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C analysis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1초

The improvement of ginsenoside accumulation in Panax ginseng as a result of γ-irradiation

  • Kim, Dong Sub;Song, Mira;Kim, Sun-Hee;Jang, Duk-Soo;Kim, Jin-Baek;Ha, Bo-Keun;Kim, Sang Hoon;Lee, Kyung Jun;Kang, Si-Yong;Jeong, Il 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332-340
    • /
    • 2013
  • In this study, gamma rays were used to irradiate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cotyledon explants of Panax ginseng Meyer. After the embryogenic calli were irradiated, they were transferred to adventitious roots using an induction medium; next, mutated adventitious root (MAR) lines with a high frequency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s were selected. Two MAR lines (MAR 5-2 and MAR 5-9) from the calli treated with 50 Gy of gamma rays were cultured on an $NH_4NO_3$-free Murashige and Skoog medium with indole-3-butyric acid 3 mg/L.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ginsenoside biosynthesis was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NA prepared from native ginseng (NG), non-irradiated adventitious root (NAR) and 2 MAR lines. The expression of the squalene epoxidase and dammarenediol synthase genes was increased in the MAR 5-2 line, whereas the phytosterol synthase was increased in the MAR 5-9 line. The content and pattern of major ginsenosides (Rb1, Rb2, Rc, Rd, Re, Rf, and Rg1) were analyzed in the NG, NAR, and 2 MAR lines (MAR 5-2 and MAR 5-9) using TLC and HPLC. In the TLC analysis, the ginsenoside patterns in the NG, NAR, and 2 MAR lines were similar; in contrast, the MAR 5-9 line showed strong bands of primary ginsenosides. In the HPLC analysis, compared with the NG, one new type of ginsenoside was observed in the NAR and 2 MAR lines, and another new type of ginsenoside was observed in the 2 MAR lines irradiated with gamma rays. The ginsenoside content of the MAR 5-9 lin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omparison to the NG.

마비성 패류 중독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ities of the paralytic shellfish poison)

  • 이종태;손혜숙;문덕환;이채언;김성천;배기택;김준연;김용완;백낙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63-171
    • /
    • 1988
  • 1986년 3월 29일부터 동년 4월 2일까지의 5일간에 걸쳐 부산의 모 폐선 해체 작업장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하였던 마비성 패류 중독(Paralytic shellfish poisoning)에 대하여 그 독소(Paralytic shelfish poison; PSP) 함유량 및 성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사고 당시 중독의 원인으로 인정되었던 홍합(일명 진주담치, Blue mussel)에서 추출한 PSP에 대하여 동물학적 실험(mouse bioassay, A.O.A.C. method)에 의한 PSP 함유량 산정과 화학적 실험(TLC, IR 및 $^{1}H-NMR$)에 의한 독소성상 분석을 병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비성 패류 중독의 PSP함유량은 패육 100gm당 평균 $1,207.8{\mu}g$이었고, mouse의 평균 치사시간은 5분 16초(4분 51초$\sim$5분 53초)이었다. 2. TLC, IR 및 $^{1}H-NMR$ 등의 화학적 분석 결과 PSP의 주성분은 Gonyautoxin(GTX)류 이었다.

  • PDF

초식동물 쓸개즙 추출물의 천연항산화 성분; 생물학적인 기능 및 특성규명 (Natura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ed from Bovine Bile ; Biological Effects and Characterization)

  • 심재한;박명우;임계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1-22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Bovine bile에서 항산화 물질분획을 분리하고 이에 따른 항산화 효소들의 여러 활성효과를 측정하였으며 GC/FID에 의한 항산화성 물질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력은 Butylated hydroxy toluene(BHT)에 비해 Bovine bile의 EtOAc추출물(BBE)이 51.2%로 나타났고 xanthine oxidase를 측정 48.3%의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glutatione-S-transferase의 활성은 85.7%의 활성이 나타났다. MTT방법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조사에서는 6mM glutathione 투여에서 95%라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20mg, 60mg의 BBE를 처리했을 때 56%와 65%, 140mg처리에서는 78%의 세포생존율이 나타났다. Bovine bile EtOAc추출물을 TLC로 분석한 결과 Rf값이 0.72에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고 이 분획을 methylation과 trimethysilyl(TMS) 유도체화를 시켜서 Gas Chromatography(FID)와 mass spectrum을 통한 성분 분석을 하고 bile acid의 구성분과 비교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Coprostan-3ol로 추정되었다.

