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Job Performance)

  • 정문경;양경희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59-70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SPP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적 지식과 이해, 기술, 태도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에 대한 수준이 높았으며, 전문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자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 유형별에 맞는 운영 방안을 개발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육관련 행정기관이나 지자체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보육교사 전문성과 직무성과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교육, 연수 및 워크샵 등을 실시하여 보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바람직한 전문성 및 효율적인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어린이집 전문성 수준의 증진 방안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ing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 고영윤;신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8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와 S시 지역의 보육교사 39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관계, 심리적 소진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도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와 하위변인인 하루일과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서비스 현황 분석 (Analysis of Website Services of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of Districts)

  • 정혜욱;김경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7-230
    • /
    • 2018
  •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에서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69개소의 웹사이트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문인규(2005), 이명희(2004), 이충수(2009)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으며, 평가항목은 정보제공 서비스, 민원처리 서비스, 온라인 참여 서비스, 이용 편의성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보제공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기관 소개 및 주요사업 안내 항목과 관련 사이트 안내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민원처리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민원게시판 운영 항목과 민원처리 결과 고지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참여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온라인 신청 및 예약 기능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용 편의성 서비스의 측면에서 웹사이트는 자료의 통합검색 기능 항목과 사이트 맵 기능 항목,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관련 기능 항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는 수요자와 소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의 서비스 구성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웹사이트 서비스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hild Care Teachers' Life Satisfaction)

  • 박봉환;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9-14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162 child 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course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ree kinds of variables, which included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for windows.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generally above normal. The resilience subscal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affirmative', followed by 'interpersonal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nd the 'support of colleagues' was higher than 'support of superior' in the social support's subscale. Nex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by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working center types and academic levels.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 'affirmative',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were factors that predicte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affirmative' and 'support of superior' variables.

신도시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의 개원과정 탐색: 세종시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Opening Process of New Entrusted Public Daycare Centers: Focusing on Sejong City)

  • 이성희;김영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44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support measures for the opening process of new entrusted public daycare center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nin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in Sejong City. The recordings of the interviews were databased, an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content.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terested in the national/public daycare service consignment program and were eager to be selected for the program. They also had high expectations for operating daycare centers. Second, while preparing for the opening of the daycare center,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problems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program in terms of finance, facilities, equip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Third, after opening the center,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survival period" as they had to overcome many issues while operating the center on their ow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improvements and support measures required for the consignment program so that daycare center directors can successfully and sustainably open and operate daycare centers.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 - 지역화폐 도입을 중심으로- (A LETS (Local Exchange and Trading System) Policy Proposal for Revitalizing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amily-Cooperative Activities (Pumasi) Project)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3호
    • /
    • pp.67-82
    • /
    • 2012
  • The first local exchange trading system(LETS), established in Comox Valley in Canada, aimed at facilitating the regional economy. However, in Korea, LETS was adopted to encourage mutual aid and promote community spirit among resi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easibility of LETS as a revitalization initiative for Pumasi and suggests a number of polici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proj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TS credit system was found to complement social capital initiatives among Pumasi participan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umasi project. Second, combining LETS and Pumasi initiatives was found to consolidate community spirit and encourage a cooperative way of life among participants due to the fact that LETS enlarges the scop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diversifies the services being exchanged. A number of policy suggestions are made for combining LETS with Pumasi. First, the project must define a vision of its long-term purpose and outcomes. Second, local residents should be employed as assistants to facilitate the project. Third, Pumasi participants should ensure that childcare exchange services are of the highest quality by providing an educational program on parenting. Fourth, the project manager's employment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s must be guaranteed.

  • PDF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Relationships of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 임효연;이사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95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문헌연구와 양 기관의 기관장과 중간관리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운영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양 기관의 기능과 관계성을 통해 가족복지를 지역사회에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들은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지만 각 기관만의 기능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차별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안의 개인과 가족에 초점을 둔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사례관리가 중점적 기능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임을 확인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일반가정의 가족생활주기에 맞춘 보편적 가족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방활동과 지역주민의 심리적 접근성을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면서 건강가정을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서의 토대역할이 기대가 되었다.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 실행 연구 동향: 2013~2023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From 2013 to 2023)

  • 최문경;김소이;이연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9-5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end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from 2013 to 2023, aiming to provide practical data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62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criteria. Through the analysis, we closely examined research trends, educational practices, and trends in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Results: Firs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15.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numerous studies focused on program development. Second, among the trends in teacher education practices, many studies aimed to improve teaching skills. Third, concerning the trend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being conducted in 2015, 2020, and 2022. Particular, regard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numerous studies focused on enhancing teaching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knowledge.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offer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policy field and related organizations,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guidance and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도 비교 및 증진방안 (Analysis 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Betwee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 송예희;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73-200
    • /
    • 2020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 and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f both teacher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PBS. Methods: This study made up 405 survey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45 inclusive settings from July to August in 2019. A total of 244 surveys(60.2%) were completed and returned.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enter based level 1, the small group based level 2, and the individual based level 3 of PBS. In open-ended responses, when implementing PBS, the two groups of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getting knowledge about how to instruct preschoolers and implementing PBS. Both groups of teachers wanted th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for PBS at first, and to 'reduce the teacher-to-child ratio'in the public support system.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on how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s of PB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