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500

검색결과 1,743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Pueraria lobata Root Ethanol Extract o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 Lee, Chae Myoung;Yoon, Mi Sook;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91-201
    • /
    • 2015
  •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thanol extract (PLREE) on lipid accumulation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by measuring the intracellular expression of adipogenic, lipogenic, and lipolytic markers and lipid accumulatio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PLREE were 47 and 29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capacity of PLREE at $1,000{\mu}g/mL$ was 48.8%. Treatment of 3T3-L1 preadipocytes with 100, 250, or $500{\mu}g/mL$ PLREE for 8 days dose-dependently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In contrast, the lipid content of PLREE-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7.8% (p < 0.05), 35.6% (p < 0.001), and 42.2% (p < 0.001) following treatment with 100, 250, and $500{\mu}g/mL$ PLREE, respectively, as compared to differentiated control cells. PLREE upregulate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mRNA and protein, and sterol regulator element-binding protein-1c mRNA levels, but did not affect CCAAT/enhancer binding-protein ${\beta}$ and ${\alpha}$ mRNA levels. PLREE also downregulated acetyl-CoA carboxylase mRNA and protein, fatty acid synthase (FAS) protein, and leptin mRNA levels, but did not affect FAS mRNA expression. PLREE upregulated adipose triglyceride lipas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nd hormone-sensitive lipase (HSL) protein expression, but did not affect HSL mRNA expression. In conclusion, we found that PLREE enhanced adipogenesis, but reduced lipogenesis, resulting in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홀스타민 착유우의 분뇨배설량과 이화학적 제특성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Manure by Holstein Milking Cow)

  • 최동윤;강희철;최희철;곽정훈;김태일;김재환;한정대;최홍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2
    • /
    • 2001
  • 축산기술연구소 유우사에 있는 계류식 우사에서 홀스타인 착유우 6두를 공시하여 1998년 9월 2일부터 9월 11일까지 10일간 개체별로 계류하여 배합사료를 NRC 사양표준에 기준하여 급여하고 조사료로 옥수수 싸일 레지 및 목건초를 자유채식토록 하여 분뇨배설랑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중 착유우의 평균체중은 550.0kg 이었으며 평균 사료섭취량은 건물기준 16.7 kg이었다. 산유량은 평균 24.4kg이었으며, 음수량은 85.4l였다. 분뇨배실량은 평균 63.5 kg으로, 분이 42.3, 뇨가 21.2kg이있다. 분뇨의 특성에서 분과 뇨의 수분 함량은 각각 83.9, 96.9%였고, pH는 각각 6.6, 7.6으로 나타났다. 분의 $BOD_5,\;COD_{Mn}$, SS, T-N, T-P는 각각 16,560, 40,329, 78,500, 2,854, 577mg/$\ell$였고, 뇨의 $BOD_5,\;COD_{Mn}$, SS, T-N, T-P는 각각 4.580, 7.575, 370, 4,164, 7mg/l로 나타났다. 분뇨중의 중금속 함량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2, 3, 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환원시험(還元試驗)(T. T. C. Test)에 미치는 요인(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2, 3, 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Reduction Test(T.T.C. Test))

  • 김교준;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80-86
    • /
    • 1978
  • T.T.C. Reduction Test에 의한 유즙중(乳汁中)에 잔류(殘留)하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을 검출(檢出)하는데 있어 반응(反應)에 마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항생제(抗生劑), 세제(洗劑), 소독제(消毒劑)와 pH, 산도(酸度) 및 시험균(試驗菌)의 배양조건(培養條件) 등에 관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各)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T. T. C. 반응도(反應度)는 Penicillin계(系)가 0.02~0.05IU로서 가장 예민(銳敏)하였고, Vibramycin, Synthomycin 및 Teramycin을 제외(除外)한 나머지 광역(廣域) 항생제(抗生劑)는 비교적(比較的) 둔(鈍)한 반응(反應)을 나타냈으며, Streptomycin계(系)는 가장 둔감(鈍感)한 반응(反應)을 나타냈다. 2. 세제(洗劑)에 대한 T.T.C. 반응도(反應度)는 Hi-Ti, NaOH 각각(各各0 0.7%, 0.1% 이상(以上)에서 양성반응(陽性反應)을 나타냈다. 3. 소독제(消毒劑)에 대한 T.T.C. 반응도(反應度)는 차아염소산(次亞鹽素酸) Na, 표백분(漂白粉) 및 Harasol은 200~500PPM, Phenol, Cresol 및 Iode-k는 0.15~0.35%의 범위내(範圍內)에서 각각(各各) 양성(陽性) 반응(反應)을 나타냈다. 4. 시험균(試驗菌)의 증식배양온도(增植培養溫度)는 $35{\sim}37^{\circ}C$, 배양시간(培養時間)은 12~18시간배양(時間培養)에서 가장 예민(銳敏)한 반응(反應)을 나타냈다. 5. 시험유(試驗乳)의 pH는 5.0이하(以下)에서, 산도(酸度)는 0.21% 이상(以上)에서 각각(各各) 의양성(疑陽性) 및 양성반응(陽性反應)을 나타냈다.

