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allowing disorder interven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Intervention of Swallowing Disorder in Dementia Patient: A Systematic Review)

  • 박치수;함민주;홍덕기;유두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21-3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중재접근법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요 검색 데이터베이스로 CINAHL, Cochrane CENTRAL, PsycINFO, PubMed, Science Direct를 사용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검색어는'Dementia', 'Alzheimer disease', 'Deglutition disorder', 'Swallowing disorder', 'Dysphagia'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5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포함되었다. 중재 유형은 교정적 중재가 1편, 보상적 중재가 3편, 포괄적 중재가 1편이었다. 중등도-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행동 및 심리관리를 포함한 보상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는 경관식이에 대한 교정적, 보상적 중재 및 다학제적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 중재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중재 방법은 삼킴능력과 관련된 결과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에 따라 중재의 목적과 중재 요소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삼킴장애 중재는 치매환자의 진행단계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중재를 시행했을 때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환자의 삼킴장애를 위한 효과적 중재 설계에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haker운동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환자의 설골상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feedback Training with Shaker Exercise o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Stroke with Swallowing Disorder)

  • 신윤아;권혁철;김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11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biofeedback training with Shaker exercise effects the activation of the cervical myocardial muscle in stroke with swallowing disorder. METHODS: From June 2018 to September 2018, 30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C hospital and K hospital in Daegu, and K hospital in Gumi were surveyed to meet the criteria for selection.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Shaker exercise was applied three tim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visuoauditory biofeedback group (VABG), visual biofeedback group (VBG), and self-exercises group (SG). In additio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was performed three times (before intervention, after intervention, and after two weeks). RESULTS: The pre and post-test comparison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p<.01); VABG had the highest suprahyoid muscle activity.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produced similar results in, the three groups (p>.05). The mean comparison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in VABG, indicating that muscle persistence was the best. CONCLUSION: Shaker exercise has an effect on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Biofeedback training, which provides an input of multi-sensory information in swallowing disorder treatment is recommended because it has the greatest effect when combined with visuoauditory biofeedback.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환자의 설골상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feedback Training o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Stroke with Swallowing Disorder)

  • 신윤아;권혁철;이선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7-36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figures out how the biofeedback exercise combined with a Shaker exercise and a jaw-opening exercise affects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of stroke with a swallowing disorder. Methods :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2018 to September, 2018, to 45 patients who were suitable for selection criteria.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visuoauditory biofeedback group (VABG), and a visual biofeedback group (VBG), and a self-exercise group (SG). The three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Shaker exercise and the jaw-opening exercise, and the biofeedback training by themselves. Three groups performed an intervention three times a day, five times a week, and four weeks long. Also, suprahyoid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ith a pre-test, a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Results : To know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intervention (p< .01). All three groups showed the improvement with the mean comparing followed by VABG, VBG and SG. Comparing between the post- test and the follow-up test, all three groups showed the reduction of suprahyoid muscle activity with the mean comparing, followed VABG, VBG and SG. Conclusion : It found that it was more effective when providing a double-sensory biofeedback than when training with a single-sensory biofeedbac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ulti-sensory input when applying the biofeedback in rehabilitation of the swallowing disorder.

섭식훈련이 연하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ting Training on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Stroke to Their Swallowing Functions)

  • 안태규;이동훈;김보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1-8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of effects Eating training on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stroke to their swallowing functions. Method : 29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is consist of 14 patients under eating training group and Group 2 is consist of 15 patients each group has five times per week. 30 minuted per time covering 12-week period. Selected patients can swallow them selves without aspiration and basically eating trainings involve Thermal Tactile Stimulation(TTS), Shaker exercise, tongue movements, laryngeal mobilization exercise. MASA(The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and VFSS(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s of training. And We use FDS(Functional Dysphagia Scale) for VFSS to more objective score. Result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crease in Eating performance skill actual eating training group than the practiceless group. Therefore, the actual eating training is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and It will be useful in clinical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crease in Eating performance skill actual eating training group than the practice less group. Therefore, the actual eating training is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and It will be useful in clinical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Determining the Onset Age for Early Intervention of Oral Frailty

  • Hye-Lim Hong;Nam-Hee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24
  • Background: Oral frailty is defined as the functional decline of the oral function due to aging, and it is associated with frailty and chronic disease. Most of the frailty intervention is fo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However, early intervention for preventive disorder is most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ge at which oral frailty surpass the "normal" rang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719 adults (aged 30~89 years) residing in Gangwon province in May 2023. Risk of oral frailty was assessed using criteria from The Korean Academy of Geriatric Dentistry including oral function such as swallowing and mastication, and frailty. Frailty was assessed using the Kihon Checklist. To determine when oral frailty surpass the "normal" statu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chi-squared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 (ver. 4.3.1). Results: There were 388 (54.0%) individuals who had a "normal" status risk of oral frailty. The risk of oral frailty was higher in the 50~54 age group compared to the 30~34 age group (odds ratio [OR] 0.50, 95% confidence interval [CI] 0.28~0.91), after adjusting for gender, education, income, occupation, and frailty (OR 0.46, 95% CI 0.22~0.94). This means that from 50~54 years old, regardless of gender, education, income, occupation, or frailty condition, there is a distinction from the "normal" status. Conclusion: We found that intervention for oral frailty is needed starting from age 50 years. This is the stage where early indications of oral frailty become apparent. Early intervention for oral frailty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prevalence of diseases and medical expenditure.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in middle-aged adults of oral frailt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연하재활치료 : 체계적 고찰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 A Systemic Review)

