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lvest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고유구조를 이용한 다중출력 시스템의 강인한 관측기 설계 (Robust Observer Design for Multi-Output Systems using Eigenstructure)

  • 허건수;남준철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4
    • /
    • 2003
  • It was shown that the robustness of deterministic observers with respect to modeling errors, measurement bias and round-off errors can be represented by a single performance index the condition number of the observer eigenvector matrix. In this paper, a robust observer for multi-output systems is designed using the left eigenstructure assignment, where the observer gain can not be determined uniquely with respect to the desired observer poles. Utilizing the eigenstructuer assignment for the robustness of the observer, the desired eigenvector matrix is selected to achieve the observer eigenvector matrix with the small condition number.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robust observer is evaluated in a spindle-drive simulation example where the load speed to be estimated based on the measured signals.

  • PDF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의 달마틱 연구- (-A Study on Dalmatic of Early Christian Epoch-)

  • 구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24
    • /
    • 1979
  • 1. In the late second century A.D. the dalmatic, which originated in Orient, came into fashion in the Roman world. 2. It was first introduced as a vestment in public worship by Pope Sylvester I (314-335A.D.) who ordered it to be worn by the deacons. 3. The dalmatic was cut like a tunic, but wider, and with wide short sleeves. It was worn without belt, and was characteristically decorated by the clavus. Its shape, which is the form of a cross, refer to the passion of Christ. It symbolizes joy, salvation and justice. 4. In early christian epoch, colors was found in the Bible. 5. Clavus running from the shoulders to the hem in front and back represented as 'The servant of God', and symbolized the Blood of Christ. With time, clavi change from simple stripes to decorative ones.

  • PDF

파라미터 교정법을 이용한 대국적인 수럼성을 갖는 간접적응제어기 (A Globally Convergent Pole Placement Indirect Adaptive Controller using Parameter Correction)

  • 김홍필;양해원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8권11호
    • /
    • pp.913-921
    • /
    • 1989
  • 본논문에서는 임의의 영점들을 갖는 이산시간 선형시불변계통의 극배치 간접적응제어기 설계문제를 다루었다.외부입력은 persistent excitation 조건을 만족하고, 주어진 계통의 분자다항식과 분모 다항식에 의해 정해지는 Sylevester resultant 행렬식의 하한을 안다는 가정하에, 전체 폐루우계통이 대국적으로 안정함을 보였다. 간접적응제어시 발생되는 추정된 계통의 가제어성 문제는 파라미터 교정방법을 확장시켜 해결하였다. 2차 플랜트에 대한 전산기 simulation을 통하여 본논문의 제어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 조수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97-121
    • /
    • 2018
  •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 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연립방정식 풀이의 역사발생적 고찰-종결식을 중심으로 (Historical analysis of System of Equations-Focused on Resultant)

  • 최은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49-161
    • /
    • 2013
  • 본 논문에서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법 연구로부터 시작하여 연립고차방정식의 해법 연구로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연립일차방정식을 푸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우스 소거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연립고차방정식에는 오일러의 소거이론과 베조의 종결식이 있다. 이러한 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알아보고 특별히 종결식을 처음으로 정의한 베조의 연구방법을 조명해 본다.

A Wire-overhead-free Reset Propagation Scheme for Millimeter-scale Sensor Systems

  • Lee, Inhee;Bang, Suyoung;Kim, Yejoong;Kim, Gyouho;Sylvester, Dennis;Blaauw, David;Lee, Yoonmyung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524-533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reset scheme for mm-scale sensing systems with stringent volume and area constraints. In such systems, multi-layer structure is required to maximize the silicon area per volume and minimize the system size. The multi-layer structure requires wirebonding connections for power delivery and communication among layers, but the area overhead for wirebonding pads can be significant. The proposed reset scheme exploits already existing power wires and thus does not require additional wires for system-wide reset operation. To implement the proposed reset scheme, a power management unit is designed to impose reset condition, and a reset detector is designed to interpret the reset condition indicated by the power wires. The reset detector uses a coupling capacitor for the initial power-up and a feedback path to hold the developed supply voltage. The prototype reset detector is fabricated in a $180-{\mu}m$ CMOS process,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the prototype mm-scale system confirmed robust reset operation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and voltages.

