모양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정자의 전체 길이는 67.8 ${\mu}m$이었으며, 머리의 길이는 7.8 ${\mu}m$, 꼬리는 60.0 ${\mu}m$이었다. 꼬리는 경부(1.0 ${\mu}m$), 중편부(8.0 ${\mu}m$), 주편부(48.5 ${\mu}m$) 그리고 미부(2.5 ${\mu}m$)로 각각 구성되어져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정자의 중편부도 짧지만 미부의 길이는 다른 설치류 종보다도 매우 짧은 것이 특징적이다. 첨체 후 덮개는 핵의 약 1/5을 점유하고 있으며, 적도절은 핵 상단의 첨체 후 덮개와 첨체 덮개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9개의 분절주들은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의 회전수는 26개 이었다. 한 개의 분절주는 10~12개의 마디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이들 경부의 각각의 분절주는 중편부의 9개의 외측치밀 섬유와 제각기 결합되어 있었다. 특히 경부의 분절주와 분절주 사이에는 수많은 satellite 섬유와 흡사한 물질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중편부의 9개의 외측 치밀 섬유는 Nos. 1, 5, 6의 섬유가 다른 섬유들(2, 3, 4, 7, 8, 9) 보다도 크다. 섬유초와 종 지주는 주편부에는 존재하고 있었으며, 미부에는 섬유초와 종 지주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정자두부와 꼬리의 구조적인 특징들은 정자의 진화와 더불어 종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다람쥐 이하선의 미세구조 (The Fine Structure of the Squirrel(Tamias sibiricus asiaticus) Parotid Gland)

  • 이재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2호
    • /
    • pp.23-33
    • /
    • 1982
  • The parotid glands of squirrels(Tamias sibiricus asiaticus) were observed by the electron microsco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cretory granules and the morphology of cell organelles, the acinar cells could be distinguished into five types of cells(Type I , Type II, Type III, Type IV and Type V cell). Among these, Type III, Type IV and Type V cell were not identified up to date.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were the appearance of numerous long slender mitochondria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numerous basal infoldings, and the epithelium were consisted of light and dark cells. The desmosomes were also observed, and could not found the secretory granules in the cytoplasm of the both epithelium.

  • PDF

Localization of Endocrine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Manchu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barberi

  • Lee, Hyeung-Sik;Ku, Sae-Kwang;Lee, Jae-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3호
    • /
    • pp.395-401
    • /
    • 1998
  •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endocrine cell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GIT) of the Manchu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asiaticus. Six kinds of endocrine cell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5-hydroxytryptamine (5-HT)-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IT. These cells were observed in moderate numbers in the pylorus, duodenum, jejunum, ileum, fundus, colon, and rectum. Somatostatin- and bovine pancreatic polypeptide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also identified throughout the GIT. The former were abundant in the pylorus region while the latter were scattered In ileum and colon. Motilin-immunoreactive cells were rarely detected in the small intestine. A few neurotens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tected in jejunum, ileum and colon. Also, a few substance P-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to be restricted to duodenum and jejun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