  • PDF

Sapphire SiC, Si 기판에 따른 AlGaN/GaN HEMT의 DC 전기적 특성의 시뮬레이션과 분석 (Simulation and analysis of DC characteristics in AlGaN/GaN HEMTs on sapphire, SiC and Si substrates)

  • 김수진;김동호;김재무;최홍구;한철구;김태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2-2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고출력 및 고온 분야의 반도체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AlGaN/GaN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 에 대해 DC (direct current) 특성과 열 특성을 기판을 달리하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HEMT 소자의 전자 이동도 및 열전도 특성은 기판의 영향이 그 특성을 크게 좌우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GaN 기반의 HEMT 소자의 기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Drift-Diffusion 모델과 열 모델을 이용하여 Si, sapphire, SiC (silicon carbide)으로 각각 기판을 변화시키며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열 모델 시뮬레이션은 온도를 각각 300, 400, 500K로 변화시키며 그 결과를 비교, 해석 하였다. 전류-전압 (I-V) 특성을 T= 300 K, $V_{GS}$=1 V의 조건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 드레인 포화전류 ($I_{D,max}$)의 값과 sapphire 기판은 189 mA/mm, SiC 기판은 293 mA/mm, Si 기판은 258 mA/mm 를 나타내었다. 또한 T= 500 K에서 최대 전달컨덕턴스($G_{m,max}$)는 각각 38, 50, 31 mS/mm 를 나타내었다.

  • PDF

주의 깜박임 현상의 검증: 주의 자원의 반시야 독립성과 상호작용 (A Test of Attentional Blink: Hemifield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 김정열;이국희;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27-136
    • /
    • 2017
  • 주의 깜박임이란 RSVP상에서 두 개 이상의 표적을 탐지할 때 먼저 제시 된 표적(T1)에 대해서는 정확성이 높지만 이후 500ms 이내의 표적(T2)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수행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은 주의용량결핍 모형과 주의여과지연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시각적 주의 용량은 좌우 시각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반시야 독립성으로 인해 다양한 과제에서 양측영역이득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주의 용량의 반시야 독립성을 이용하여 주의 깜박임을 설명하는 두 갈래의 이론을 검증하였다. 실험 1은 T1과 T2를 포함하는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거나 한쪽 시야 영역에 제시하여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실험 2는 하나의 RSVP에서 T1을 제거함으로써 양쪽 시야 영역에 T1과 T2가 독립된 주의용량을 사용할 때에도 주의 깜박임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RSVP를 양쪽 시야 영역에 나누어 제시하였을 때 더 우수한 수행을 보여주었으나 (즉, 양측영역이득) 주의 깜박임과 양측영역이득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T1이 제시되지 않은 RSVP의 T2에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주의 깜박임에 대한 주의여과지연 모형을 지지한다.

Prevalence of Toxocara canis, Toxascaris leonina and Dirofilaria immitis in dogs in Chuncheon, Korea (2004)

  • KIM Yong-Hun;HUH 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65-67
    • /
    • 2005
  • The intestines and hearts of dogs were examined for Toxocara canis, Toxascaris leonina, and Dirofilaria immitis, after necropsy between June 26 and September 29, 2004 in Chuncheon, Korea. Of the 662 dogs examined, 6 were infected with T. canis $(0.9\%),\;86\;with\;T.\;leonina\;(13.0\%)$. Fifty dogs were infected with D. immitis among 500 dogs examined $(10.0\%)$. Five were co-infected with T. canis and T. leonina, and three were co-infected with T. leonina and D. immitis. The cumulative positive infection rate for three species was $134/662(20.2\%)$. Considering previously reported seropositive rates of T. canis excretory-secretory antigen, i.e., $5\%$ in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the possibility of toxocariasis caused by T. leonina should be reevaluated.

