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

검색결과 50,072건 처리시간 0.062초

한우 수송아지에 대한 황토, 일라이트, 올리고당, 활성탄 및 크롬 급여가 성장발육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wangto, Illite, Oligosacharides, Charcoal powder and Chromium picolinat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Eary Weaned Hanwoo Calves)

  • 강수원;조창연;김준식;안병석;정하연;서국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31-540
    • /
    • 2002
  • 한우 수송아지에 대한 육성기 항병력 증진물질 투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75일령에 이유된 한우수송아지 30두를 대상으로 사료내 항병력 증진물질 첨가 종류에 따라 6개 처리(T1: 관행사육, T2: 황토 2%첨가, T3: Illite 2% 첨가, T4: Oligosacharides 0.04% 첨가, T5: Charcoal powder 2% 첨가, T6: Chromium picolinate 0.1% 첨가)를 두어 3개월령부터 7개월령까지 12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 처리구별 일당 증체량은 T3, T6, T4, T5, T2 및 T1이 각각 0.92, 0.90, 0.90, 0.88, 0.83 및 0.82kg으로 Illite 및 크롬은 이유직후 송아지의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쳤으나 가공되지 않은 황토급여는 성장발육에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육성기 120일간 1일 평균 농후사료 섭취량 및 체중대비 섭취비율은 각각 3.91${\sim}$4.15kg, 평균 4.03kg 및 3.1${\sim}$3.31%, 평균 3.21%였고, 1kg 증체에 소요된 TDN 량은 3.20${\sim}$3.57kg, 평균 3.35kg으로 T5, T3, T6, T4, T2 및 T1 순으로 우수하였다. 송아지의 혈청 내 IgG 농도는 처리구별로 10.2${\sim}$11.6mg/$m\ell$ 내에서 변화하여 정상 축에서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었지만, T3 및 T5는 개시시에 비해 각각 6.9 및 2.8% 증가하였으며, 질병발생은 처리구별로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로 볼 때, 점토광물인 Illite는 다른 항병력 증진물질과 마찬가지로 어린 송아지의 발육 및 사료이용성을 증진시키지만 가공되지 않은 황토의 급여는 발육 및 사료이용성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복령알코홀추출물의 항진균작용 (Effects of Chinae Rhizoma Extracts on the Growth of the Dermatophytes)

  • 이종화;송병숙;조선희;김정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9-45
    • /
    • 1973
  • The majority of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has limited values due to its low efficacy or development of resistance.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efficacious agent on the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nduced by dermatophytes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malicious one, authors examined whether Chinae Rhizoma Extracts have significant on it. Extracts from Smilax china Linne used for the study are water extract (CRWE), ethanol extract (CREE) and methanol extract (CRME). In in vitro studies, the spores of the dermatophytes were inoculated on Sabouraud's glucose agar media which contained three extracts of Chinae Rhizoma in each concentration of $500\;{\mu}g/ml$, $1,000\;{\mu}g/ml$ and $5,000\;{\mu}g/ml$ respectively, and also $1,000\;{\mu}g/ml$ of salicylic acid and undecylenic acid $1,000\;{\mu}g/ml$ as comparable drugs. The growth of the dermatophytes were observed for 3 weeks. The species of the dermatophyt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canis, Microsporum cookei, Microsporum gypseum, Microsporum nan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 Trichophyton tonsurans and Trichophyton verrucosum distributed from The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in Belgium.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 canis,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slightly inhibited in CRWE $1,000\;{\mu}g/ml$ and CRWE $5,000\;{\mu}g/ml$, and only slight inhibition on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and M. gypseum were observed in CRWE $5,000\;{\mu}g/ml$. 2. Complete inhibition of T. rubrum, moderate inhibition of M. nanum & T. tonsurans, and slight inhibition of E. floccosunl, M. canis, M. cookei & T. mentagrophytes in growth were observed in concentration of CREE $500\;{\mu}g/ml$. The growth of M. gypseum was slightly inhibited, moderate inhibition on the growth of M. canis, M. cookei & T. mentagrophytes,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nanum,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ed by CREE $1,000\;{\mu}g/ml$. With $5,000\;{\mu}g/ml$ of CREE,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completely inhibited except T. verrucosum being showed slight inhibition. 3. In CRME $500\;{\mu}g/ml$, slight inhibition of T. verrucosum, moderate inhibition of M. gypseum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d. The growth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were completely inhibited except T. verrucosum being showed moderate inhibition in both CRME $1,000\;{\mu}g/ml$ and CRME $5,000\;{\mu}g/ml$. 4. In $1,000\;{\mu}g/ml$ of undecylenic acid, slight inhibition of T. verrucosum and complete inhibition of E, floccosum, M. canis, M. cookei, M. gypseum, M. nanum, T. mentagrophytes, T. rubrum & T. tonsurans in growth were obser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hinas Rhizoma Alcoholic Extracts(CREE & CRME) exer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and their effects were probably derived from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riterpenoidal saponin and steroidal saponin.