  • PDF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성분 분석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 김선영;원두현;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8-282
    • /
    • 2010
  • 1) 며느리배꼽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 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25%, 0.25%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2)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는 5개의 띠(PP1, PP2, PP3, PP4, PP5)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_f$ 값이 0.32인 PP4로 나타났다. 3)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320nm에서 8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peak 2는 quercetin-3-o-glucuronide, peak 3은 isoquercitrin, peak 5는 quercetin, peak 6는 apigenin으로, peak 7은 kaempferol 임을 확인하였다. 4)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aglycone 분획의 TLC는 3개의 띠(PPA1, PPA2, PPA3)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_f$ 값이 0.45인 PPA3로 나타났다. 5)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aglycon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260 nm에서 3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높이가 가장 높은 peak 2는 quercetin 그리고 peak 3은 kaempferol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과 항균 활성으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 생성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tin-produc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YJ07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s)

  • 신평균;유영복;조용운;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0-185
    • /
    • 2011
  • 버섯 생산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surfactin을 생성하는 4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는 A. flavus와 A. ochraceou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YJ07로 명명하였다. Bacillus ID kit와 VITEK 2 system를 이용하여 분리균 YJ07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은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와 유사한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유연관계에서도 B. amyloliquefaciens와 9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YJ07은 B. amyloliquefaciens YJ07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 YJ07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은 TLC와 HPLC 분석에서 reference 물질로 사용한 srfactin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Koidz) 수피의 염착물질 분석 (Analysis of Dyeing Components from Neolitsea sericea Koidz Bark)

  • 이상극;조현진;김윤근;이학주;강하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64-72
    • /
    • 2006
  •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Koidz) 추출물의 염색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피의 열수추출물에 대해 검토했다. 참식나무 수피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디에틸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fraction을 TLC 및 column chromatography 처리하여 2개의 물질을 단리하였다. 기기분석을 통하여 단리물질의 구조를 해석한 결과, 알칼로이드 계열의 4H-dibenzoquinoline-2,10-diol, 5,6,6a,7-tetrahydro-1,9-dimethoxy-6-methyl (화합물I)과 리그난 계열의 lyoniresinol (화합물II)로 동정되었다. 이들 물질이 염색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화합물(I)과 화합물(II)의 retention time이 참식나무 추출물 염색액 및 탈염액의 에틸아세테이트 fraction 중 주성분 피크의 retention time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화합물(I)과 화합물(II)가 참식나무 수피의 주요 염착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중 호박분말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변화 (Changes of Carotenoids of the Pumpkin Powder during Storage)

  • 박용곤;강윤한;이병우;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36
    • /
    • 1997
  • 열풍건조한 호박분말을 2$0^{\circ}C$에서 1개월 저장하였을 때 저장 초기 총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14.46mg%이던 것이 저장 1개월후 빛의 유무에 관계없이 약 65~70% 감소하였으며, TLC 분리에서 빛의 영 향에 관계없이 5개 의 반점으로 분리되었으나 저장시일의 경과에 따른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차이를 구별하기는 어려웠다. HPLC에서 lutein의 경우 빛을 조사한 분말은 저장 15후 부터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고, 빛을 차단한 분말은 1개월간 함량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lycopene은 모두 저 장 말기까지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beta$-Carotene 의 경우 빛을 조사한 처리구가 15일경부터 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빛을 차단한 분말은 저장말기에 가서야 감소하였으며, $\alpha$-carotene은 저장 전 기간을 통해 두 처리구 모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조사에서 황색 도인 b값은 두처리구 모두 저장 10일 이후부터 감소하 였으나 빛 차단구의 경우가 그 감소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국장 발효균주 Bacillus licheniformis B1의 ${\beta}$-1,4-glucanase 특성 (Characterization of ${\beta}$-1,4-Glucanase Activity of Bacillus licheniformis B1 in Chungkookjang)

