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stub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9초

SMA 강봉으로 체결된 T-stub의 에너지소산능력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T-stub Fastened by SMA bars)

  • 양재근;백민창;이재윤;이형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31-240
    • /
    • 2014
  • 축방향 인장력을 받는 T-stub은 T-stub과 긴결재의 재료적 물성 특성, T-stub의 기하학적 형상, 긴결재의 직경과 체결력 등의 변화에 의하여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T-stub은 T-stub 플랜지의 휨항복 후 소성파괴, T-stub 필릿부의 휨항복과 긴결재 파단, 긴결재의 파단 등과 같은 세 가지 파괴양상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T-stub 플랜지의 두께가 얇고 긴결재의 게이지 거리가 긴 T-stub은 플랜지의 휨항복 후 소성화에 의하여 T-stub 플랜지의 두께가 두껍고 긴결재의 게이지 거리가 짧은 T-stub보다 에너지소산능력이 우수하다. 이 연구는 T-stub 체결에 사용된 긴결재가 T-stub의 에너지소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진행하였다. T-stub 해석모델의 긴결재로는 F10T-M20 고장력볼트와 ${\varnothing}19.05mm$(3/4inch)인 SMA 강봉을 모델링하였고, T-stub의 기하학적 형상은 T-stub 필릿부의 휨항복과 긴결재 파단의 파괴를 나타내도록 선택하였다.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Frames with Semi-Rigid Connections Using Reformed T-stubs)

  • 이명재;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통권47호
    • /
    • pp.339-35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량 T-stub를 이용한 1층 1스팬 골조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 중층규모의 건축물에 대하여 개량 T-stub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개량 T-stub 및 기존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반복가력실험을 하였으며 개량 T-stub의 플랜지 두께와 볼트중심거리를 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및 해석결과로부터 개량 T-stub의 거동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 반강접합부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상·하부 T-stub 접합부의 초기회전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itial Rotational Stiffness of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 김희동;양재근;이재윤;이형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3-142
    • /
    • 2014
  • 상 하부 T-stub 접합부는 보와 기둥의 강성비,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화, 긴결재의 개수, 패널존 효과 등의 영향에 따라서 보통모멘트골조 및 특수모멘트골조에 적합한 거동특성을 나타내는 완전강도 부분강접 접합부(full strength partial restrained connection)이다. 이러한 상 하부 T-stub 접합부가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거동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 강성, 연성능력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 연구는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화가 상 하부 T-stub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상 하부 T-stub 접합부의 초기회전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수 ${\alpha}^{\prime}$값을 변화시킨 2개의 상 하부 T-stub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접합부 실험을 수행하였고,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도 수행하였다.

개량 T-stub 반강접합부의 기초적 연구 (The Basic Study of Semi-Rigid Connections with Reformed T-stubs)

  • 유봉현;이명재;김원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통권33호
    • /
    • pp.479-487
    • /
    • 1997
  • 강구조 건축물의 접합에서 강접합, 단순접합 이외에 반강접합의 이용이 고려될 수 있다. 반강접합의 장점으로서는 시공의 용이성과 부재의 효율적인 모멘트 분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T-stub를 더 많은 회전능력이 생기도록 한 개량 T-stub를 접합요소로 선정하여 중층정도의 건축물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적 단계이다. 연구방법으로서는 개량 T-stub의 역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개량 T-stub요소의 인장 및 압축 실험과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단순재하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결과로부터 개량 T-stub의 정성적인 거동을 파악하였고, 개량 T-stub를 이용하면 반강접합으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 PDF

반강접 접합부의 요소인 개량 T-stub의 비탄성 해석과 약산식 (Inelastic Analyses and Simplified Equations for Improved T-stub Element Used at Semi-Rigid Connections)

  • 조재철;김원기;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통권40호
    • /
    • pp.271-279
    • /
    • 1999
  • 보와 기둥과의 반강접에 관한 최근 연구로서 기둥 면과 T-stub 플랜지 사이에 격리재를 설치하는 개량된 T-stub 요소를 개발하고 있다. 개량된 T-stub에 대한 비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비탄성 해석 방법은 기둥 면과 격리재 사이에 간격요소(gap element)를 적용하고, 고력볼트에 초기 응력을 부여하여 실험값과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실무에서의 설계와 해석에 적용할 수 있는 약산식으로서 T-stub의 초기 강성도와 압축하중에 의한 소성내력에 관한 설계식을 제시한다.

