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kifugu pardali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연안산 졸복(Takifugu pardalis)과 복섬(Takifugu niphobles)의 독성 (Toxicity of the Puffer fish, Takifugu pardalis (Jolbok) and Takifugu niphobles (Bokseom) from Coastal Area of Korea)

  • 김지회;손광태;목종수;오은경;황혜진;유홍식;이희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69-275
    • /
    • 2007
  • The toxicity of two species of puffer fish, Takifugu pardalis and T. niphobl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regions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a mouse bioassay. In T. pardalis collected at Tongyeong,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containing ${\geq}10MU/g$ exceeded 90% for the skin, fins, liver, intestine, ovary, and gallbladder, 11.1% for the testis, and 6.9% for the muscle. In each of the organs,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several tens (14-39) of mouse units (MU) per gram in the muscle, testis, and eyeball, but thousands (1,444-5,755) of MU per gram in the skin, liver, intestine, ovary, and gallbladder. The organs of T. pardalis exhibited remarkable variation in toxicity. In T. niphobles,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exceeded 90% for the ovary and skin, 60-80% for the fins, liver, intestine, and gallbladder, and 4.5% for the muscle; no toxicity was detected in the testis or eyeball using the mouse bioassay.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thousands (2,291-7,777) of MU per gram in the liver, intestine, ovary, and gallbladder, hundreds(146-328) of MU per gram in the skin and fins, and 18 MU/g in the muscle. Takifugu niphobles toxicity also exhibited remarkable regional variation. The toxicity in the edible muscle of T. pardalis and T. niphobles was at acceptable levels for human consumption, while the toxicity of the skin of both species of puffer fish was very high, so that care must be taken when used for human consumption.

졸복, Takifugu pardalis 정액의 성상과 정자 운동성 (Milt Property and Sperm Motility of Panther Puffer, Takifugu pardalis)

  • 고강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8-172
    • /
    • 2007
  • 졸복의 정액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정자운동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졸복 정액의 평균농도, pH 및 삼투질농도는 각각 $12.1{\pm}3.2{\times}10^9/mL$, $8.2{\pm}0.3$, $385.5{\pm}12.5mOsm/kg$ 였다. 정자는 정장의 삼투질농도($385.5{\pm}12.5mOsm/kg$)에 비해서 저장 또는 등장의 삼투질농도에서는 운동성이 억제된 반면, 장장에 비해 고장삼투질농도에서 정자의 운동이 개시되어 삼투질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발한 운동성을 보였다.

수온이 졸복 Takifugu pardalis의 난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Panther Puffer Takifugu pardalis)

  • 한경호;조재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5-269
    • /
    • 2007
  • 졸복 Takifugu pardarlis의 어미로 부터 수정란을 받아 수온이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13^{\circ}C-24^{\circ}C$ 범위에서 480-135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각 발생단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화율은 $15^{\circ}C$ 구간에서 가장 높은 부화율을 나타내었으며, 수온이 증가할수록 부화율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수온이 높을수록 부화자어 전장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나, 기형어의 발생율은 $13{\sim}18^{\circ}C$구간에서는 발생율이 낮았으나, $21^{\circ}C$ 구간부터는 수온이 증가할수록 기형어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 및 분포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the Intestine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82-788
    • /
    • 2008
  • 경골어류 4종(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장을 네 부위로 나누워 아홉 종류의 biotinylated lectin들(DBA, SBA, PNA, BSL- I , RCA- I , sWGA, UEA- I 및 Con A)로 반응시켰다. 조피볼락을 제외하면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용치놀래기 장 상피는 모든 부위에서 D-glucose/mannose 잔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조피볼락,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 모든 부위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beta}$-N-acetyl-D-gal-actosamine가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조피볼락의 근위장, 중간장 및 원위장에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및 ${\alpha}$-D-galactose도 함유되어 있었으나 직장에는 이들 당 잔기들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송곳니베도라치에는 ${\beta}$-N- acetyl-D-galactosamine 외에 ${\beta}$-N-acetyl-D-glucosamin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으며, 졸복에서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D-galactos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다.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Lectin Histochemistry of the Glycoconjugates in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이응희;조기진;정권순;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7-424
    • /
    • 2004
  • 경골어류인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 성상을 biotinylated lectin인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및 Con A로 연구하였다. 조피볼락과 용치놀래기는 큰ㆍ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가 섞여 있었고,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은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들이 섞여 있었다. 식도 점액세포들의 lectin 결합양상도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피볼락은 DBA, SBA, BSL-1, RCA-1 및 sWGA에, 용치 놀래기는 DBA, SBA, PNA 및 sWGA에, 송곳니베도라치는 SBA 및 sWGA에 각각 반응을 하였으며 졸복은 DBA, LCA 및 Con A를 제외한 모든 lectin에 반응하였다. 조피볼락의 모든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BSL-1이 반응하였다. 용치놀래기의 큰 점액세포에서는 PNA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DBA와 SBA가 반응하였다. 송곳니베도라치의 중간 점액세포에는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SBA와 sWGA가 반응하였으며 졸복은 모든 점액세포에 SBA, PNA 및 RCA-1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sWGA와 UEA-1이 반응하였다. 특히 조피볼락의 점액세포에서 DBA와 SBA의 양이 많고, 용치놀래기에서는 큰 점액세포에서 PNA 양이,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에서 SBA양이 많았으며, 졸복의 경우 중간 점액세포에서 SBA, PNA, sWGA 및 UEA-1의 양이, 작은 점액세포에서 RCA-1의 양이 많았다.

