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raglottic cancer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인의 후두암 발생에서 음주, Aldehyde Dehydrogenase 2(ALDH2)와 N-Acetyltransferase 2(NAT2)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Effects of Alcohol Intake, Genotypes of Aldehyde Dehydrogenase 2 and N-Acetyltransferase 2 on the Development of Laryngeal Cancer in Koreans)

  • 권순욱;심윤상;이용식;홍성출;김광일;홍영준;홍석일;김현주;김헌;이국행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38
    • /
    • 2001
  • Objectives: Alcohol intake has been reported to be a risk factor of laryngeal cancer. Since the aldehyde dehydrogenase 2 (ALDH2) genotype is a major determinant of personal alcohol drinking hab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LDH2 genotype would be a risk factor for laryngeal cancer. N-Acetyltransferase 2 (NAT2) is a detoxifying enzyme and its polymorphism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risk of many environmental cancers. However, studie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these two genotypes and laryngeal cancer risk are scarce. We have assessed the effects of alcohol intake and the genotype of ALDH2 and NAT2 on the risk of laryngeal cancer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four pathologically proven laryngeal cancer patients and 168 age matched controls were included as the study subjects. Information about alcohol intake and smoking habit was collected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LDH2 and NAT2 genotypes were analyzed using PCR-RFLP methods. Results: Alcohol intake was significant as a risk factor for laryngeal cancer (OR : 2.58, 95% CI : 1.24, 5.36), especially for supraglottic laryngeal cancer (OR : 3.24, 95% CI : 1.02, 10.31). Personal drinking habit was closely related with personal smoking habit, which was a potent risk factor of laryngeal cancer. In a stratified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cumulative smoking amount, drinking was significant neither in light smokers (equal or less than 30 pack-years) nor in heavy smoker (over 30 pack-years). The ALDH2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laryngeal cancer in a univariate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disappeared after adjusting alcohol intake using a multiple conditional logistic model. The NAT2 genotype was not significant as a risk factor for laryngeal cancer. Conclusion: Alcohol drinking and ALDH2 genotype would have indirect effects on laryngeal cancer by their correlations with cigarette smoking or with alcohol drinking. It is less likely that the NAT2 genotype would be a potent risk factor of laryngeal cancer.

  • PDF

성문상부 상피세포암에서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rimary Radi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1ottic Larynx)

  • 김원택;김동원;권병현;남지호;허원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33-243
    • /
    • 200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과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성문상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치료방침의 결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2예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최소 29개월간 추적관찰 하였다. 6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축소치료법과 통상적 분할조사 방법으로 원발부위와 주위 경부림프절을 평균 70.2 Gy로 치료하였고, 이중 13예는 cisplatin과 5-FU로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병기별로는 1기가 5명(15.6$\%$), 2기가 10명(31.3$\%$), 3기가 8명(25$\%$), 4기가 9명(28.1$\%$)이었다. 결과 : 연구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 성문보존율은 각각 51.7$\%$, 65.2$\%$, 65.6$\%$였고, 병기별로의 생존율은, 1기, 2기, 3기, 4기 각각 80$\%$, 66.7$\%$, 42.9$\%$, 25.0$\%$였고, 국소제어율은 각각 100$\%$,60.0$\%$, 62.5%$\%$ 44.4$\%$였으며, 성문보존율은 각각 100$\%$, 70$\%$, 62.5$\%$, 44.4$\%$였다. 유도 화학요법을 실시한 군과 방사선 단독 군에서 생존율, 국소제어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치료실패를 보인 환자 중 7예에서 구제적 수술을 시행했고 이 중 3예에서 성공하였다. 치료 중 화학요법을 병용한 1예에서 중성구감소증으로 입원하였으며, 그 외에는 grade 3 이상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치료 후 2예에서 심한 후두부종으로 기관절개술을 받았다. 원격전이는 4예에서 보였고(폐 3예, 뇌 1예), 2예에서 이차성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T병기와 N병기, 총방사선량, 그리고 종양의 육안적 소견 등이 유의한 예 후인자였다. 결론 .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조기 성문상부암인 경우 방사선치료와 보존적 수술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후두기능 보존의 효과가 좋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겠으며,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수술과의 병합 치료보다 예후가 월등히 좋지 않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겠으나, 방사선치료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서는 성문보존율과 국소제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특히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그리고 방사선 민감제 등을 이용한보다 더 폭 넓은 연구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Multiple nonmelanocytic skin cancers in multiple regions

