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viewing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3초

TV 시청 동기가 식문화 프로그램 시청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식문화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s on Viewing Preferences and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 안세경;이범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9-269
    • /
    • 2014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effects of viewing motivations on viewing preferences and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urvey to television food program viewers both on and offline. Viewing motivations were categorized as 'information' 'entertainment', 'pass-time', 'companionship', 'relax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viewing preferences for television food programs. 'In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However, 'pass-tim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both viewing preferences and viewing intentions of television food programs. Furthermore, the results of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od involvement in these relations.

서울시 초등학생의 과잉 텔레비전 시청과 관련된 건강지표 (Association of Health Indicators with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 신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4-113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val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 Secondary data, representative sample of 11,082 subjects in Seoul was used. After prevalence of the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as identified by using factor analysis, 6 main factors explaining the ecological indicators was founded. After identifying prevalence of the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by using factor analysis, we found 6 main factors explaining the ecological indicators. After categorizing factors into socio-psychological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we were investigated the odds ratio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per characteristics by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as 29.7%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eoul. The prevalence were higher in male, higher grade, and non-South of the Han River. Socio-psychological indicators which expressed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were annoying or bullying, scolding from teacher, depressed mode, thought for a runaway from home, an experience of diet, and negative body image. Life style indicators were a lower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s, a higher intake of Ramyun and soft drink, a worse life style of hand washing, and wearing safety equipment. Conclusion: Lifestyle of television viewing was the comprehensive results from family, school, and society rather than a personal pre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hazard of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to reenforce the students' health competence, to activate a safe leisure program as an alternate of television viewing, and to develop a recommendation.

  • PDF

영유아 기관에서의 TV·비디오시청과 교사인식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at Early Childhood All-day Program Setting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

  • 서영숙;천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21-334
    • /
    • 2005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of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ll-day program setting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 through the survey of 45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is used as a whole group activity during transition period and/or waiting time activity for children who come earlier in the morning and remain late until closing time. It means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at early childhood settings is mainly used as a group baby sitter or pacifier. Daily viewing time is about 44.02 minute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low recognition of their role in children's viewing habits. Young children's viewing patterns and time are differed by teachers' variables so that young children of beginning teachers at small size settings appear more viewing time. Teachers show more negative recognition of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on young children when they are older and hav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longer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re teachers have positive recognition on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the more young children are exposed to television and video viewing in their classes.

  • PDF

네이버TV캐스트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Video Clips of Naver TV Cast and Regular TV program)

  • 함민정;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2-104
    • /
    • 2019
  • TV를 통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등 수동적인 태도로 미디어를 이용하던 과거와 달리 현대의 시청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본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청행태에 적합한 영상 콘텐츠 형태로서 클립영상이 있다. 클립영상은 기존 방송프로그램을 5~10개로 분절하거나 처음부터 짧은 길이로 기획한 영상 콘텐츠이다. 선형적 미디어 환경에서 비선형적 미디어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여러 미디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가 타 미디어에서 다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미디어와 콘텐츠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네이버TV캐스트의 클립영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클립영상 이용량, 클립영상 이용동기, 클립영상 유형별 시청정도가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클립영상 이용량, 이용동기의 대인관계, 선택적이용, 화제성 요인과 웹전용 콘텐츠의 시청정도가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 융합적 TV시청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nvergent TV Viewing Experiences)

  • 황주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78-591
    • /
    • 2018
  • 본 연구는 이용자의 융합적 TV시청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검토 결과 TV시청경험은 시간성, 선택성, 상호작용성, 사회성, 그리고 공간성 등 5개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미디어 이용요인, 그리고 TV시청방식 등 3개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융합적 TV시청경험 전체를 설명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들로 밝혀졌고, 그 다음으로 TV시청방식, 미디어 이용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TV시청경험의 세부 차원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시간성과 선택성은 상대적으로 TV시청방식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사회성과 상호작용성, 그리고 공간성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컨버전스에 따른 시청경험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탐색적 시도라는 점에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Television Viewing in the Post-TV Era: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Young People's Television Experiences)

