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llable patter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I-Umlaut in Old English: A Weak Trigger Effect

  • Moon, An-Nah
    • 영어영문학
    • /
    • 제57권6호
    • /
    • pp.1043-1065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i-umlaut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of pre Old English (OE) in two aspects: what motivates i-umlaut in OE and how the phenomenon can b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OT. Unlike root-controlled vowel harmony, i-umlaut in OE is triggered by the suffixal i or j in the unstressed syllable whereby a stressed root vowel becomes fronted or raised.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i-umlaut in OE is driven by the weak trigger i or j to improve its poor perception: I-umlaut improves the poor perceptibility of the weak trigger by extending its feature-either [-back] or [-low]-onto the vowel in the stressed syllable. This study provides an OT-theoretic analysis utilizing the licensing account to vowel harmony proposed by Walker (2004, 2005). The licensing constraints, IDENT-IO(F) and the locally conjoined constraints are proposed and their interaction correctly captures the pattern of i-umlaut in OE. Also, it is shown that the licensing account proposed in this paper is superior to the previous analyses as well as the nonlicensing approaches in that it can provide a perceptual motivation couched in i-umlaut in OE.

노랑턱멧새(Emberiza elegans)의 테마송과 변이 (Song Themes and Variation of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 이원호;권기정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19-225
    • /
    • 2006
  • 노랑턱멧새의 테마송과 변이를 연구하기 위해서, 6개 도에 산재한 16개 활엽수림지대에서 번식하는 45개체의 노랑턱멧새 수컷에서 3,245개의 노랫소리를 녹음하였다. 노랫소리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며 대용문자가 부여된 640개 음절의 조합을 분석하여 164 테마송, 1,024 변이로 분류하였다. 수컷 개체는 각각 $1{\sim}6$ 테마송을 가졌고, 평균 3.5개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었다. 수컷 개체 사이에서 노랫소리를 구성하는 음절의 순서와 배열이 완전히 동일한 테마송은 하나도 없었다. 수컷 개체의 노랫소리를 구성하고 있는 음절의 수는 $5{\sim}14$개(평균 9.4개)였다. 수컷은 하나의 테마송에 변이를 만들기 위해서 음절을 첨가, 삭제, 대체하여 레퍼토리 크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하나의 테마송이 갖는 변이의 수는 평균 5.1($1{\sim}31$)개였고, 개체 변이성은 노랫소리의 말단부의 구성 요소에서 가장 높았다. PCA 분석에서 공유하는 음절에 기초를 둔 요인 I과 고유한 음절에 기초를 둔 요인 II에 의해서 노랑턱멧새 16 개체군은 서로 다른 군집을 형성하였다. 공유한 음절의 수에 기초를 둔 유사성 측정은 지역과 일치하는 강한 형태를 나타냈다. 양방향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16 개체군은 UPGMA 군집 속으로 나누어졌으며, 지리적인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유사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메모리 제약적 기기를 위한 음절 패턴 기반 띄어쓰기 시스템 (A Word Spacing System based on Syllable Patterns for Memory-constrained Devices)

  • 김신일;양선;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8호
    • /
    • pp.653-65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제약적인 기기에 적합한 한국어 띄어쓰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선행 연구들에 비해 성능의 저하가 없게 하면서 동시에 메모리 사용량을 탁월하게 줄이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규칙 정보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의 이론에 근거하여 확률 정보를 적용하였으며, 두 가지의 자질을 사용하는데, 1) 첫 번째 자질은 각 음절이 개별적으로 가지는 띄어쓰기 패턴 자질이며, 2) 두 번째 자질은 두 음절 패턴 자질 사이의 전이 확률 값 정보이다. 실험 결과에서, 첫 번째 자질만 사용한 경우 모바일에 적용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연구보다 약 53% 정도 적게 메모리를 사용하면서 약 91% 정도의 정밀도를 보였다. 두 가지 자질을 모두 사용한 경우 음절바이그램을 사용한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약 76% 정도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면서 약 94%가 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의미 분석과 형태소 분석을 이용한 핵심어 인식 시스템 (Key-word Recognition System using Signification Analysis and Morphological Analysis)

