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HAMSA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경주 토함산과 남산 국립공원의 이용만족 평가 -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se Satisfaction for Tohamsan and Namsan National Parks in Kyongju - Focused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 이영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3호
    • /
    • pp.153-165
    • /
    • 2008
  • Recently the use demand for national parks has been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change of leisure patterns in Korea. The intensive use of national parks, however, can cause serious management problems both in resource conservation and in visitor satisfaction. In order to prepar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the sustainable use of national parks,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visitor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Namsan and Tohamsan national parks in Kyongju.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dopted to analyze the visitor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420 visitors of the three sites (Namsan Sam-reung, Namsam Yong-jang, and Tohamsan) that are the most popular areas in Kyongju national park. The IPA for the 18 satisfaction items shows that all the values for importance are higher than those for performance in the three sites. This results indicates that visitors' satisfactions for the 18 items are lower than their expectations. The IP matrix reveals that the management effort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nature and culture in Yong-jang, on the convenient access to park in Sam-reung. and on the availability of cool drinking water in Tohamsa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strategies were summarized for the three sites in conclusion.

경주지역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urce areas of stone-built cultural properties in the Gyeongju area)

  • 조기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0-452
    • /
    • 2005
  • 경주지역의 화강암은 남산의 알칼리장석화강암과 토함산의 화강암섬록암으로 세분할 수 있다. 경주지역은 이들의 화강암재질의 암석을 석재로 한 석조문화재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석조문화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풍화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원형을 잃어가고 있어 그 보존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보존과 복원을 위해서 석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나 문화재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비파괴검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자연 상태의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암석을 구분하는 감마스펙트로미터 분석은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이 될 수 있다. 석조문화재가 분포하는 주변 산지인 남산과 토함산의 화강암철 암석에 대한 육안관찰과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변산지의 지형경관 분석결과 절리, 토르, 핵석 등이 석재 채취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마스적트로미터 분석 결과 불국사 내의 다보탑, 석탑, 연화 칠보교, 청운 백운교 등과 나원리 5층석탑은 토함산이 아닌 남산에서 화강암이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굴암의 석재는 토함산에서 채취한 화강섬록암과 동일한 암석으로 확인되었다.

  • PDF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습지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락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이상철;강현미;최송현;홍석환;이수동;조우;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44
    • /
    • 2014
  • 본 연구는 토함산습지 주변의 산림식생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함산습지 주변을 지형적 관점에서 유역권을 설정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대표되는 8개 군락, 즉,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에 대해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토함산 습지는 해발고 490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유역권의 면적은 약 $236,272m^2$이었다. 토함산 습지 유역권내 산림의 현존식생유형은 총 1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면적 중 신갈나무림이 $78,209.2m^2$로 전체 면적의 33.10%를 차지하고 있었다. 8개 군락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구($10m{\times}10m$) 3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 하였고, 각 군락별로 식생구조를 밝혔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 임령은 30~5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토양산도(pH)는 4.89, 유기물함량은 4.46%로 조사되었다.

경주국립공원 내 주요습지의 관속식물상 - 토함산습지, 암곡습지, 남산습지를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of Major Wetland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Tohamsan wetland, Amgok wetland and Namsan wetland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jor wetlands, Gyeongju National Park. The study sites were Tohamsan wetland, Amgok wetland and Namsan wetlan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00 taxa including 70 families, 145 genera, 171 species, 2 subspecies, 23 varieties and 4 forms. The threatened speci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as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Utricularia yakusimensis, Drosera rotundifolia, Mosla japonica, Utricularia bifida, Pogonia japonica, Utricularia racemosa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2 taxa including 3 taxa of grade V, 1 taxa of grade IV, 1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I and 5 taxa of grade I.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9 taxa including Glycine soja, Saussurea pulchella, Habenaria linearifoli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tns were 5 taxa including Rumex obtusifolius,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Erigeron annuus and Erigeron strigosus, the invasive alien plant was Ambrosia artemisiifolia.