  • Han, Song Hyun;Kim, Soon Heum;Kim, Cheol Keun;Jo, Dong I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8-192
    • /
    • 2020
  • The most common forms of nonmelanocytic skin cancer (NMSC) are basal cell carcinoma (BCC)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The growing incidence of skin cancer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sparked increasing scientific interest in these types of tumors. In the case described herein, multiple NMSCs occurred asynchronously in various areas of the body in a single patient. A 67-year-old man presented with an ulcerative lesion on the right retro-auricle and multiple keratinized masses on the back and face. The right retro-auricular lesion was diagnosed as BCC, and the keratinized masses on the patient's back and face were diagnosed as SCC. He subsequently presented with numerous pigmented skin lesions on the forehead, temple, pre-auricle, neck, right forearm, right hand, and both thighs. One lesion on the neck was diagnosed as BCC, and five lesions on the right hand and forearm were diagnosed as SCC. The patient was also diagnosed with supraglottic SCC and external auditory canal SCC. An otolaryngologist performed radical excision of the primary SCC. Suspected skin cancer lesions observed on the face and both ears were diagnosed as SCC. Patients with multiple NMSCs are at an elevated risk for additional skin cancers, making periodic follow-up important; furthermore, all suspicious lesions should be biopsied.

진행된 이상와암의 광범위 수직인후두부분절제술 후 요전완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Two Cases of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after Wide Vertical Hemipahryngolaryngectomy)

  • 문일준;홍성룡;김시환;안순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1
    • /
    • 2005
  • Wide vertical hemilaryngopharyngectomy with immediate glottic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using a radial forearm free flap is reported in 1991 by Chantrain et al. This procedure was designed for the preservation of healthy hemilarynx and resection of pharynx with safe oncological margin in especially piriform sinus cancer or supraglottic cancer invading the hypopharynx. In the original paper, they used palmaris longus tendon for reconstruction of neoglottis. In other groups, they used rib cartilage instead of palmaris longus tendon. In this paper, we report two cases of piriform sinus cancer patients who treated with wide vertical hemilaryngectomy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In one case, the operation was performed as Chantrain et al described. But in another case, the ipsilateral forearm was impossible due to the positive Allen's test. So the contralateral forearm flap and rib cartilage graft was done. This reconstructive technique make large resection possible. As the dissection of thyroid cartilage and lateral displacement makes direct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 of piriform sinus lesions, sufficient resection margin in lateral and inferior pharyngeal wall cab be obtained.

성문상부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Curative Radiotherapy of Supralottic Cancer)

  • 김용호;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39-145
    • /
    • 1998
  • 목적 : 성문상부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진되어 1990년 3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1예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52세부터 75세로 중앙값은 62세 이었다. 남자가 19예이었고 여자는 2예이었다. AJCC TNM 병기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병기 I이 4예, 병기 II가 7예, 병기 III이 3예, 병기 IV가 7예이었다. 추적조사기간의 중앙값은 36개월이었고 95%가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과 : 성문상부암 환자 21예의 전체 5년 생존율은 39.3%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이 75.0%, 병기 II가 42.9%, 병기 III이 33.3%, 병기 IV이 28.6%이었다. 전체 5년 국소제어율은 52.0%이었고, 병기에 따른 국소제어율은 병기 I가 75.0%, 병기 II이 57.1%, 병기 III이 66.7%, 병기 IV가 28.6%이었다. 성문상부암의 치료 후 3예의 환자에서 이차 원발종양이 식도에 발생하였고, 진단 후 각기 5개월, 6개월, 5개월에 사망하였다. 결론 : 병기 I, II의 조기 성문상부암의 치료시 우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치료실패시 구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높은 국소제어율과 성대 보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진행된 병기에서는 수술이 가능한 경우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 PDF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내에 발생한 설암 환자에서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경험 : 증례보고 (Conformal Radiotherapy in a Patient with Cancer at the base of the Tongue in a Previously Irradiated Area)

