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able Social Capital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Banking Sector Depth and Economic Growth: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

  • LE, Thi Thuy Hang;LE, Trung Dao;TRAN, Thi Dien;DUONG, Quynh Nga;DAO, Le Kieu Oanh;DO, Thi Thanh Nh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751-761
    • /
    • 2021
  • The Vietnamese economy is a developing country that has brought man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e banking system. Commercial banks have developed strongly from quality to quantity, which plays a vital role in developing the economy.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capital form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 country. They provide financial services to the general public and businesses, ensuring economic and social stability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econom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 depth and economic growth is of importance in research. This paper used a 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estimator for time series data models. The data is collected quarterly from the first quarter of the year 2000 to 2020. The study uses the VAR model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economic growth, growth in money supply expansion, private sector capital requirement, and banks' domestic credit. The results indicate a general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banking sector depth and economic growth with a positive connection, but in the long te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can be reversed because of other macro factors. The findings show the two-wa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DP growth and banking depth facto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policy-making by underlining the banking sector depth determinants when setting regulations and policies to develop the banking sector.

도로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bon Emissions Estimation Methodology During the Life Cycle of Road)

  • 곽인호;박광호;황용우;박지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82-390
    • /
    • 2012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가 주요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슬로건 아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산업계로의 할당 등을 설정해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고 있다. 막대한 사회간접자본이 투입되는 사회기반시설의 건설에 대한 대응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기반시설 중 건설 시 대규모 자원이 투입되고 운영 및 유지관리 시 막대한 에너지 및 자원이 소비되는 도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로의 전과정에 따른 탄소배출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제시한 산정방법에 따라 현재 건설중인 도로의 사례분석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원단위를 이용해 우리나라 전체 고속국도의 누적탄소배출량 및 2020년까지 누적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에 있어서 거버넌스 기반의 중요성: 중앙아시아 사례 분석 (Importance of Governance Infrastructure on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A Case of Central Asia)

  • ;이상현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69-276
    • /
    • 2018
  • 1. 중앙 아시아는 5 개의 국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국가들은 1991년에 소련 연방에서 독립하였다. 독립 이전에는 5개 국가 모두 공산주의 통치 하에 동일한 소비에트 계획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2. 1991년 이래로 중앙 아시아 국가들은 정치적, 사회적, 자연적, 지리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개발 경로를 경험하였다. 3. 더 나은 통치 환경은 현대 기술 혁신을 장려하고 토지에 대한 신기술의 적용 및 토지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거래 비용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생산 증대로 이어질 투자를 촉진한다. 4. 따라서 통치 환경의 개선은 농업 생산 증대에도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통치 환경과 농업 생산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5. 본 연구의 결과는 농업 생산의 증대를 위하여 통치 환경의 개선이 중요함을 입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부패 통제 및 법의 지배의 개선이 농업 생산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학교시설 복합화 제도 검토 및 정책 현황 (Statu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Institution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 변경화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3호
    • /
    • pp.1-13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시설 복합화에 대한 법적 제도, 연구 동향, 정책 추진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교시설 복합화는 2001년 금호초등학교에서 시작된 이래, 2020년 '학교복합시설 설치 및 운영·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그 개념과 범위가 명확해 졌다. 학교시설 복합화 관련 연구는 주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복합시설로서 고령자 관련 시설, 그리고 공간계획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시설 복합화가 본격적으로 중앙정부의 정책이 된 것은 2019년 생활SOC 복합화 사업이 계기가 되었고, 2023년 7월 기준으로 23개 학교가 생활SOC 복합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는 2023년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방안(4월)과 가이드라인(7월)을 발표해, 학교복합시설을 '늘봄학교'와 연계하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돌봄시설의 부족, 대도시권 편중, 복합화 시설이 체육관이나 주차장 등 특정시설로 편중된 점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돌봄정책과의 연계 취지에 맞는 실현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field expert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 조용;이병호;한종극;박윤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3호
    • /
    • pp.14-29
    • /
    • 2023
  •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기준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기준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 총 26명으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안전기준안에 대한 시도교육청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의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기준 개발의 필요성, 학교안전기준 내용의 적정성, 학교안전기준 형식의 적절성, 학교안전기준안의 현장 적용성 등 넷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기준 개발 방향 설정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학교안전기준 체계 및 내용 탐구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학교안전기준 내용 초안 마련에 관한 내용이다.