경주 국립공원내 개발지구별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Coleoptera from Kyeongiu National Park)

  • 박종균;안승락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3-137
    • /
    • 2000
  • 경주국립공인은 경북의 동쪽 경주시 주위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이 138.16km$_2$으로 총 8개 지구고 구성되어 있다. 본 조사에서는 이 중 주위 환경 특히 식생이 다소 상이한 4개 지구(단석산 지구, 토함산 지구, 남산지구, 대본지구)를 선정하여 주로 잎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분포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30과 115속 139종에서 56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잎벌레과가 34속 45종 270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지구별로 보면 토함산지구는 26과 86속 100종 321 개체였고, 단석산지구는 17과 58속 10종 216개체가 조사 되었다. 이 두 지구는 참나무류 및 초본류가 대부분으로 잎벌레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산림 식생을 이루었으며 따라서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다. 반면에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곰솔나무 군락지인 대본지구와 소나무군락지인 남산지구는 각각 2과 2속 2종 5개체와 7과 11속 11종 23 개체로 종 우점도는 높으나 종다양도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곤충류의 종 다양성, 그 중에서도 주로 식물의 잎에 서식하는 곤충류들은 그들이 서식하는 주위환경, 특히 산림식생과 밀접한 관계가 시음을 보여 주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Stigmatium pilosellum Gorham (신칭: 검은띠개미붙이)과 Mordellina brunneotincta Marseul (신칭: 가슴세점박이꽃벼룩) 그리고 Rhaphitropis guttifer Sharp (신칭: 회색무늬소바구미)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처음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제4기 토함분지 (Quaternary Toham Basin)

  • 최성자;홍덕균;최위찬;김명진;이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33-541
    • /
    • 2004
  • 활성단층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제4기 퇴적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단구 지형에 퇴적된 미고결 퇴적물에 대하여 많은 자료가 축척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고결된 제4기 지층에 대한 자료는 보고 된 바 없다. 토함산 동쪽의 탐정리와 장항리에는 단단하게 고화되어 있는 역층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이 층을 조양도폭(Tateiwa, 1924)에서는 연일층군의 기저역암인 천북역암으로 보았으며, 손문 등(2000)는 제3기 퇴적분지인 와읍분지 남서부 지괴를 구성하고 있는 송전층에 대비한 바 있으나, 이 퇴적층의 분포를 추적하여 보면 제4기의 미고결 역질층과 정면으로 대치되고 있다. 이 역질층에 협재되어 있는 적갈색 내지 청회색의 사질층에 대한 OSL 연대 측정결과 85∼92ka의 연대가 산출되었으므로 신제3기 전기 마이오세의 천북역암이 아닌 제4기 최후기 간빙기(MIS 5c∼5e)로 확인되었다. 이 역질층을 토함산층으로 명명하였으며 거각력질 층준과 역질 층준으로 분류된다. 이 층은 연일구조선의 분절단층인 외동단층과 연일단층에 의하여 규제되는 북북동방향의 장방형 퇴적분지 내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이 분지를 토함분지라 정하였다. 플라이오세부터 가해진 동서압축력에 의한 서향 역단층 운동은 최후기 간빙기 동안인 약 10만 년 전 까지 계속되었으며, 서향압축에 수반된 정단층이 동쪽으로 일어나 붕적층이 퇴적되어 토함분지가 형성되었다.