  • 조문준;김기환;김병국;송창준;김준상;김재성;장지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2
    • /
    • 2001
  • Objectives: We report an interim result of conformal radiotherapy in a patient with early stage cancer at the base of the tongue, which developed in a previously irradiated area. Materials and Methods: A 64-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4N0M0 supraglottic cancer. He received 72Gy of radiation therapy from 21 November 1988 to 24 February 1989. He had local failure and underwent a salvage total laryngectomy on 28 August 1989. Subsequently, he did well. In early 1999, he suffered from throat pain. He had a 2.5cm ulcerative mass at the base of his tongue, in the area that had been irradiated previously. Biopsy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After workup, he was diagnosed with base of tongue cancer with T2N0M0. Surgery was not feasible because the morbidity was not acceptable. Since it was difficult to re-irradiate the area with a curable dose using conventional 2D radiation therapy with an acceptable morbidity, we decided to try conformal radiotherapy. We used 7 static beam ports with field sizes from $7x6.4\;to\;8x8cm^2$, using 6 and 10MV photons. The fractionation regimen was 1.8Gy, 5 times per week. He received 64.8Gy in 36 fractions from 9 April 1999 to 1 June 1999. Results: In the 21 months since radiotherapy, the patient has not experienced any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such as xerostomia. He experienced relief of pain shortly after the start of radiotherapy, showed a complete response, and is still doing well. Conclusion: Conformal radiotherapy can be used to treat cancer that develops within a previously irradiated field, with curative intent.

  • PDF

후두 악성종양에 대한 내시경적 레이저 수술의 적용 (Endoscopic Laser Surgery in Laryngeal Carcinoma)

  • 김광현;성명훈;이효정;이동욱;박범정;성원진;민양기;이철희;이재서;이상준;노종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6-40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determine if laser endoscopic microsurgery is a reliable and appropriat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of 62 patients treated with CO2 laser from June 1988 to November 2000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curative intention. Fifty three untreated patients with laryngeal carcinoma (39 glottic and 14 supraglottic carcinoma patients) had primary carbon dioxide laser microsurgery. Nine radiation failure patients were treated. Postoperative radiotheray was done for 17 patients.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4 supraglottic cases with cervical nodal metastasis. Mean follow-up duration was 40 months. Results: In primary laser surgery group, distribution of tumors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1997) were 38 cases with Tl, 13 cases with T2, 2 cases with T3. Cure rate was 88.7%(47/53) and local control rate was 92.5%(49/53). Larynx was preserved in 94%(50/53) of patient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Kaplan-Meier) was 81.5%. In radiation failure group, 56% of patients were recurred after laser surgery. Conclusion: Laser surgery could be a better treatment modality for early laryngeal cancers and selected advanced cases.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f resection margin is not satisfactory.

T2N0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for T2N0 Glottic Cancer)

  • 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17-222
    • /
    • 2006
  • 목 적: T2N0 병기 성문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결과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0예의 T2N0 병기 성문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 모두 남자였으며 연령 범위는 39세에서 79세였다(중간값 62세). 조직학적 유형은 30예 모두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고, 후두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66{\sim}70\;Gy$의 범위였다(중간값 66 Gy). 추적기간의 중간값은 63개월이었다. 결 과: 대상 환자 전체의 5년 무병생존율은 79%였다. 성문하 침범이 있는 환자에서는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전연합 침범, 성문상 침범, 성문 운동성 감소 등은 5년 무병생존율의 감소와 무관하였다. 동시 화학요법 추가 또한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 원발병소 재발 3예 및 경부림프절 재발 2예는 근치적 수술로 구제되었으나, 원발병소 및 림프절 동시재발 2예는 근치적 수술로 구제되지 못하였다. 최종 국소제어율은 86%였고, 성대 보존율은 83%였다. 결 론: T2N0 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성문하 침범이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하인두암 (Cancer of the Hypopharynx)

  • 설대위;정성민;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0
    • /
    • 1987
  •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 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 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hypopharyngeal wall) 3명, Postcricoid hypo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 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cervical esophagus)암 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경부 종괴(lump)가 33 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를 나타낸 경우는 32 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 예, bloody sputum 4 례 및 호흡곤란 2 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sim}6$ 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 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 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 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sim$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명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 가 임상적 제 4 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 에서 제 4 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 4 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 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 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 과 반대측의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 년 이내와 3 년 이상무병 상태(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 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 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 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 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 PDF

성문상부에 발생한 원발성소세포암 1예 (A Case of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s)

  • 이수현;류시영;최현주;조정해;김성환;이종환;김영운;김훈교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2-45
    • /
    • 2012
  • Small cell carcinoma mainly occurs in the lung. Approximately 2.5-5% of small cell carcinomas are primary extrapulmonary which are commonly found in the esophagus, GI tract, skin, uterus, and urinary tract. Small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is extremely rare and its prognosis is poor. We report a case of supraglottic small cell carcinoma with cervical lymph node and rib metastasis in a 75-year-old ma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equential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ut the cancer has progressed. We concluded that we have to find an effective therapy for laryngeal small cell carcin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