  • PDF

Thallium-201 SPECT 뇌종양 영상 (Thallium-201 SPECT Imaging of Brain Tumors)

  • 김상은;최창운;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윤병우;노재규;정희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25
    • /
    • 1992
  • Thallium-201 $(^{201}T1)$ SPECT studies were performed on a normal volunteer and 12 patients with intracerebral lesions: 3 patients with gliomas, 3 patients with meningiomas, 1 patient each with metastatic tumor, brain abscess, and cerebral infarction, and 3 postirradiation patients. (2 with metastatic tumors, 1 with lymphoma). A $^{201}T1$ index, based on the ratio of $^{201}T1$ uptake in the brain lesion versus the homologous contralateral brai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umor histology and CT/MRI findings. The SPECT $^{201}T1$ scan showed minimal uptake of tracer in a normal brain. There was substantial uptake of $^{201}T1$ in high-grade gliomas (index>1.5) with little uptake in low-grade lesions. A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 with recurrent astrocytoma, in whom MRI study was unable to distinguish tumor recurrence from necrosis, showed the lesions with high $^{201}T1$ indices in both hemispheric regions (2.50/1.93), suggesting tumor recurrence. Two meningiomas and a metastatic tumor showed varying degrees of $^{201}T1$ uptake (index $1.71\sim8.15$), revealing that $^{201}T1$ uptake is not exclusive to high-grade gliomas. In 2 postirradiation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no abnormal $^{201}T1$ uptake was found in the cerebral lesions, shortly after the initiation of radiation therapy or despite the persistence of enhancing lesions-though improved-on MR images, suggesting that $^{201}T1$ uptake may reflect the metabolic and possibly clonogenic activities of tumors and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ight be valuable for the evaluation of tumor responsiveness to the therapy and for early detection of tumor recurrence. A patient with brain abscess on antibiotic treatment, showig increased uptake of $^{201}T1$ in the resolving lesions (index 2.87/1.52) is discussed. In a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there was no abnormal uptake of $^{201}T1$ in infarcted tissue. When using a threshold index of 1.5, correlation rate between $^{201}T1$ uptake and contrast enhancement of the cerebral lesions on CT/MRI was 73% (8/11). In conclusion,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ay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umor response to the therapy and to predict low-or high-grade lesions.

  • PDF

DEXA 측정기 간 골밀도 값 비교 (Comparison of the Values of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DEXAs)

  • 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71-276
    • /
    • 2011
  • 산부인과에서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5월 30일까지 5개월간 Lunar 장비와 Hologic 장비를 사용하여 골밀도 검사를 한 환자를 40, 50, 60대 각각 50, 100, 50명 각 200명, 400명에 대한 척추 L1-L4의 T-score값을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정상인 4명을 두 장비에 같은 날 골밀도 검사를 한 결과와 비교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장비로 검사한 평균 연령은 54.5세와 54.4세로 차이는 없었다. 이때 T-score는 Lunar 장비가 $-1.377{\pm}1.221$이며, Hologic 장비는 $-1.806{\pm}1.123$으로 Lunar 장비의 T-score가 높게 측정이 되었다. 두 장비 간 유의수준은 P=0.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HO의 기준에 맞추어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해 본 결과 Lunar 장비로 검사한 경우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가 35%로 많은 반면 Hologic 장비로 검사한 경우는 골다공증으로 판정된 경우가 28%로 많았다. 이에 정상인 4명을 동일 장비에 검사한 경우 L1-L4의 T-score 값을 비교해 본 결과 Lunar 장비에서 T-score는 $-0.4{\pm}1.192$, Hologic 장비는 $-1.1{\pm}1.030$으로 나타나 역시 Lunar 장비의 T-score 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두 측정기 간 T-score 값이 다르므로 보정인자를 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적포도주 숙성 양념돈육의 품질특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Seasoning Pork Meat Aged by Red Wine)