  • 황재성;유형재;김성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9-73
    • /
    • 2008
  • 대두가 발효된 청국장에는 미생물, 다양한 효소와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한다. 청국장의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cellulase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Oligosaccharide는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다. Congo red test 및 활성염색을 통해, 효소액이 cellulase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했다. 청국장 발효 균주 Bacillus licheniformis B1이 분비하는 cellulase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10과 $40^{\circ}C$이었다. TLC분석을 통해 효소액은 carboxymethyl cellulose (CMC)를 분해하여 2탄당 이상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본 균주를 이용해서 제조한 보리 청국장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균주의 cellul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분석한 결과, 본 효소는 ${\beta}$-1,4-glucanase였으며, 전체 coding 영역 $10{\sim}460$번째 아미노산 영역 중, 32군데서 polymorphism을 보였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kimchicus sp.nov and Bio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 Liang, Zhi-Qi;Kim, Ho-Bin;Kim, Yeon-Ju;Wang, Hong-Tao;Yang, Deok-Ch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5-15
    • /
    • 2010
  • Ginseng contained many different kinds of saponin which was the most valuable for people, but its yield cannot satisfy the demand using traditional extract methods. Enzyme transformation is a conformable and highly performed method which was fit for today. A ${\beta}$-glucosidase producing bacterium ($DCY51^T$) wa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vegetable food kimchi.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rain $DCY51^T$ belongs to the genus Lactobacillus. The highest sequence similarity was found with Lactobacillus paracollinoides LMG $22473^T$ and Lactobacillus collinoides LMG $9194^T$ with levels of 16S rDNA similarity of 97.4% and 97.3%,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rain $DCY51^T$ placed in the genus Lactobacillus and proposed a new species, Lactobacillus kimchicus sp. nov. $DCY51^T$ (= KCTC $12976^T$ = JCM $15530^T$). It was culture solution reacted with Red Ginseng extract and $Rb_1$, respectively. The medium of bacteria was the liquid of MRS, the temperatures of growing and reacting between bacteria liquid and saponin were samely $37^{\circ}C$, there spective reacting time were 12 hours and 48 hours. Thus we got different saponins, and TLC and HPLC analysis showed that: enzyme respectively reacted with $Rb_1$ and Red Ginseng extract got the transformed saponin, respectively. The polarity position in TLC was a little higher than Rd; and the polarity position was the same as that of Compound K's, the saponin obtained from HPLC and other experimental results was not Compound K. The constitution of its saponin was hoped to be further confirmed.

  • PDF

Bacillus sp. MS202에 의한 Dinitroaniline계 제초제인 Pendimethalin의 부분환원 (Partial Reduction of Dinitroaniline Herbicide Pendimethalin by Bacillus sp. MS202)

  • 이영근;장화형;장유신;형석원;정혜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7-202
    • /
    • 2004
  • 토양과 지하수에서 pendimethalin의 지속성은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경남 마산에서 분리한 pendimealalin분해 균주는 API CHB50 kit 시험, FAME분석, 그리고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 Bacillus sp. MS202로 잠정적으로 동정하였다. TLC, GC, 그리고 GC-MS 분석에 의해 Bacillus sp. MS202가 pendimethalin의 $-NO_2$$-NH_2$로 환원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pendimethalin 분해가 탈알킬화가 우선한다는 보고와 상반되는 새로운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