불국사 삼층석탑에 사용된 석재의 암석학적 연구 (A Petrological Study of Stones Used i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 박성철;문성우;김사덕;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해체 복원으로 부재 접근성이 용이해진 불국사 삼층석탑의 전체 부재를 대상으로 암석기재학적 연구, 대자율과 감마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암석학적인 재질 특성을 밝히려 한다. 또한 주변 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삼층석탑의 보존처리에 활용 할 신석 후보지역을 선정하고자 한다. 육안관찰 결과, 삼층석탑에 사용된 암석부재의 특징은 경주시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남산화강암의 특징과 유사하고, 상륜부는 보개를 제외한 모든 부재는 남산화강암과 유사하지만 보개는 암색과 구성광물 및 입자크기가 주변의 토함산화강암과 유사하다. 비파괴 분석결과, 삼층석탑에 사용된 암석의 부재의 대자율 및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값은 보개를 제외하면 남산화강암과 유사하며, 반면에 보개는 토함산 화강암의 측정값과 유사하다. 삼층석탑에 사용된 부재가 훼손으로 인해 신석으로 교체가 불가피할 경우 남산화강암이 가장 적합하다. 한편 남산 화강암은 양산단층에 의해 분리되었으며, 이로 인해 경주 남산을 제외한 또 다른 야외에서 확인되는 지점은 경주시 동천동 일대와 포항시 흥곡리 부근이며 삼층석탑의 신석제작용 채석 후보지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주국립공원 내 암곡습지 유역권 식생분포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김지석;최송현;홍석환;강현미;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95
    • /
    • 2013
  •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에 걸쳐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암곡습지 유역권의 현존식생 및 출현식물을 조사하였다. 출현식생 분석결과 습지를 제외한 유역권 대부분이 과거 식생에 대한 인위적 훼손이 일어났던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습지:배후의 비율이 약 1:10으로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현 식물종 조사결과 65과 163속 184종 1아종 39변종 8품종으로 총 2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식생 특성상 중간습원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습지지역에서는 2종만이 출현하였다. 본 대상지는 유역권에 비해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유역권의 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습지가 건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었다. 단습지주변에 일부 버드나무와 신나무 등 목본식물의 유입이 일어나고 있어 지속적 관심이 요구되었다.

The Alluvial Fan Surface Deformation of the Northern Part of the Ulsan(Bulguksa) Active Fault System in the Southeastern Korea

  • Yoon, Soon-Ock;Hwang, Sang-I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5-16
    • /
    • 2004
  • The geomorphic deformation of the alluvial fans by tectonic movement was investigated along the lineaments of the northem part of the Ulsan(Bulguksa) fault system. Based on the aerial photographs interpretation and field surveys Ulsan fault system was identified as an active reverse fault which has displaced the Quatemary fan deposits. Buguksa fault system strikes for the direction of NW-SE and N-S. These two lineaments of active fault are crossing at Jinty village in Gyeongju city and the fault plane forms here almost vertical dip. The lateral pressures from the two directions have possibly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the vertical dip at jinty villagy. It should be resulted from that the two pressures responsible for the active reverse fault at which the one with the NW-SE strike thrusts the hanging wall of Tohamsan block southwestward and the other pressure with the N-S strike thrusts it westward over the foot wall of the fan deposits. The marine oxygen isotope stage 8(0.30-0.25 Ma. BP) and stage 6(0.20-0.14 Ma. BP) are presumed to be the ages of high and middle surfaces of the alluvial fan, repectively. The vertical displacements on the high surfaces along the Bulguksa fault system are about 1.05 m at Ha-Dong, 9.5-10.5 m at Jinhyun-Dong, and about 10 m high at Jinty village.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n the middle surface was measured about 6 m high at Ha-Dong. The average slip rate of vertical displacements is calculated about 0.03-0.43 mm/y.

  • PDF

경주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의 식생 특성 분석 - 애기송이풀, 애기등, 복주머니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Millettia japonica (Siebold & Zucc.) A.Gray and Cypripedium macranthos Sw. Populations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62
    • /
    • 2020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by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located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06 taxa including 47 families, 79 genera, 96 species, 1 sub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For status by sites, there were 59, 50 and 55 taxa in A area(Pedicularis ishidoyana), B area(Millettia japonica) and C area(Cypripedium macranthos), respectively. In the dominant species, the tree layer was Quercus serrata(A area), Platycarya strobilacea and Pinus koraiensi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subtree layer was Carpinus cordata and Quercus serrata(A area),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1st shrub layer was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A area),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u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2nd shrub layer was Styrax obassis and Lespedeza maximowiczii(A area), Lespedeza maximowicz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B are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the herbaceous layer was Athyrium yokoscense, Dryopteris chinensis, Dryopteris lacera and Lindera obtusiloba(A area), Athyrium yokoscense, Millettia japonica,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and Carex ciliato-marginata(B area) and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Ajuga spectab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C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