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Video Clips of Naver TV Cast and Regular TV program

네이버TV캐스트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

  • 함민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ICT/콘텐츠) ;
  • 이상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9.03.26
  • Accepted : 2019.05.2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video clips distributed on Naver TV cast and regular TV progra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on October 2017, and we collected several responses, such as viewing time, viewing motive, the extent of viewing for video clip categories, and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video clips and regular TV program. The dependent variable is Naver TV cast users'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video clips and regular TV program,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viewing time, viewing motive and viewing degree by video clip categories. With these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s that viewing time, use motives, including personal relations, booming issue and selective use, and the extent of web-based video content viewing positively affect on Naver TV cast users' perceived substitutability.

TV를 통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등 수동적인 태도로 미디어를 이용하던 과거와 달리 현대의 시청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본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청행태에 적합한 영상 콘텐츠 형태로서 클립영상이 있다. 클립영상은 기존 방송프로그램을 5~10개로 분절하거나 처음부터 짧은 길이로 기획한 영상 콘텐츠이다. 선형적 미디어 환경에서 비선형적 미디어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여러 미디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가 타 미디어에서 다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미디어와 콘텐츠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네이버TV캐스트의 클립영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클립영상 이용량, 클립영상 이용동기, 클립영상 유형별 시청정도가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클립영상 이용량, 이용동기의 대인관계, 선택적이용, 화제성 요인과 웹전용 콘텐츠의 시청정도가 클립영상의 TV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표 1. 네이버TV캐스트 클립영상 이용동기 요인분석

