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C analysis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초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Fermented Proper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B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0-446
    • /
    • 2021
  •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바이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조합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의 발효적 형질전환 (Fermentativ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by a combin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helveticus and Pediococcus pentosaceus)

  • ;;김진만;양승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6-441
    • /
    • 2018
  • 인삼은 우수한 약리 활성 작용을 보이는 전통적인 약초이다. 본 연구에는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 KII13과 Pediococcus pentosaceus KID7 균주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 인삼 추출물을 발효시켜 진세노사이드를 형질전환 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발효삼 추출물의 TLC(Thin-layer chromatography) 분석 결과, 5일간의 발효 후 주요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h1 및 Rh2로 변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및 미량 진 세노사이드를 정량화하였다. 3일째에는 Rg3가 나타나고, 5일째에는 Rh2 및 Rh1이 나타난다. L. helveticus KII13과 P. pentosaceus KID7의 공동 배양은 주요 진세노사이드(Rb1과 Rg1)를 미량 진세노사이드(Rg3, Rh2, Rh1)로 전환시키는 것을 학인하였다.

행인과 도인의 감별기준감별기준 (Identification of Armeniacae Semen and Persicae Semen)

  • 이승호;김영식;김정훈;이금산;최고야;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67
    • /
    • 2014
  • Objectives : To present a differential standard of Armeniacae Semen and Persicae Semen that are easily confused. Methods : It was planed a differential standard form through outer appearance of the original plant,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and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form through a microscope for each samples. Using an standard compound amygdalin, each samples have been analyzed by HPLC and TLC. Results :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orignal plant between Armeniacae Semen and Persicae Semen through its leaf shape and calyx type. In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there was no difference pre-existing method(measuring length and width). In vascular pattern of the surface, howe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that Armeniacae Semen was developed more reticulated branches than Persicae Semen. In appearance through a microscope, it has not been possible to find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 original plant. Howe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Armeniacae Semen(1 layer) and Persicae Semen(3 layer) in inner albubemen cell. In TLC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attern between samples. But in HPLC analysis, Armeniacae Semen showed amygdalin content higher on average. Conclusions : It will be possible to find various differences i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original plant, the outer appearance in the form of each medicines,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form through a microscope and physical and chemical research component.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Soil)

  • 서민석;김민희;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309-326
    • /
    • 2004
  • 유적지의 발굴 현장에서 고대인의 삶과 동일시대에 존재했던 토양을 이용하여 유기 화학적 방법을 통한 잔존 지방산 분석과 현미경 관찰로 기생충 충란과 화분의 분석, 그리고 고대 미생물의 유전자 분석을 수행 할 수 있다. 지방산 분석은 인간과 동물의 부산물을 규명할 수 있어 고대 화장실 문화의 복원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기 화학적으로 TLC와 GC-MS 방법을 이용하여 고대 식생활과 영양원을 확인 할 수 있다. 고대 토양의 현미경 관찰로는 기생충의 충란과 화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기생충의 확인을 통해 과거 인류의 질병을 유추 할 수 있으며, 화분은 고대 인류 거주지 주변의 환경을 간접적으로 확인 및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유적지 토양에 존재하는 고대 생명체의 유전적 다양성과 변화 양상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멸종된 생명체의 유전자 보존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유기화학, 토양학, 미생물학, 분자 생물학, 유전학과 같은 자연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고고학적 발굴지의 토양을 분석한다면 기존에 해석하기 힘들었거나 간과하였던 부분을 재해석과 이해를 돕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생물 종 다양성과 고대 인류의 기원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리라 생각된다.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 생성물의 TLC를 이용한 조성비 분석 및 화장품에의 응용가능성 평가 (Composition Ratio Analysis of Transesterification Products of Olive Oil by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heir Applicability to Cosmetics)