  • 박경숙;이경수;박현숙;최영준;강세주;양종범;현재석;정인철;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80
    • /
    • 2011
  • 본 연구는 적포도주의 첨가가 양념돈육의 품질특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양념돈육은 물을 25% 첨가한 것(대조구, T0), 물 20%와 적포도주 5%를 첨가한 것(T1), 물 15%와 적포도주 10%를 첨가한 것(T2), 그리고 물 10%와 적포도주 15%를 첨가한 것(T3) 등 네 종류의 양념돈육을 제조하고, 일반성분, 표면색깔, 기계적 조직감, pH, VBN함량, TBARS값, 지방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 및 b* 값은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a* 값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조직감, pH, VBN함량,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값은 적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T0가 가장 높았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적포도주를 10% 및 15% 첨가한 T2 및 T3가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이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Anthracofibrosis Mimicking Lung Cancer on CT: MR Imaging Findings)

  • 류대식;이덕희;정승문;최수정;박성빈;박만수;강길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1호
    • /
    • pp.18-23
    • /
    • 2001
  • 목적 : 전산화단층촬영(CT)상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내시경검사상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으로 입증된 50명의 환자에서 CT상 중 페암과 유사하게 보인 10명의 환자(남 : 여 = 2 : 8, 평균 연령 68세, 연령 분포: 58-7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CT(n=10)검사와 MRI(n=10)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피적 조직생검(n=1)은 1예에서 시행하였다. 조영증강 없이 축상 T1 강조영상(600/30/3, repetition time/echo time/excitation)과 T2 강조영상(3500/99/4)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의 신호강도를 2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합의에 의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CT 소견은 4명에서는 종괴로, 4명에서는 무기폐로, 2명에서는 기관지벽 비후였다. 전 예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특징인 종격동 림프절은 커져 있었다. 종괴는 T1 강조영상과 T2 강조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무기페는 T1 강조영상에서 중등도 신호 강도로,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림프절은 9명의 환자에서 T1 과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 강도로 보였다. 한명의 환자에서 T2 강조영상에서 림프절이 중심부는 고 신호강도로, 주변부는 저 신호강도로 보였다. 결론 : 폐암과 유사하게 보인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환자에서 종괴, 무기폐와 림프절은 T2 강조영상에서 주로 저 신호강도로 보여 폐암과의 감별에 자기공명영상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의 수온별 발생 속도 (Developmental Speed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ggs in Various Water Temperatures)

  • 김영수;도용현;김수연;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2호
    • /
    • pp.59-63
    • /
    • 2010
  • 넙치 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실내 사육수조에서 자연산란된 것으로서, 6개의 수온별 실험구(5, 10, 15, 20, 25 및 $30^{\circ}C$)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10, 15, 20 및 $25^{\circ}C$에서 부화 가능하였으며, 부화율은 각각 3, 12, 25 및 50%였다. 발생단계별 수온(T, $^{\circ}C$)과 소요 시간(1/t, hour)과의 상관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포배기: 1/t=0.0208T-0.0951 ($r^2$=0.8593) 쿠퍼씨포기: 1/t=0.0052T-0.0176 ($r^2$=0.9819) 근절기: 1/t=0.0034T-0.0172 ($r^2$=0.8508) 부화: 1/t=0.0016T-0.0068 ($r^2$=0.9915) 위 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넙치 난 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4.3^{\circ}C$였다.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hing Tim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urimi)

