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3.15
  • Accepted : 2018.05.29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The numbers of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re steadily increasing, but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f their second language literacy development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Nor do the very few studies explor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cy and English literacy within a cultural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ir views on Korean writing with those on English writing to see trace the multiliteracy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I conducted in-depth oral interviews with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of various ages. They were asked to state everything they could remember about what they have learned to write and rea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in their second language across their lifetime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materials they used, people involved in their learning, and their motivations for writing.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view of writing specific to the Korean context and after they moved to the United States, they struggled to readjust the values and meanings they had had for Korean literacy to the second language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ture multiliteracy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multiliteracy development in terms of the meanings and values language learners associate with their multiliteracy and help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to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multiliteracy development as a life-long experience.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 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