랫드에서의 t-BHP 유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기능성 들깻잎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Hot-water Extract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Liver Oxidative Damage in Rats)

  • 양성용;강정한;이광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6-151
    • /
    • 2013
  • t-BHP는 대표적인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모델이며, 본 연구자는 랫드에 기능성이 강화된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P. frutescens leaf extract, PLE)을 250, 500 또는 1000 mg/kg body weight (b.w.)으로 6일간 경구 투여하고 t-BHP의 복강 주사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이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얼마나 억제하여 주는지를 혈액의 간 손상 지표인 lactate dehydrogenase (LDH),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그리고 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측정하였으며, 간 조직에서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reduced glutathione (GSH), 지질과산화물의 척도인 malondialdehyde (MD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시 GSH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146.0{\pm}5.4$ mM GSH/g protein)에 비해 t-BHP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그룹에서 $128.6{\pm}6.8$ mM GSH/g protein로 감소하였다. 반면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250, 500 그리고 1000 mg/kg b.w. 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29.3{\pm}2.6$ mM GSH/g protein, $151.9{\pm}6.8$ mM GSH/g protein, $171.9{\pm}5.2$ mM GSH/g protein로 농도 의존적으로 GSH 함량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500 mg/kg b.w. 투여군부터 정상 대조군의 GSH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였을 때 t-BHP에 의하여 산화스트레스만 유발한 그룹은 $834.0{\pm}154.7{\mu}M/g$ protein 로 정상 대조군의 $385.6{\pm}39.7{\mu}M/g$ protein 보다 2.17배 높은 MDA를 생성한 것으로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의 MDA의 생성량은 $669.2{\pm}145.0$, $595.1{\pm}142.6$, $415.9{\pm}133.8{\mu}M/g$ protein 로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랫드의 간 조직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t-BHP를 복강 투여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의 지표인 MDA의 감소와 항산화의 지표인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확인을 위하여 간 조직을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t-BHP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의 경우 간 세포의 괴사와 조직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모두 정상 상태의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t-BHP가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간 손상을 야기시키고, 간 조직의 인지질 막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은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자식유량계를 활용한 홀스타인 젖소의 비유형질 분석 (Analysis of Daily Milking Flow in Holstein Dairy Cow Using the LactoCorder)

  • 조광현;최준표;유병화;이득환;공홍식;박경도;이학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265-272
    • /
    • 2009
  • 본 연구는 임실군 관내 16농가를 선정하여 총 486두에 대한 비유기록을 수집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비유개시 3분이내 유량(3MG)은 7.44 kg으로 총 유량의 55%가 3분이내에 비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우유속 거품함량(SPL)은 33.93%였으며, 평균 후착유 유량은(MNG)은 0.14 kg으로 총 유량의 1%에 불과하였다. 순간최고유속(HMF), 분당최고유속(HMG)과 주착유시평균유속(DMHG)에 대한 평균치는 각각 3.03 kg/min, 2.94 kg/min과 2.05 kg/min으로 임실군 젖소군의 비유속도는 대체적으로 느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유개시부터 유속 500 g/min 도달시간(tS500)은 평균 0.23분(약 14초) 이었으며, 총비유 시간(tMGG)의 평균은 7.75분이었다. 평균 과착유소요시간(tMBG)은 0.58분(35초) 이었으며, 후착유소요시간(tMNG)은 평균 0.42분(14초) 걸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고유속시 전기전도도(ELHMF)와 비유개시시 최고전기전도도(ELAP)의 평균은 각각 6.81 mS/cm와 7.58 mS/cm로 조사되었고 최고유속이후 최고전기전도도(ELMAX)는 평균 7.48 mS/cm로 나타났으며, 비유초기와 최고유속의 전기전도도 차이(ELAD)는 평균 0.61 mS/cm로 나타났다. 총비유량은 주착유시 평균유속(DMHG), 주착유시간(tMHG), Plateau 비유 소요시간(tPL), 비유하강기 소요시간(tAB)과 총착유 시간(tMGG)에 대하여 0.35~0.54 범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과착유시간(tMBG)과 우유속 거품함량(SPL)과는 각각 -0.11과 -0.27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주착유시 평균유속(DMHG)이 증가하면 총비유시간(tMHG), Plateau 비유 소요시간(tPL), 비유하강기 소요시간(tAB), 총비유시간(tMGG)과 우유속 거품함량(SPL)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개시시 전기전도도가 높은 개체의 우유는 체세포 수가 적은 반면 최고 비유기 이후 최고전도도가 높은 개체의 우유는 체세포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유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착유 및 비유에 대한 표준안을 바탕으로 착유를 실시하면 유량과 유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자동조사기 기술체계확립을 위한 시험 (I) (The Experiment for the Technical Balance Work on the Automatic Silk Reeling Machine ( I ))