  • 안찬식;오상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586-1593
    • /
    • 2010
  • 확률적 패턴 매칭과 동적 패턴 매칭의 어휘 인식 오류 보정 방법에서는 핵심어를 기반으로 문장을 의미론적으로 분석하므로 형태론적 변형에 따른 핵심어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절 복원 알고리즘에서 형태소 분석을 이용하여 인식된 음소 열을 의미 분석 과정을 통해 음소의 의미를 파악하고 형태론적 분석으로 문장을 복원하여 어휘 오인식률을 감소하였다. 시스템 분석을 위해 음소 유사률과 신뢰도를 이용하여 오류 보정률을 구하였으며, 어휘 인식 과정에서 오류로 판명된 어휘에 대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였다. 에러 패턴 학습을 이용한 방법과 오류 패턴 매칭 기반 방법, 어휘 의미 패턴 기반 방법의 성능 평가 결과 2.0%의 인식 향상률을 보였다.

한국어의 리듬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Rhythm in Standard Korean)

  • 이현복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25_26호
    • /
    • pp.52-64
    • /
    • 1993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hythmic phenomena of standard Korean by a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A total of 16 informants taking part in this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old males(OM) and old females(OF) in their fifties and young males(YM) and young females(YF) in their twenties. The informants were asked to read speech data consisting of two rhythmic units, each of which began with a stressed syllable with a long wowel. Starting with the frame / 'ma:1 'ma:nta /, the first rhythmic unit was expanded up to five syllables in all while keeping the second rhythmic unit constant with a view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ncrease in the interstress time inter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yen and old generations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interstress interval . The young generation tends to speak faster than the old generation. This observation is supported by difference in the interstress intervals as exhibited by OM(389.66), OF(473), YM(275.55), YF(285.83) in the test frame '말 많다' ['ma:1 'ma:nta]. 2. Young and old generation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in the increase rate of duration between mono-syllables and polysyllables. In other words, the rhythm of young generation shows the tendency of syllable-timed language whereas that of old generation clearly leans towards the stressed-timed language.

  • PDF

SPEECH SYNTHESIS IN THE TIME DOMAIN BY PITCH CONTROL USING LAGRANGE INTERPOLATION(TD-PCULI)

  • Kang, Chan-Hee;Shin, Yong-Jo;Kim, Yun-Seok-;Kang, Dae-Soo;Lee, Jong-Heon-;Kwon, Ki-Hyung;An, Jeong-Keun;Sea, Sung-Tae;Chin, Yong-Ohk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FIFTH WESTERN PACIFIC REGIONAL ACOUSTICS CONFERENCE SEOUL KOREA
    • /
    • pp.984-990
    • /
    • 1994
  • In this paper a new speech synthesis method in the time domain using mono-syllables is proposed. It is to overcome the degradation of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by the synthesis method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o develop an algorithm in the time domain for the prosodic control. In particular when we use a method in a time domain with mono-syllable as a synthesis unit it will be the main issues which are to control th pitch period and to smooth the energy pattern. As a solution to the pitch control, a method using Lagrange interpolation is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 other problem, an algorithm which can control the amplitude envelop shape of mono-syllable is proposed.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it was possible to synthesize unlimited Korean speeches including the prosody control. Accoding to the MOS evaluation the quality and the naturality in them was improved to be a good level.

  • PDF

간소화된 DTW방식을 이용한 한국어 숫자음 인식기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Korean Digits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Simplified DTW Method)

  • 안병수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1권 1호
    • /
    • pp.66-70
    • /
    • 1992
  • This paper describes the simplified DTW algorithm for real time korean digit recognition and construct the digit recognition system using that algorithm. The DTW algorithm which is used nowadays have problems on real time recognition because of its massive computation. But, simplified DTW algorithm,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solved these problems. In the case of single syllable, we use the characteristic of uniform distribution of epansion and contraction on time ais, compare distance of input pattern and reference pattern using constrainedly restricted path. As a result, we can reduce a great deal of computation and achieved that the real time korean digit recognition system.