개발도상국 투자에서 MIGA의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spute Resolution of MIGA in the Investment Guarantee for Developing Countries)

  • 유병욱
    • 무역상무연구
    • /
    • 제60권
    • /
    • pp.79-106
    • /
    • 2013
  • The world is significant increasing investment volume into developing countries from foreign investors. Foreign financial capital is searching in interesting place among the emerging market. However foreign investors put still their experience in the economical and social crisis with political risks in the host countries. MIGA entered into the political risks insurance market which has one of the basic matter of sponsored the private investment guarantee programs. They put guarantee or covering risks of currency inconvertibility, expropriation, breach of contract and political violence. In the case contracts of guarantee concluded between investor and MIGA which are disputes in relation to such MIGA service contract, it should be settled by negotiation, conciliation and arbitration under the convention establishing the 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MIGA). All disputes within the scope to states and investor of MIGA members shall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set out in the convention. Recently, MIGA is opening the office in Seoul to strengthen joint efforts between MIGA and Korea. It will be a good chance to consider sustainable improvement and dispute solutions for emerging countries in foreign investment to the korean investors.

  • PDF

Financial Capability and Differences in Age and Ethnicity

  • MOKHTAR, Nuradibah;SABRI, Mohamad Fazli;HO, Catherine Soke F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1081-1091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ethnicity which is comprised of Malay, Chinese, Indian and Others on four financial capability domains namely planning ahead, managing money, choosing products and staying informed. A closed end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seminated to a total of 2000 respondents among four types of groups which consist of FELDA or rural area residents, private sector employees, government sector employees and youth in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in Malaysia. Those four groups were selected to cover a wide range of Malaysian population. 500 respond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or each types of group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alysis via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was utili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age has significant effect on planning ahead, managing money, choosing products and staying informed. Whereas, ethnicitie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financial capability except planning ahead domain. It is suggested that more devotion should be placed on research and professional training in building respondents' financial capability. Furthermor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ntensify their financial capability and upgrade their standards of living especially of financially vulnerable households.

도시 국제화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외국인 커뮤니티 시설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글로벌센터를 중심으로 - (Rol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for Foreigners as a Platform for Urban Globalization - Focused on the Seoul Global Centers -)

  • 최성진;한순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6호
    • /
    • pp.81-92
    • /
    • 2019
  • Globalization has diversified ethnic composition thus increased the risk of conflicts and socio-political instability in global cities. However, still the status of community facility in a global city is unclear despite its critical role to build sustainable community in global era. In Seoul, as a reaction of globalization, 19 community facilities known as the 'Seoul Global Center' have been established since 2007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se facilities have started to provide basic foreigner services but been transformed to foreigner service hub with multiple functions in terms of a living, a business, a labour, etc.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e community facility for foreigners by using the Seoul Global Center as a case study, conducting a site observation, an interview(13 staff) and a questionnaire(148 visitors). The findings are the community facility functions as a 'global platform' in forms of a policy tool for implementing the urban globalization strategy, a mediator connecting foreign migrants with local communities, an applicant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an incubator that grows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a base for collecting and aggregating information on foreign migrants and forming new local identities.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 연구 방향 (Setting the Derection of Research on the Labor Reproduction of the Jeju Haenyeo)

  • 이종호;조철기;권경희;송원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8-222
    • /
    • 2024
  • 제주해녀는 현재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력 재생산 문제가 중요한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모계 승계를 기본으로 공동체 내에서 지식과 기술 전수를 통해 이루어져 온 전통적 노동력 재생산 방식은 점차 소멸되어 그 역할의 일부를 제주해녀학교와 같은 직업훈련 기관이 대신하고 있으나 이 또한 지속가능한 수준의 노동력 재생산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해녀의 사회·경제·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노동력 재생산이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라는 점에서, 해당 이슈에 대한 다차원적인 연구는 학술적 및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선행연구와 노동력 재생산에 있어서 직업훈련 기관의 역할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 연구를 위한 주제 및 분석항목을 추출하고 다루어야 할 세 가지 주요 이슈를 제시하였다. 첫째,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제주해녀학교의 역할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역할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녀 공동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얽힌 관계의 측정을 위해 사례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정성적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장소 만들기와 장소성 (The Process of Place-making and the Placeness of the 'Kim Gwang-seok Road' in Daegu)

  • 박순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8-45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장소 만들기의 대표적인 사례인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장소 만들기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주체들의 역할과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서 장소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방천시장과 신천대로 옹벽 사이의 골목길은 김광석 컨셉에 착안한 약 10여 년간의 도시재생 사업을 통하여 김광석의 추모공간이자 예술문화공간으로 뿌리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의 지나친 관광명소화로 기존의 장소성이 약화된 반면에 문화상업공간의 특성이 강화되면서 장소성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장소성의 변화는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커뮤니티의 해체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의 동력 상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기존 커뮤니티의 역량 및 내재된 사회자본과 장소자산을 새로운 방향으로 확대 재생산할 수 있는 내생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