Paralytic shellfish toxins (PSTs) and tetrodotoxin (TTX) of Korean pufferfish

  • Lee, Ka Jeong;Ha, Kwang Soo;Jung, Yeoun Joong;Mok, Jong Soo;Son, Kwang Tae;Lee, Hee Chung;Kim, Ji Ho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360-369
    • /
    • 2021
  • Paralytic shellfish toxins (PSTs) and tetrodotoxin (TTX) are neurotoxins that display pharmacological activity that is similar to that of specific sodium channel blockers; they are the principle toxins involved in shellfish and puffer fish poisoning. In Korea, puffer fish is a very popular seafood, and several cases of accidental poisoning by TTX have been repor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puffer fish poisoning incidents are caused by PSTs or by TTX. In this study, we used mouse bioassay (MBA) and liquid chromatograph-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PSTs and TTX in puffer fish from an area near Mireuk-do, Tong-Yeong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January through March, 2014. The toxicity of PSTs and TTX extracts prepared from three organs of each specimen was analyzed by MBA. Most of the extracts killed mice with typical signs of TTX and PSTs. The LC-MS/MS analysis of seven specimens of Takifugu pardalis and Takifugu niphobles, each divided into muscles, intestines, and liver, were examined for TTX. In T. pardalis, the TTX levels were within the range of 1.3-1.6 ㎍/g in the muscles, 18.8-49.8 ㎍/g in the intestines, and 23.3-96.8 ㎍/g in the liver. In T. niphobles, the TTX levels were within the range of 2.0-4.5 ㎍/g in the muscles, 23.9-71.5 ㎍/g in the intestines, and 28.1-114.8 ㎍/g in the liver. Additionally, the toxicity profile of the detected PSTs revealed that dcGTX3 was the major component in T. pardalis and T. niphobles. When PSTs were calculated as saxitoxin equivalents the levels were all less than 0.5 ㎍/g, which is below the permitted maximum standard of 0.8 ㎍/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oxicity of T. pardalis and T. niphoble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due mainly to TTX and that PSTs do not exert an effect.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Study of Musocubstances in Esophageal Mucous Cells of Sebastes schleg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정권순;조기진;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95-602
    • /
    • 2001
  • The prelectin histochemical methods had been applied to study mucosubstances properties of esophageal mucous cells in four teleostean species, i, e.. sebastes schleg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periodic acid Scheff"s(PAS) reaction, alcian blue(AD) pH 2.5, AB pH 1.0, AB pH 2.5-PAS, aldehyde fuchsin (AF) pH 1.7-AB pH 2.5 and high iron diamine (HID)-AD pH 2.5 stainings. The number size and shape of esophasgeal mucous cells studied depend on the fish species. Esophageal mucous cells of Sebastes schlegli and Halichoeres poecilopterus were mixed with large, medium sized and small mucous cells, but these cells of the species were mixed with medium sized and small mucous cells. The large esophageal with moderate to considerable amount of acid mucin. Most of the large mucous cells in these species contained neutral mucin and strongly sulfomucin, whereas a few mucous cells contained neutral mucin, strongly sulfomucin, and sialomucin. Medium sized and small mucous cells of these species contained considerable to large amount of neutral mucin, and small to considerable amount of acid mucin, Most of the medium sized and small mucous cells contained neutral mucin and sialomucin, but a few mucous cells contained neutral mucin and strongly sulfomucin or neutral combined with strongly sulfomucin and sialomucin. Most of the esophageal mucous cells pf Bryzoichthys lysimu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while on the other hand a feww mucous cells contained small amount of neutral mucin and minimal amount of sialomucin. But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Takifugu pardalis contained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mucin only.