  • PDF

An Acoustic Study of the Stress and Intonational System in Lakhota: A Preliminary Report

  • Cho, Tae-Hong
    •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23-42
    • /
    • 2006
  • This paper reports a preliminary result of an acoustic study on the stress and intonational system in Lakhota, a native American language. It investigates how the stress and intonation in Lakhota are phonetically manifested; and how the stress interacts with other prosodic factors. The results preliminarily obtained from one native Lakhota speaker suggest that the primary cue of the stress is relatively high F0 which is often accompanied by higher intensity (for the vowel) and longer VOT (for aspirated stop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stress is not reliably marked by duration. The stress system, however, interacts with the intonational pattern, such that, for example, intonational peak falls on the stressed syllable with a general pattern of L+H* and that it interacts with the boundary tone L%, resulting in mid tone utterance-finally. This paper can be viewed largely as a qualitative study on an understudied native American language, Lakhota and as forming a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its stress and intonation system whose acoustic properties of its prosodic system have not been investigated before.

  • PDF

연산자 LIKE의 새로운 한글 탐색 패턴 (A New Korean Search Pattern of the Operator LIKE)

  • 박성철;노은향;박영철;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3호
    • /
    • pp.244-260
    • /
    • 2007
  • 데이타베이스 언어인 SQL의 연산자 LIKE는 문자열을 탐색하기 위한 연산자로서 문자열 양식을 설정함으로써 그에 부합하는 칼럼값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표음문자인 한글의 각 음절은 초성과 중성으로 구성되거나 초성, 중성, 그리고 종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연산자 LIKE의 한글 음절의 탐색 양식으로서 한글 음절로 표현되는 기존 양식에 추가하여 한글의 초성과 중성에 기반한 새로운 양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은 특정 초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 특정 중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 또는 특정 초성과 중성을 가지는 한글 음절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을 SQL의 기존 연산자들로 표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많은 불편을 수반하며 DBMS의 문자 집합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의 호환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제안하는 한글 탐색 양식을 고려한 연산자 LIKE의 수행 알고리즘을 한글과 한자에 대한 정보 교환용 부호계의 국가 표준인 KS X 1001로 표현된 문자들을 기반으로 제시한다.

감정단어 발화 시 억양 패턴을 반영한 멜로디 특성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tonation Pattern of the Korean Emotion Words)

  • 이수연;오재혁;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2호
    • /
    • pp.67-83
    • /
    • 2016
  • 본 연구는 감정단어의 억양 패턴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여 멜로디의 음높이 패턴으로 전환한 뒤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19-23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기쁨, 화남, 슬픔을 표현하는 4음절 감정단어의 음성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80개의 어휘를 수집하고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절 당 평균 주파수(f0)를 측정한 후 평균 음정과 음높이 패턴의 멜로디 요소로 전환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감정단어의 음높이 패턴은 '즐거워서' A3-A3-G3-G3, '즐거워요' G4-G4-F4-F4, '행복해서' C4-D4-B3-A3, '행복해요' D4-D4-A3-G3, '억울해서' G3-A3-G3-G3, '억울해요' G3-G3-G3-A3, F3-G3-E3-D3, '불안해서' A3-A3-G3-A3, '불안해요' A3-G3-F3-F3, '침울해서' C4-C4-A3-G3, '침울해요' A3-A3-F3-F3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 진행에서는 기쁨이 넓은 간격의 도약 진행, 화남이 좁은 간격의 도약 진행, 슬픔이 넓은 간격의 순차 진행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속성과 본질, 한국어의 음성 특성을 고려하여 감정단어의 억양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멜로디 요소에 반영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체계적이고 객관화된 방법으로 말과 멜로디의 전환 가능성 및 적합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멜로디 창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