  • 진상근;김일석;박기훈;하지희;강석모;김인진;최영준;김진수;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5-270
    • /
    • 2005
  • 본 연구는 수세 횟수가 계육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닭 가슴살을 6배수의 증류수로 2(C), 4(T1) 및 6회(T2) 수세한 후 단백질을 회수하여 수리미를 준비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C보다 T1 및 T2가 높았다. 근원섬유 단백질과 수율은 C가 T1 및 T2보다 높았다(p<0.05). pH는 C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보수력은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전단력은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파괴 강도와 변형값은 T2가 낮았다. 명도($L^{\ast}$)는 C가, 황색도($b^{*}$)는 T1이 처리구 간에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T2에 비해 높았으며(p<0.05), 수세 횟수가 증가할수록 탄력성은 높은 경향이었다. 수세 횟수는 관능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이상에서 수세 횟수를 달리하여 제조한 수리미 간에 일반성분, 염용성 단백질, 수율,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서 차이를 보였고, 수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리미의 색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뇌졸중 환자의 기능변화 및 관련요인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troke)

  • 이승주;정성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6-54
    • /
    • 2007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ifference in patients with stroke. The sample consisted of 56 stroke patients who had received physical therapy at the physical therapy unit of the Dongeui Medical Center in Busan city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2.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by physical therapists 3 times; The first day in physical therapy (PT) (T1), one month after the first day in PT (T2), and two months after the first day in PT (T3). Functional status was assessed with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nstrument, a validated instrument for documenting the severity of disability and assessing the outcom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Functional gain was calculated over T2-T1, T3-T1, and T3-T2. SAS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ent's t-test, pair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Tukey and Scheffe),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used to examine the functional difference in variable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functional difference by time (T1, T2, and T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as defined by the FIM score. A total of 56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their average age${\pm}$standard deviation was $61.6{\pm}9.3$ years (range: 40~81 yr). The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ho received physical therapy for about 2~3 months was significantly improved (mean FIM scores, $20.5{\pm}1.8$, $28.9{\pm}1.9$, and $8.41{\pm}1.1$ points for each time period, respectively) (p<.0001). Diabet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2-T1 (p<.05). The type of diagno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3-T1 (p<.05). Gender, smoking, and the FIM score on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M score for T3-T2 (p<.05). In conclusion, gender, smoking, diabetes, the type of diagnosis, and the FIM score on admi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FIM scores. We recommen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the functional outcome by using larger sample sizes, longer follow-up periods, and more sensitive assessment instruments.

  • PDF

반추위액 채취 시간이 사료작물의 In vitro 건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on Times of Rumen Fluid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 조남철;정민웅;김맹중;임영철;육완방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1-98
    • /
    • 2009
  • 본 실험은 국립축산과학원에 초지사료연구센터에서 조사료의 IVDMD 분석을 위해 사용 중인 Holstein을 이용하여, 혼합건초를 자유 채식케 하는 Holstein에서 반추위액의 채취 시간이 사료작물의 IVDMD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료작물은 청보리 (Yong-yang, Yu-yeong), 크림손 클로버 (Tibbee), 이탈리안 라이그라스(Kospeed, Kogreen, Hwasan 101), 호밀(Wintergreen) 등 4작물 7품종을 공시재료로 이용하였으며, 반추위액의 채취 시간은 T1: 농후사료 급여 전, T2: 사료급여 직후(급여 1시간 후), T3: 사료급여 후 4시간, T4: 사료급여 후 8시간으로 하였다. 모든 사료작물에서 T1 처리구의 위액을 이용한 IVDMD가 T2, T3, T4 처리구에서 채취한 위액을 이용한 IVDMD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IRG의 Kospeed의 경우 T1 처리구에서 T2 처리구보다, Kogreen의 경우 T1 처리구에서 T2 및 T3 처리구보다 IVDMD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나머지 모든 사료작물에서 처리구간에 IVDMD의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건초의 자유채식이 사료급여 횟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사료를 충분히 급여하는 효과를 가져와 침 분비량이 증가하여, 배합사료 급여 후에도 제 1 위 내 pH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여 사료작물의 안정적인 소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