CCTHCV_2019_v19n6_92_t0001.png 이미지

표 2. 위계적 회귀분석

CCTHCV_2019_v19n6_92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KISDI, 방송프로그램 시청가능 매체 보유와 이용 트렌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2. 국회입법조사처,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국내시장 진입에 따른 쟁점과 과제, 2018.
  3. 노가영, 유튜브 온리, 미래의 창, 2017.
  4. J. Poushter and R. Stewart, Social media use continues to rise in developing countries but plateaus across developed ones, Washington D.C.: Pew Research Center, 2018.
  5. KISDI, 2018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8.
  6. 권호영, 국내 온라인 동영상 이용 행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7. 권호영, 인터넷 매체의 확산과 TV 시청행태의 변화,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8. 조석현, 이현지,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45-65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645
  9. KOCCA, 방송영상 클립형 콘텐츠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10. http://www.etnews.com/20170102000218, 2019.02.10.
  11. https://www.slideshare.net/nasmedia/2018-nprnasmediaf, 2019.02.10
  12.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콘텐츠-수용자 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74-99, 2010.
  13. 반옥숙, 박주연,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59-95, 2016.
  14. 메조미디어, 2018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조사, 2018.
  15. 송진, 이영주, "웹 기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3권, 제2호, pp.43-85, 2016.
  16. 정호균, "이용과 충족이론을 적용한 레스토랑 쿠폰 재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4호, pp.223-240, 2015.
  17. 심성욱, 김운한,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342-376, 2011.
  18. E. Katz, H. Haas, and M. Gurevitch,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8, No.2, pp.164-181, 1973. https://doi.org/10.2307/2094393
  19. 김대한, 박남기, "OTT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사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93호, pp.77-110, 2016.
  20. 심미선, 김은미, 오하영, "스마트미디어 이용자 및 비이용자의 성향동기와 미디어 이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6호, pp.75-114, 2013.
  21. J. Cha and S. Chan-Olmsted, "Substitutability between Online Video Platforms and Television,"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9, No.2, pp.261-278, 2012. https://doi.org/10.1177/1077699012439035
  22. R. Abelman, D. Atkin, and M. Rand, "What viewers watch when they watch TV: Affiliation changes as case stud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1, No.3, pp.360-379, 1997. https://doi.org/10.1080/08838159709364413
  23. R. Abelman, "Religious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ida, Vol.31, No.3, pp.293-307, 1987. https://doi.org/10.1080/08838158709386665
  24. A. M. Rubin,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s: Interactions of Viewing Patterns and Motivations," Journal of Broadcasting, Vol.27, No.1, pp.37-52, 1983. https://doi.org/10.1080/08838158309386471
  25.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2015.
  26. 최민재, "스마트폰 방송 및 동영상 서비스의 가정 TV시청 대체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3호, pp.172-205, 2013.
  27. 강미은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여름호, pp.179-208, 2000.
  28. H. T. Himmelweit, A. N. Oppenheim, and P. Vince, Television and the Child, Oxford University Press, 1958.
  29.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4. https://doi.org/10.1086/268109
  30. W. Boyes and M. Melvin, Economics , Houghton Mifflin Company, 1991.
  31. V. J. Massad, "Understanding the Cord-Cutters: An Adoption/Self-Efficac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Management, Vol.20, No.3, pp.216-237, 2018. https://doi.org/10.1080/14241277.2018.1554576
  32. 송경희, "케이블 TV에 대한 틈새시장 분석연구-수용자 충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2권, 제3호, pp.100-136, 1998.
  33. 이준호, 박창희, "비지상파TV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경쟁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53호, pp.221-256, 2001.
  34. C. Flavian and R. Gurrea, "Perceived substitutability between digital and physical channels: the case of newspapers," Online Information Reveiw, Vol.31, No.6, pp.793-813, 2007. https://doi.org/10.1108/14684520710841775
  35.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패턴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2호, pp.189-217, 2004.
  36.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스타일과 미디어 이용행위 간의 관계 연구: 다중미디어 이용과 미디어 간 장르추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89-216, 2008.
  37. 심미선, "케이블TV 및 인터넷 등장에 따른 지상파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2호, pp.250-283, 2001.
  38. 김영주, "블로그의 미디어적 기능과 한계,"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2호, pp.59-89, 2006.
  39. 이민주, 류성한, 김영걸, "미디어-콘텐츠 레퍼토리 개발 및 유형별 특성 분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96-20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196
  40. 나은영, "SNS 중이용자와 경이용자의 현실인식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6권, 제3호, pp.63-84, 2012. https://doi.org/10.21193/kjspp.2012.26.3.005
  41. 심홍진, 유경한, "소셜미디어 이용과 TV 시청의 관계,"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1호, pp.5-49, 2014. https://doi.org/10.22876/BNC.2014.15.1.001
  42. 박영순, 나은경, "로맨스 드라마 시청이 결혼에 대한 환상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로맨스 드라마 시청 비교," 제18권, 제2호, pp.583-59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583
  43. J. W. Dimmick,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 ,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3.
  44. 이승엽, 이상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매체간의 경쟁관계에 관한 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2권, 제3호, pp.7-45, 2014.
  45. 권신혜, 박경우, 장병희, "시청 방식에 따른 TV 드라마 시청 동기 영향 비교: 본방송 시청, 재방송 첫시청, 재방송 재시청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1호, pp.185-212, 2017.
  46.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217500094, 2019.02.17.
  47. https://www.sedaily.com/NewsView/1OHB68K4VN/GL01, 2019.02.17.
  48. https://news.joins.com/article/21745147, 2019.02.17.
  49. 양기문, 정선형, 이상우, "영상클립의 인기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네이버TV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706-71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706
  50. A. Tefertiller, "Media Substitution in Cable Cord-Cutting: The Adoption of Web-Streaming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62, No.3, pp.390-407, 2018. https://doi.org/10.1080/08838151.2018.1451868
  51. 윤연주, 이영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유형별 프리롤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677-68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677
  52. K. O' Hara, A. S. Mitchell, and A. Vorbau, "Consuming video on mobile device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San Jose, California, USA, 2007.
  53. 김앵아, 오영훈, "포털사이트 TV 콘텐츠 큐레이션에 나타난 스낵컬쳐 특성 분석," 문화교류연구, 제6권, 제2호, pp.109-128, 2017.
  54. W. K. E. See-To, S. Papagiannidis, and V. Cho, "User experience on mobile video appreciation: How to engross users and to enhance their enjoyment in watching mobile video clip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Vol.79, No.2012, pp.1484-1494, 2012.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2.0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