  • PDF

졸복 (Takifugu pardalis)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akifugu pardalis (Teleostei: Tetraodontodae))

  • 한경호;조재권;이성훈;황선영;윤성민;서원일;김춘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5
    • /
    • 2005
  • 1997년 3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경상남도 통영 죽도 연안에서 채집된 친어로 부터 인공수정 하여 부화된 자치어를 사육하면서 관찰한 자치어의 골격발달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부화 후 1일째의 평균 전장은 $3.13{\pm}0.05mm$로 두개골에 부설골, 섭이와 관련하는 악골에 전상악골과 치골이 가장 먼저 골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5일째 자어의 평균 전장은 $3.82{\pm}0.03mm$로 두개부에 설이골 (sphonotic) 및 전액골 (prefrontal)이 골화되었고, 새개부에 전새개골 (preopercle), 주새개골 (opercle)이 골화되었으며, 악골에 주상악골(maxillary), 관절골(articular)이 골화되었다. 부화 후 15일째 개체의 평균 전장은 $7.84{\pm}0.06mm$로 두개골에 비골이 골화되었고, 내장골의 설궁부 골격이 완성되었으며, 견대부에 두개골과 연결하는 후측 두골이 골화되었다. 부화 후 21일째 치어는 평균 전장이 $10.21{\pm}0.06mm$로 두개골에 상이골, 상후두골, 익상골 및 방골이 골화되어 두개골과 내장골이 완성되었고, 척추가 정수에 달하고, 미골이 완성되었으며, 오훼골이 골화되어 견대부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Study of the Intestinal Mucosubstances in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조기진;이응희;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07-714
    • /
    • 2005
  • 경골어류 4종(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의 장관 상피 선조연 및 배상세포의 점액질의 조직화학적 성상을 밝히기 위해 PAS 반응, AB pH 1.0 및 pH 2.5, AB pH 2.5-PAS, AF pH 1.7-AB pH 2.5 및 HID-AB pH 2.5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장관 선조연의 점액질은 조피볼락의 근위장과 직장은 중성점액질만을, 중간장과 원위장은 중성점액질과 산성점액질의 혼합성이었으나 용치놀래기는 전 장관에서 중성점액질과 산성점액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의 전 장관은 중성점액질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점액질의 양은 조피볼락과 용치놀래기는 중등량 내지 상당량,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은 미량 내지 소량이었다. 장 배상세포 점액질의 양과 성상은 어종 및 장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은 중성점액질만을 함유하고 조피볼락과 용치놀래기는 중성 점액질, sulfomucin 및 sialomucin의 혼합성이었다. 중성점액질의 양은 졸복의 원위장 및 직장은 상당량 내지 다량이었고 조피볼락의 전장, 용치놀래기의 근위장, 원위장 및 직장, 졸복의 근위장 및 중간장은 중등량 내지 상당량이었으며 용치놀래기의 중간장은 미량 내지 소량이었다. 조피볼락의 장 배상세포는 미량의 강 sulfomucin, 약 sulfomucin 및 미량 내지 소량의 sialomucin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직장을 제외한 용치놀래기의 장 배상세포는 미량 내지 소량의 강 sulfomucin과 sialomucin을 함유하고 있었다.

졸복의 아가미로부터 항균성 펩타이드의 정제 (Pur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Peptide from the Gills of the Pufferfish Takifugu pardalis)

  • 김태영;고혜진;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56
    • /
    • 2017
  • 졸복(Takifugu pardalis)의 아가미로부터 항균성 펩타이드를 정제하였다. 졸복 아가미의 산 추출물은 Sep-Pak C18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제되었으며, 60% 메탄올 분획(RM60)은 Bacillus subtilis KCTC 1021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RM60을 사용하여 이온교환을 포함한 5단계의 연속적인 HPLC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의 분자량과 아미노산 서열분석은 MALDI-TOF MS와 에드만 분해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펩타이드의 분자량은 약 1171.6 Da이었으며, 분석된 이 물질의 부분적인 일차구조서열은 다음과 같다; STKEKAPRKQ. 이 물질과 기존에 알려진 항균성 펩타이드들과 유사성을 조사한 결과, 정제된 물질은 histone H3 계열의 N-말단 부분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정제된 펩타이드는 졸복에서 반응하는 선천성 방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