  • 박소현;신혁수;김아랑;정효진;현송화;홍인기;이대봉;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42-3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으로 생성된 복합소재(olive oil esters)의 화장품 응용을 위해 물리화학적 성질, 유화력, 보습력 및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반응시간이 짧은 olive oil esters S와 반응시간이 긴 olive oil esters L을 사용하였다. 먼저 TLC 이미지 분석으로 조성비를 확인한 결과, olive oil esters S의 조성은 mono-, di-, tri-glyceride가 5.2, 24.1, 46.4%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1.9%이었다. Olive oil esters L은 mono-, di-, tri-glyceride가 4.1, 24.7, 40.6%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8.8%이었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설정을 위해 요오드가, 산가, 검화가, 불검화물, 굴절률, 비중 및 순도시험을 수행하였고 표준화시켰다. 또한 올리브 오일 에스터의 유화력 평가로서, 계면활성제 없이 O/W 에멀전을 제조하여 유화 입자를 확인하였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사람 피부에 도포 5일 후, 피부 수분 보유량은 초기보다 13.1% 개선되었다.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0.2-200{\mu}g/mL$에서 세포 생존율 90% 이상을 나타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무독성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β-galactosidse 함유하는 재조합 대장균 세포를 이용한 1,2-hexanediol galactoside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1, 2-Hexanediol Galactoside by Whole Cells of β-Galactosidase-contain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 김이옥;정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8-613
    • /
    • 2016
  • 최근 화장품에 쓰이는 방부제에 대한 피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 중에서 1,2-hexanediol (HD)는 방부기능과 보습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전한 화장품용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β-galactosidase (β-gal)을 함유하고 있는 대장균 세포를 이용한 transgalactosylation 반응을 통하여 1,2-hexanediol galactoside (HD-G)을 합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반응은 높은 농도의 lactose (300 g/l)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반응 시간이 12시간 지난 후부터 새로운 spot이 TLC 분석으로 확인되었다. 이 spot을 잠정적으로 HD-G로 추정한 후, 이 물질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정제한 후, mass spectrometry 분석을 통하여, 이 물질이 HD-G의 sodium adduct ion ([M+Na]+, m/z=303.1423)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정제된 HD-G를 시판되는 β-gal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유리된 단당류를 TLC로 분석하여 보았다. 이 때, galactose 한 분자가 HD-G로부터 유리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재조합 대장균 β-gal을 이용하여 HD로부터 HD-G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하여 항균력의 변화와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변화를 조사할 예정이며, 기능성에 변화가 없는 보다 안전한 화장품용 방부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fonis Venenum by Using TLC, HPLC, and LC-M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Lee, Hyo-Jae;Koung, Fan-Pei;Kwon, Ki-Rok;Kang, Dae-In;Cohen, Lorenzo;Yang, Pei-Ying;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65
    • /
    • 2012
  • Objectives: Toad venom, called Chan-Su,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ecreted from the auricular and the skin glands of the Bufo bufo gargarizanz Cantor or B. melanosticus Schneider and has been widely used in China,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for the treatment of pain, heart conditions, and cancer.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a commercially available toad venom product and compared the level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ethods: Toad venom was extracted using either cold or hot water, ethanol (EtOH), methanol (MeOH), or ethyl acetate (EtOAc), was fractionated using precipitation or reflux, and was then analyz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TLC), and 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LC-MS). Individ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the retention times, the ultraviolet spectra, and mass spectras and differences in chemical constituents for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are presented. Results: Components with authentic standards, including serotonin and bufodienolides (cinobufagen, bufalin, cinobufalin, and resibufogenin), were detected. The water extract of toad venom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serotonin ($75.7{\pm}0.1$ mg/g), but very small amounts of bufodienolides ($3.8{\pm}0.0$ mg/g). In contrast, the use of MeOH or EtOH extraction solutions resulted in 5-26 times higher concentrations of bufodienolides, with only trace amounts of serotonin.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concentrations of the component also varied based on the extraction method; i.e., EtOH extracts yielded the greatest total amounts of bufodienolides, and EtOAc precipitation had the lowest amounts of bufodienolides. Conclusions: Toad venom consists of serotonin and several bufodienolides, and the choice of solvent to extract chemical the constituents is important as a way to enrich the purported active components for treating different conditions.

인삼 토양 미생물 Cellulosimicrobium sp. Gsoil 235의 배지조성에 따른 Ginsenoside $Rb_1$ 전환 (Conversion of Ginsenoside $Rb_1$ by Ginseng Soil Bacterium Cellulosimicrobium sp. Gsoil 235 According to Various Culture Broths)

  • 나주련;김유진;김세화;김호빈;심주선;김세영;양덕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1
    • /
    • 2009
  • 인삼 근권에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중 esculin agar법을 이용하여 $\beta$-glucosid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다시 ginsenoside $Rb_1$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균주 Gsoil 235를 선발 및 동정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을 sequencing한 후, genebank에서 가장 가까운 type strain을 결정하여 유연 관계를 분석한 결과 Cellulosimicrobium 속의 funkei ATCC BAA-$886^T$(AY501364)와 99.7% 일치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TSB, LB, NB등 3종류의 배지에서 균의 생장은 접종 후 12-24 시간에서 가장 잘 자라며, TSB>LB>NB의 순으로 잘 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insenoside $Rb_1$과 8, 24, 4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TLC로 분석한 결과 NB>LB>TSB순으로 $Rb_1$ 분해 활성이 뛰어나 배지의 생장과 대조적인 결과를 얻었다.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Rd를 포함한 minor ginsenoside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른 배지에 비해 균주 생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NB는 48시간 후 $Rb_1$을 거의 분해하여 강한 효소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ichoderma harzianum 유래 ${\beta}$-mannanase에 의한 Locust Bean Gum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동정 및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생육활성 (Identification and Growth Activity to Bifidobacterium spp. of Locust Bean Gum Hydrolysates by Trichoderma harzianum ${\beta}$-mannanase)

  • 김유진;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64-369
    • /
    • 2005
  • Trichoderma harzianum이 생산하는 ${\beta}-mannanase$의 최적 사면배지조성은 2.0% malt extract, 2.0% glucose, 0.1% peptone, 2.0% agar로, 효소생산 배지조성은 3.0% cellulose, 3.0% C.S.L, 1% $KH_2PO_4$, 0.2% $(NH_4){_2}SO_4$로 결정되어 $28^{\circ}C$, 130 rpm, 진탕배양법으로 조효소액을 생산하였다. ${\beta}-mannanase$의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pH 4.5, $60^{\circ}C$에서 최대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Locust bean gum에 대한 효소적 가수분해 pattern을 TLC에 의해 검토한 결과 반응초기부터 반응말기까지 주요 생성물은 단당류, 중합도 4와 7의 올리고당으로 확인되었다. 중합도별 올리고당을 조제하기 위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250 ml/hr유속으로 tube당 20 ml씩 ethanol $0{\sim}50%$의 gradient법으로 분리 회수하였고, 분리된 각각의 올리고당 중 중합도4는 TLC $R_f$ value상으로 ${\beta}-1,4-mannotetraose$로, 중합도 7은 Methylation method에 의해 M-M-M-M-M 구조로 //G-G 동정되었다. (G-와 M-은 각각 ${\alpha}-1,6-D-galactosidic,\;{\beta}-1,4-mannosidic$ 결합을 나타냄). 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생육활성을 기존의 MRS media와 탄소원으로 중합도 4와 7의 올리고당으로 대체하였을때 3.4배, 4.3배의 생육활성이 증가하였고, 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해서는 1.2배, 1.1배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