  • 이동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0권
    • /
    • pp.172-192
    • /
    • 2012
  • 지난 십수 년 동안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결합시킨 소비가 손쉽게 일어나며 국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 자원이 풍부해지는 포스트 TV 시대가 전개된다.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텔레비전 시청 경험의 성격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주목해보고자 한다. 특히 월터 옹(Walter Ong)의 관계주의적 시각에서 현재의 텔레비전 시청 환경, 시공간 경험, 사회적 장소로서의 텔레비전, 텔레비전 시청의 의미와 위상 등을 구체적으로 관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9명의 20대에 대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인터뷰 사례를 기초로 일상 속에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변화하면서 텔레비전의 의미와 적절성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사례는 텔레비전 시청 경로가 다변화되고 소셜 미디어 이용과 연결되면서 텔레비전 시청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리적, 상징적 '모이는' 장소로서의 텔레비전의 의미가 여전히 '잔존'하지만, '집단적인 개인화'와 '개인적 집단화' 라는 다양한 층위의 시청 경험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OTT 서비스와 시청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티빙(tving)을 중심으로 (Exploring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through OTT Service)

  • 최선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1-594
    • /
    • 2013
  • 본 연구는 가장 일상적인 미디어 행위로 볼 수 있는 텔레비전 시청이 OTT서비스로 인해 어떠한 변화를 맞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OTT 서비스를 분석하고 이용자들을 관찰하여 기존의 시청행위와 어떤 차이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즉시적이고 동시적인 소셜시청(social viewing), 정보공유에 의한 채널 잽핑(channel zapping), 멀티시청(multi viewing), 시청 공간의 탈맥락화로 OTT서비스 시청경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콘텐츠 시청은 가족단위 시청에서 개인화 된 행위로 바뀌었고, 타인과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해 시청과 동시에 이야기를 주고받는 소셜시청(social viewing) 행태가 이른바 '목적형 시청'(lean forward)일 경우 심화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해당 콘텐츠에 대한 내용과 평가를 SNS를 통해 시청자간에 공유하면서 OTT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청행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인의 텔레비전 시청행태에 관한 연구: 가족간 공동시청의 역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levision Viewing Behavior of Koreans: Focusing on the Dynamics of Coviewing among Family Members)

  • 김범종;김진호;김인숙;이민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99-417
    • /
    • 1999
  • Viewers have always switched channels and they have selected by turning away from the TV and returning to the set when the content seemed more amusing. Also, people usually watch television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thus the experience of viewing is embedded uniquely in ongoing processes of family interaction. In other words, people develop patterns and habits through the act of viewing together. As viewing with family members is the most frequent mode of media exposure, the context of family viewing needs to be thoroughly examined if we are to understand the family's use of televi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nature of television viewing behavior. With the people meter's second-by-second viewing information, first we analyze who, when, and why viewers change channels. The ensuing reduction of advertising impact due to zapping will be investigated as well. Then the focus will be shifted to the dynamic interaction of coviewing among family members. In order to further explore the in-depth nature of television viewing, actual viewing information should be cross-analyzed with respect to both demographic and psychographic variables. In this study we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elevision watching patterns, program type preference, attitude toward commercials, channel control intensity, and personalities.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results of an meticulus analysis of survey data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television viewing among family members.

  • PDF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 of Book Rea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V Viewing and Creativity)

  • 이현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93-500
    • /
    • 2023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0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만 9세 아동의 TV 시청 시간, 책 읽기 시간,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K-FCTES)에서의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책 읽기 시간과 창의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TV 시간은 아동의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동의 책 읽기 시간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출생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에 노출되어 디지털 네이티브로 성장하고 있는 오늘날의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미디어 노출의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책 읽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청시간패턴을 활용한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 (TV Program Recommender System Using Viewing Time Patterns)

  • 방한별;이혜우;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31-436
    • /
    • 2015
  • 오늘날 수많은 TV 프로그램들이 방송됨에 따라 TV 프로그램을 추천해주는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추천의 정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연구가 현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추천 시스템은 장르, 줄거리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TV 프로그램을 추천하거나, TV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선호도를 계산하여 TV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시청비율, 종료시간과의 관계, 최근시청이력 등 시청시간의 여러 패턴을 추가로 사용하여 선호도 계산에 활용하는 협업 필터링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연구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청시간패턴의 모든 요소를 선호도 계산에 활용한 경우와 단순히 시청자가 가장 많이 시청하는 채널을 추천하는 경우의 협업 필터링 추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을 통해 시청시간패턴 모든 요소를 같이 선호도 계산에 활용한 경우의 성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