  • PDF

SS400 강재를 사용한 개량 T-stub 반강접합부의 역학적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Semi-Rigid Connections with Reformed T-stub by Using of SS400 Steel)

  • 이명재;양명숙;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241-241
    • /
    • 1999
  • 강구조 건축물의 해석과 설계는 기둥-보 접합부가 완전강접이나 핀접합이라는 가정하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경우의 접합부형태들이 반강접합의 거동을 보이고 있다. 필자 등은 개량 T-stub로서 SM490강재를 이용하여 반강접합부의 거동을 조사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S400강재로 된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반강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개량 T-stub요소의 인장, 압축실험과 해석 및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단조가력 및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부터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합부의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T-stub를 이용한 접합부의 초기강성 평가 (Initial Stiffness Evaluation of T-stub Connection)

  • 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805-813
    • /
    • 2006
  • 이 논문은 T-stub를 이용한 접합을 반강접이 아닌 강접합의 범주에 두고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서 초기강성에 관한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T-stub접합과 강접합의 초기강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를 통하여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초기강성의 영향인자를 조사하였다.

고력볼트로 체결된 T-stub의 지레작용력 및 부재 접촉력 예측모델 (Prediction Models for the Prying Action Force and Contact Force of a T-stub Fastened by High-Strength Bolts)

  • 양재근;백민창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09-419
    • /
    • 2013
  • 인장력을 받는 고력볼트로 체결된 T-stub는 지레작용력과 부재 사이의 접촉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지레작용과 부재 사이의 접촉력 등이 고려된 설계식이 제안되지 않는 경우, 인장력을 받는 T-stub는 예측한 설계강도 보다 더 작은 강도에도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연구를 통하여 고력볼트로 체결된 T-stub의 지레작용력과 부재 사이의 접촉력 예측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반영한 설계식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법을 적용하여 그동안 제안된 예측모델을 개선한 보다 정확한 지레작용력 및 접촉력 예측모델을 제안하고자 진행하였다.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지레작용력 및 접촉력 예측모델은 기존의 예측모델보다 더 근사적인 예측값을 제공하였다.

단말기 T-DMB용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는 Open Stub를 가지는 소형 Two-Wire Helical 안테나 (A Compact Two-Wire Helical Antenna with an Open Stub for a T-DMB Antenna of Mobile Devices)

  • 이동현;박세현;김영일;박위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1-15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의 T-DMB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는 급전 반대편에 open stub를 가지는 소형 two-wire helical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Open stub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open stub에 유전 물질을 발라 T-DMB 대역인 200 MHz에서 높이가 8 cm(200 MHz에서 0.053 $\lambda$임)인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를 쉽게 매칭시킬 수 있다. 이 안테나의 unbalanced 모드와 balanced 모드의 등가 회로를 이용하여 이 안테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동작 원리를 설명하였다. 등가 회로의 해석을 토대로 open stub의 영향을 검증했다. 몇 가지 다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안테나를 제작하였으며, 이 안테나의 $S_{11}$$S_{21}$을 측정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임력 임피던스 대역폭($S_{11}{\leq}-10dB$)은 $196{\sim}204$ MHz(8 MHz)로 T-DMB의 한 채널(6 MHz)을 만족한다. 이 안테나의 측정된 $S_{21}$은 -38.6 dB로 동일한 높이의 모노폴 안테나와 open stub를 가지지 않은 two-wire helical 안테나의 $S_{21}$보다 약 17 dB 높다.

Common Mode Stub를 이용한 Flexible T-DMB 안테나 구현 (Design Flexible T-DMB Antenna with Common Mode Stub)

  • 이선현;김호진;이상석;이영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05-61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앞유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이폴 형태의 T-DMB 수신용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안테나의 구조는 동박과 급전선의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운전자의 시야에서 완벽히 벗어날 수 있도록 차량 유리의 테두리 쪽에 존재한다. 차체의 특성과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을 고려하여 제안된 미앤더 형태의 다이폴 안테나는 T-DMB 주파수 대역(174~216 MHz)을 만족한다. Common Mode Stub를 추가한 Flexible 안테나는 차량 앞유리에서 부착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안테나의 입력 반사 손실은 -5 dB 이하를 가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