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field expert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09.27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t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s in realizing school safety. Toward this end, difficulties in operating school safety standards at various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small groups with a total of 26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perintendents, and researchers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and analyze related data. As a result, we comprehensively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pondents who are working at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garding the proposed school safety standards. We also analy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se standards and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tent and format. Results were derived from four aspects, includ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such standards.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cuses on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safety standards. Second, it highlights the exploration of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se standards. Third, it pertains to the preparation of a draft of these standards.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기준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기준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 총 26명으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안전기준안에 대한 시도교육청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의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기준 개발의 필요성, 학교안전기준 내용의 적정성, 학교안전기준 형식의 적절성, 학교안전기준안의 현장 적용성 등 넷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기준 개발 방향 설정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학교안전기준 체계 및 내용 탐구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학교안전기준 내용 초안 마련에 관한 내용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8A02110627)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2. 교육부(2021).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2021.11.24.). 
  3. 교육부(2022). 산업재해 예방 관련 주요사항 안내. 
  4. 국가법령정보센터(2023). https://www.law.go.kr/ (2023. 8. 7. 인출). 
  5. 권혜정(2015). 국가교육과정기준법 시안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6. 김민호, 조상현, 박덕근, 권혁철(2020). 안전기준의 검색과 분석을 위한 기계독해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3(2), 351-360. 
  7. 김종훈, 이은혜, 임고은(2021).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안전교육 편성 현황 분석. 교육부정책중점연구소 학교안전연구소. 수시과제 2020-03. 
  8. 김찬오, 권영국, 백신원(2008). 안전기술기준 표준화의 제도화를 위한 연구. 행정안전부 연구보고서. 
  9. 김찬오, 정덕훈, 백민호, 우종협, 천기홍, 심형섭, ... 신호준(2009). 재난안전관리 산업 실태조사 및 육성방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신학협력단 소방방재청 용역 과제 보고서. 
  10. 박종근, 서영민, 한정수, 정우택(2018). 안전기준의 통합적 관리.운영 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국민안전처 연구보고 TRK O201700004352. 
  11. 임수정, 박덕근(2019). 구조적 속성과 어휘적 특징에 기반한 안전기준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1), 353-366.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1.353
  12. 서울특별시교육청(2022). 2022년도 학교 안전교육 계획(안). 
  13. 학교안전공제중앙회(2023). https://www.ssif.or.kr/ (2023. 8. 7. 인출). 
  14. 행정안전부(2023) www.mois.go.kr/2023. 8. 7. 인출). 
  15. 홍후조(2017). 알기쉬운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