  • 최병희;송기언;유시환;김화연;이용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0
    • /
    • 1971
  •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원료견질에 적합한 자동조사기의 기술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원료견 성상에 따른 생사량 및 조사능률을 감안한 합리적인 조사속도는 해서량호견(해서사장 850m)은 150m/min 내외, 해서중용견(해서사장 650m)은 120m/min 내외, 해서하량견(해서사장 500m)은 90~120m/min 이었다. 2) 건견온도별에 있어서 저온구(T$_3$)는 표준구(T$_1$) 및 고온구(T$_2$)에 비하여 해서율은 향상되나 사조고장은 증가하고 생사품위가 저하되었으며 생사량비율 및 부잠사양비율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건견정도별에 있어서는 약건구(T$_3$)는 표준구(T$_1$) 및 과건구(T$_2$)에 비하여 해서율은 향상되었으나 사조고장이 증가하고 생사품위가 저하되었으며 생사량비율 및 부잠사량비율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자동조사의 합리적인 건견조건으로는 건견온도에 있어서 저온건견을 피하여 표준건견 내지 고온건견으로 하고 건견정도에 있어서는 약건을 피하여 표준건견내지 과건하는 방향으로 건조하는 것이 생사품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 자동조사의 적합한 자견정도는 적자, 조사탕온도 4$0^{\circ}C$ 또는 약자, 조사탕온도 45$^{\circ}C$로 조절하여 주는것이 좋았다.

  • PDF

Use of multivitamin, acidifier and Azolla in the diet of broiler chickens

  • Islam, M.A.;Nishibori,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5호
    • /
    • pp.683-689
    • /
    • 2017
  • Objectiv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effect of multivitamin, acidifier and Azolla on growth performance, profitability and lipid profiles of blood of broiler chickens to produce safe and cost effective broilers. Methods: In experiment 1, 240 day-old Cobb-500 broiler chicks were fed diets; $D_1$ (control), $D_2$ ($D_1$ with 1 mL multivitamin/liter water), $D_3$ ($D_1$ with 1 mL acidifier/liter water), $D_4$ ($D_1$ with 1 mL multivitamin and 2 mL acidifier/liter water) having 3 replications in each, and 20 chicks/replication. In experiment 2, 150 day-old Cobb-500 broiler chicks were fed diets; $T_1$ (control), $T_2$ (5% Azolla in the diet), $T_3$ (7% Azolla in the diet) and $T_4$ ($T_1$ with 1 mL multivitamin and 1 mL acidifier/liter water) having 3 replications in each, and 20 chicks/replication in control, and 10 chicks/replication in the remaining dietary treatment groups for 35 days. Results: In experiment 1, the highest live weight was observed in $D_4$ (p<0.05), however, feed intake was statistically similar between diets (p>0.05). The lowest feed conversion ratio (FCR) (p<0.001) and mortality (p<0.05) were observed in $D_2$ followed by $D_4$, $D_1$, and $D_3$,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s for feed cost and net profit (p>0.05). However, evidently but not significantly, the highest net profit was obtained in $D_2$ followed by $D_4$, $D_1$, and $D_3$,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the highest live weight (p<0.05) and feed intake (p<0.001) were observed in $T_4$. Mortality (p<0.01), FCR (p<0.01), feed cost (p<0.05) and net profit (p<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s. Considering net profit, $T_2$ was the best performing dietary group followed by $T_3$, $T_1$, and $T_4$, respectively. The lowest lipid profiles were observed in $D_3$ followed by $D_1$, $D_4$, and $D_2$, respectively (p<0.05). In experiment 2, the lowest total cholesterol, TG, and the highest amount of high density lipoprotein were observed in $T_2$, followed by $T_3$, $T_1$, and $T_4$, respectively (p<0.05). Evidently but not significantly, low density lipoprotein was the highest in $T_2$ followed by $T_3$, $T_4$, and $T_1$,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Azolla and acidifier reduced lipid profiles of broiler chickens. Considering net profit and lipid profiles, 5% Azolla may be the suitable dietary group for producing safe and profitable broiler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study prior to suggesting using Azolla in the poultry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