  • 전주영;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53
    • /
    • 2021
  • 목적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에 따른 연하장애를 증상별로 세분화하고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을 통해 검색하였다. PRISMA, PICOS를 이용하여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한 문헌은 총 13개로 연구의 질적수준, 질환군, 평가도구, 중재방법, 중재 후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6편(46.15%),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7편(53.85%)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 중재를 받은 아동의 연령대는 ASD는 2-8세, CP는 12개월-18세까지로 확인하였다. 평가영역에서 ASD는 행동평가, CP는 구강과 삼킴기능 평가영역이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에서 ASD는 행동수정이 가장 많았고, CP는 구강감각운동, 음식질감조절, 전기자극치료가 각각 동일한 빈도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후 치료효과에서는 모두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 적용되는 평가도구, 중재방법을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질환에 따른 평가와 중재 선택 시 임상가들이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인 섭식장애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ysphagia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acute stroke)

  • 장희경;윤숙경;길초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17-428
    • /
    • 2019
  • 본 연구는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상급종합병원에 급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환자 131명(연령 범위 34-92세, 58.0%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유병률은 24.4%였으며, 대상자의 나이, 뇌졸중 중증도, 구강상태, 일상활동 의존도가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뇌졸중 발병 직후부터 연하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사정과 예방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ysphagia)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21-431
    • /
    • 2016
  •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연하장애 환자의 우울, 사회적 고립감, 생의 의미와 삶의 질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과 재활병원 등 8개 기관에서 뇌졸중,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하여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 총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CES-D, RULS, PIL, SWAL-QOL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이 있는 군은 대상자의 20.7%였고, 보통 이상의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군 92.0%,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군이 64.4% 였다. 즉,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하고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었으며, 삶의 질의 평균 점수는 158.89(35.97)점이었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경관급식의 경우가 정상식이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beta}=-0.57$, p<.001), 생의 의미가 낮아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경우(${\beta}=0.19$ p=.014)가 삶의 질이 낮았다. 30-49세의 연령은 80세 이상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beta}=0.26$, p=.001), 대학교 수준 이상의 교육수준이 무학에 비해 삶의 질이 높았다(${\beta}=0.17$, p=.032). 이 중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경관급식이었고 (${\beta}=-0.57$, p<.001), 이러한 4개의 변수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50.7%(F=28.84 p=.03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의 의미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경관급식 환자의 삶의 질이나 정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의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에 따른 음성 변화 (Voice Change Associated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a Stroke After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 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65-1671
    • /
    • 2012
  • 이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NMES)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의 변화를 음향음성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NMES 중재가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0년 2월 부터 2011년 3월까지 인천광역시의 2개 병원에서 삼킴장애로 진단을 받은 발성이 가능한 1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를 실시하였다. 음성은 강도, 음도($F_0$), 음질(Jitter, Shimmer, NNE; Normalized Noise Energy)을 측정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1주 후에 변화된 음성이 유지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NMES 중재 후 대상자의 삼킴 기능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가 향상되었고, 성대 진동의 주기성(Jitter, Shimmer)이 안정되었다(P<0.05). 그러나 음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NNE는 중재 후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는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삼킴 능력의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의 향상 및 성대 진동 주기성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Prevalence of malocclusions and parafunctional habi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 Federica Guglielmi;Anna Alessandri-Bonetti;Geraldine Gemelli;Linda Sangalli;Patrizia Gallenz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29-238
    • /
    • 2024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dental malocclusion, orthodontic parameters, and parafunctional hab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Methods: Forty pediatric patients (67.5% boys and 32.5% girls, mean age: 11.02 ± 2.53 years, range: 6-15 years) with DD were compared with 40 age- and sex-matched healthy participants for prevalence of dental malocclusion, orthodontic parameters, and parafunctional habits. Dent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an orthodontist. Results: Pediatric patients with DD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Angle Class III malocclusion (22.5% vs. 5.0%, P = 0.024), deep bite (27.5% vs. 7.5%, P = 0.019), midline deviation (55.0% vs. 7.5%, P < 0.0001), midline diastemas (32.5% vs. 7.5%, P = 0.010), wear facets (92.5% vs. 15.0%, P < 0.0001), self-reported nocturnal teeth grinding (82.5% vs. 7.5%, P < 0.0001), nail biting (35.0% vs. 0.0%, P < 0.0001), and atypical swallowing (85.0% vs. 17.5%, P < 0.0001) compared to that in healthy controls. Conclusions: Pediatric patients with DD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Class III malocclusion, greater orthodontic vertical and transverse discrepancies, and incidence of parafunctional activities. Clinicians and dentists should be aware of the vulnerability of children with dyslexia for exhibiting malocclusion and encourage early assessment and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