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Place-making and the Placeness of the 'Kim Gwang-seok Road' in Daegu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장소 만들기와 장소성

  • Park, Soon Ho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순호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20.11.06
  • Accepted : 2020.12.10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place-making, to define the role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ubjects and to analyze the placeness of the 'Kim Gwang-seok Roa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rtificial place-making. Through a 10-year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concept of Kim Gwang-seok, the alleyway between Bangcheon Market and the retaining wall of Sincheon-daero has been embedded as a memorial space for Kim Gwang-seok and an cultural art space. However, the existing placeness has weakened as the result of the excessive tourism in the late 2010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mmercial space has strengthened. This change in place has prompted community disintegration, which has caused the loss of momentu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endogenous governance to expand and reproduce existing community capabilities, embedded social capital and place assets in new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장소 만들기의 대표적인 사례인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장소 만들기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주체들의 역할과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서 장소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방천시장과 신천대로 옹벽 사이의 골목길은 김광석 컨셉에 착안한 약 10여 년간의 도시재생 사업을 통하여 김광석의 추모공간이자 예술문화공간으로 뿌리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의 지나친 관광명소화로 기존의 장소성이 약화된 반면에 문화상업공간의 특성이 강화되면서 장소성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장소성의 변화는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커뮤니티의 해체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의 동력 상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기존 커뮤니티의 역량 및 내재된 사회자본과 장소자산을 새로운 방향으로 확대 재생산할 수 있는 내생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대구교육대학교 연구교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공윤경, 2010,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129-145.
  2.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tour.go.kr/(최종열람일: 2020년 10월 5일)
  3. 권경희, 2018, "도시재생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역할과 활용 에 관한 비판적 논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3), pp.432-446.
  4. 권윤구, 2013,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혼합 연구방법을 통한 인사동과 대학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광석스토리하우스, http://www.kksstory.house/ko(최종열람일: 2020년 10월 6일)
  6. 김시중.은연정, 2009,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pp.613-626.
  7. 김연경.이무용, 2015, "생활주체의 경험을 통해 본 광주 예술의 거리 장소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3), pp.529-552.
  8. 김유신, 2019, 김광석길의 형성과정과 그 장소성의 창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대구광역시 중구, 2016, 구정주요사업백서, 대구광역시 중구.
  10. 대구광역시 중구청 관광진흥과, 2020,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자료.
  11. 대구광역시 중구청 문화관광과, 2009, 2009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 추진계획.
  12. 대구광역시 중구청 문화관광과, 2010, 방천시장 문전성시 2차사업 실행계획.
  13. 대구광역시 중구청 문화관광과, 2011, 방천시장 문전성시 사업 성과자료.
  14. 대봉문화마을협의회, http://kimkwangseok.or.kr/(최종열람일: 2020년 10월 5일)
  15. 류다혜, 201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유형화에 따른 전략적 기획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매일신문, 2017.09.04., '김광석 길' 벽화가 사라진다? "재정비사업vs일방적 행정" 논란 가속화.
  17.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과, 2010, 문전성시 프로젝트 2011년 사업설명회 자료.
  18.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498-513.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498
  19. 박순호, 2020, "방천시장과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의 도시재생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4), pp.350-362.
  20. 방천시장 문전성시 사업국, 2011, 방천시장 문전성시 사업 결과보고서-시장이 시작이다, 디자인플랜.
  21. 백선혜, 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어정연.여홍구, 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국토계획 45(6), pp.21-34.
  23. 유하나, 2018, "장소성 만들기로서의 도시재생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3), pp.466-479.
  24. 유하나, 2019, 대구 근대골목의 도시재생과 장소자산 창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규목, 1995, "자치시대의 도시이미지 형성: 이미지 창출과 장소만들기로 본 도시경관계획," 도시문제 30(324), pp.33-41.
  26. 이남휘.최창규, 2011,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6(3), pp.19-36.
  27. 이범훈.김경배, 2010,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 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5), pp.95-112.
  28.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51-67.
  29. 이석환.황기원, 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5), pp.169-184.
  30. 이재하, 2018, "장소 연구의 핵심 주제 '장소의 정감' 재논의와 장소 만들기에서 그 중요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pp.51-65.
  31. 이주현, 2012, 대구 방천시장 문전성시사업에 대한 문화정치론적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철우.박순호.최정수, 2005, "대구 약령시의 장소정체성과 장소마케팅," 지역사회연구 3(1), pp.129-157.
  33. 정광중.강성기, 2013,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99-117.
  34.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35. 최강림, 2006, 신도시 개발과정에서의 <장소만들기>에 관한 연구: 수도권 '평촌신도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최막중.김미옥, 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6(2), pp.153-162.
  37. 최연우.김철영, 2019, "문화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시 김광석길 및 방천시장을 사례로," 주거환경 17(2), pp.51-66.
  38. 한국지리연구회 공역, 2009, 현대인문지리학사전, 서울: 도서출판 한울 (=Johnston, R.J. et. al(eds.), 1986,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Oxford: Basil Blackwell).
  39. 홍인표, 2017, 지역의 활성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지표간의 순차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Anderson, John, 2010, Understanding Cultural Geography-Places and Traces, New York: Routledge.
  41. Harvey, D., 1996, Justice, Nature, and the Geography of Difference,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
  42. Project for Public Spaces(http://www.pps.org/(최종열람일: 2020년 9월 28일)
  43.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44. Relph, E., 2007, "Spirit of place and sense of place in virtual realities," Techne: Society for Philosophy and Technology Quarterly Electronic Journal 10(3), pp.17-25. https://doi.org/10.5840/techne20071039
  45. Relph, E., 2016, Place and Placelessness Revisited, New York: Routledge.
  46. Steele, Fritz, 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lishing Company.
  47.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