초기 선형대수학의 역사 (Early History of Linear Algebra)

  • 이상구;이재화;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51-362
    • /
    • 2012
  • 행렬 및 벡터공간을 다루는 선형대수학은 사회의 복잡한 현상을 선형화 과정을 거쳐 선형연립방정식이라는 단순한 형태의 수학 문제로 바꾼 후 실제로 해결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20세기 중반까지 추상적인 고등수학 과목으로만 여겨지던 선형대수학이 현재는 자연-공학-사회계열 분야 학생의 대부분이 배우는 기본 교과목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선형대수학의 발전에 기여한 중국, 일본, 그리고 서양의 수학자들에 대하여 다룬다. 선형대수학은 <산수서>, <구장산술>, 세키 고와, 뫼비우스, 그라스만 실베스터, 케일리 등을 거치면서 비선형적으로 발전해왔다. 우리는 새로 발굴한 내용을 중심으로 초기 선형대수학의 발전과정을 소개한다.

Appraising th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during Implementation in Kenya, 1963-2018: A Literature Review Perspective

  • Ong'ondo, Cyrus Babu;Gwaya, Abednego Oswald;Masu, Sylvester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9권2호
    • /
    • pp.1-24
    • /
    • 2019
  • Poor project performance has been noted as the ban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lobally. This paper sought to investigate, by way of literature, the performance patterns of construction projects in Kenya since independence (1963-2018). This was informed by reports of undesirable project performance in the industry.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vailable studies previously done in this subject area. In sum, literature is replete with evidence on a myriad of challenges facing the execution of projects. The study established that generally, the project performance is poor and has assumed a chronic trajectory spanning over five decades. On average, the findings reveal that 35-60% of projects initiated in Kenya face cost overruns while time overrun is most severe with 35-73% projects overrunning their schedule. In addition, the findings problematize the issue of plural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regim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ere, it was observed that no singular construct exists to objectively measure the various facets that constitute the 'health' of a project.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body of knowledge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patterns in Kenya for over fifty years while at the same time identifying the bottlenecks inherent in projects execution. Importantly, the conceptual performance efficiency framework derived in the current study presents a paradigm shift i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ojects. To this end, an in-depth analysis is recommended on the interaction of efficiency enablers in the buildup of performance efficiency index (PEI). Similarly, a further inquiry is recommended on the integration and impact of the proposed framework in the management of projects.

미국과 한국의 초기 고등수학 발전과정 비교연구 (Comparison of early tertiary mathematics in USA and Korea)

  • 이상구;설한국;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977-998
    • /
    • 2009
  • 초등(elementary), 중등(secondary)교육에 이어지는 대학 및 직업 교육을 총칭하여 고등(tertiary) 교육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고등(tertiary)수학과 한국에서의 고등수학 초기 발전과정을 비교 연구한다. 미국 대학에서의 수학 강좌개설의 역사를 살펴보면 하버드대 학장인 던스터가 1640년 산술과 기하를 예비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지도한 기록이 남아있다[10]. 이 기록에 의하면 미국 대학과정의 수학은 1636년 설립된 하버드 대학에서 1640년부터 실질적인 강의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수학자로는 1870년 'Linear Associative Algebra'를 발간한 하버드의 벤자민 퍼스가 비로소 수학에 대한 학술적인 기여를 통하여 처음으로 유럽학계의 주목을 받는다. 미국의 경우 세 번째 연구중심대학으로 시작한 시카고대학의 성장과 함께 학술적으로 유럽 수학계의 인정을 받고 미국 수학연구의 존재를 학계에 알린 미국인 수학자로 G.D. 버코프를 꼽는다. 1912년 하버드대 수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하버드대 수학과의 역할을 교육에서 연구로 바꾸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즉, 미국 수학이 교육에서 연구 단계로 진화하는 과정에 무려 200년 이상이 걸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하버드에서 대학 과정이 설립될 즈음 조선에서의 고등수학의 상황은 어떠하였을까? 한반도에서는 조선산학과 구한말의 대학부 및 연희 전문학교 수물과를 거쳐 1945년 8월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비로소 일제식민통치하에서 벗어난 1945년 4년제 대학에 수학과가 처음 설립된다. 일제 강점기에는 중학교와 전문학교 이과에서 일부 직업교육 또는 대학수학이 다루어졌다. 한국의 경우 경성대의 이임학이 1947년 막스 존의 미해결 문제를 풀며 한국 근대수학자의 존재를 서양에 알리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초기 고등수학 발전과정을 수학자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여 발전 단계를 진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