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spawning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해 가덕도 인근해역에 출현하는 자어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South Sea, Korea)

  • 이은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4-304
    • /
    • 2023
  • 가덕도 인근해역에서 출현하는 자어 군집에 대한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5월, 8월, 11월 그리고 2020년 2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자어는 총 45과 8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 망둑어류(Gobiidae spp.), 청어(Clupea pallasii), 가라지(Decapterus maruadsi), 돛양태류(Callionymidae sp.)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5종은 조사기간 중 출현한 자어 전체 출현개체수의 84.1%를 차지하였다. 멸치와 망둑어류, 가라지, 돛양태류는 여름철 우점종이었고, 청어는 겨울철 우점종이었다. 종다양도지수는 여름철에 가장 높고 가을, 겨울철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봄철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자어의 출현개체수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절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뚜렷이 구분되었다. 특히, 계절적 수온변화에 따라 여름철에는 자어의 적정한 성육환경이 형성되었고, 겨울철에는 겨울산란어종의 적정한 부화수온이 형성되어 자어군집의 계절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독도 주변해역에서 봄과 가을철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Spring and Autumn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of Korea)

  • 김성;유재명;이은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43-448
    • /
    • 2002
  • A study on the ichthyoplankton assemblage was conducted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in September 1999 and May 2000. Sixteen species of fish larvae including eggs were collected during the survey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2.0% and 94.5% of total samples in number, respectively. Muller's pearlside (Maurolicus muelleri)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95.0% and 3.2%, respectively. The other species mostly composed of warm water species were less than 2% of total samples in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the fish lawae and eggs were higher in September than in May. Although there were limited data on the ichthyoplankton around Dokdo in summer and winter, this study area seems to be used for the spawning or nursery ground of fishes.

새고막(Scapharca subcrenata)의 가공적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 박춘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408-1411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ark shell(Scapharca subcrenata) cultured at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edible portions were determined for coefficient of fatness and yield of edible portion using specimens collected bimonthly from December 1994 to December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X) and total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0.001608X2.5199.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ight(X) and meat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 0.3594X 0.5566(r=0.99).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ight(X) and meat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67.1647X+20.6370(r=0.99). The coefficient of fatness and yield of edible portion showed a marked bimonthly variation with a maximum in December and a minimum in August.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S. subcrenata would be in winter and spring, and not in summer and autumn season, the spawning season of the S. subcrenata.

  • PDF

한국남해안산 멸치의 척추골수의 변이 (ON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P VERTEBR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 전찬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4
    • /
    • 1968
  • 1. 한국남해안산 특히 진해도부근의 래유 멸치군의 척추골수의 변이를 검토하였다. 2. 척추골수의 변이는 지역적 또는 어구별의 변리는 인정되지 않고 계절적 변리로 인정된다. 3. 척추골수의 변이는 주로 산난기의 수온으로 생긴다고 인정된다. 4. 남해안산 멸치는 주로 춘계산란군에 의존함을 알았다. 5. 동서해안산 멸치도 동일계군 인가를 확인해야 되겠다.

  • PDF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y of Sand Shrimp, Crangon affin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홍성윤;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51-362
    • /
    • 1989
  • Ecology of Crangon affinis was studi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n June 1988 to May 1989. The growth rate of female was similar to that of male. Size differences, however, were apparent between female and male. Sex ratio varies with season. The major spawning season was from June 1988 to May 1989 except for November 1988. The number of eggs of the largest ovigerous female (35.55mm TL) was over 4,000, while that of the smallest ovigerous female (15.05mm TL) more than 120. The mean number of eggs was 1778. The size of winter eggs is larger than that of the summer eggs. The mean percentage of egg loss from brooding to hatching was $29.06\%$. The rate of egg loss decreases with increasing age. Major component of food organisms includes mysids and polycheates.

  • PDF

한국 남해 연안 전선구조에 따른 멸치 알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Anchovy Eggs Associated with Coastal Frontal Structure in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주일;김진영;최용규;오현주;추은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5-216
    • /
    • 2005
  • 한국 남해안에서 2003년~2004년의 4월, 6월, 8월에 멸치 알의 분포 및 해양환경 특성을 비교하고 냉수대 형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온은 $10.2{\sim}30.7^{\circ}C$, 염분은 25.7~34.7, 클로로필은 $0.14{\sim}0.67{\mu}g/L$, 동물플랑크톤은 $111.52{\sim}262.37mg/m^3$의 범위였다. 멸치 알은 수온 $14.7{\sim}26.9^{\circ}C$와 염분 31.0~34.6 범위에서 주로 나타났고, 봄에서 여름으로 진행될수록 고수온과 저염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동물부유생물 생산의 증가와 함께 알의 평균분포밀도도 높아졌다. 2004년 8월의 멸치산란장은 외양의 난류수와 연안 냉수대간의 수온전선 외해측 해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연안역의 냉수대형성이 멸치 산란장분포의 제한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만의 양식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수하시기에 따른 육중량 변화 (Suspended Time Dependent Meat Weight Increase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Pukman Bay, Korea)

  • 정우건;조상만;조창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1999
  • 굴의 육중량 변화는 수온과 chlorophyll에 의해 지배되지만, chlorophyll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러한 경향은 다소 감소하였다. 수온에 따른 굴의 성장은 수온 하강 초기에는 강한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적정 수온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상관관계가 다소 낮아졌다. 각 수하시기에 따른 육중량 성장식을 6월은 3차 방정식의 성장곡선이 나타났고, 7, 8월에 수하한 경우 지수형 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9-11월의 경우 정량적인 성장을 하는 일차방정식의 성장패턴을 나타내었다. 성장 방정식으로부터 각 수하시기에 따라 목표중량 5 g까지 성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하면 9월이 123일로 가장 성장이 빨랐고, 8월이 220일로 가장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다. 굴 종패의 수하적기는 수온상승기 말기부터 수온하강기 초기인 8월말부터 9월 중순 사이가 적당한 시기로 추정되고, 상품크기 5 g까지 성장하는데 평균 4-5개월이 소요되며, 이 시기는 12-1월경에 해당한다.

  • PDF

동해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회유와 분포변동 특성 (Migration and distribution change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 양재형;이성일;박기영;윤상철;김종빈;전영열;김상우;이재봉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01-414
    • /
    • 2012
  • Distribution pattern and fishing condition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ae were explored using catch and catch per unit effort (CPUE) by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from 2004 to 2008. A. japonicus was one of major target species for the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in the East Sea, which were caught from April to October for the eastern Danish seine, and from October to December for the coastal gill net, respectively. In recent, the distribution and centroid of fishing ground moved northward, as sea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species spawned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northern East Sea, during winter, started to move to deeper water after spawning from spring, extended widely from Gangwon to Ulsan, southern East Sea, during summer, and migrated back to the spawning ground off Gangwon during autumn.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4-664
    • /
    • 1998
  •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초어 및 백련의 인공 번식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 TO INDUCE SPAWNING OF CHINESE CARPS BY PITUITARY INJECTION)

  • 김인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26
    • /
    • 1970
  • 1969년 여름 부산수산대학 양어장에서 1963년 일본으로부터 도입하여 길러온 초어와 백련을 사용 채란과 부화실험을 하였는 바, 그 결과는 좋지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한다. 1. 부산지방의 못에서 양식한 초어가 백련의 성숙 채란 적기는 6월 말부터 8원 초까지의 사이에 있다고 인정된다. 2. 산란 촉진용 뇌하수체는 동종 또는 근연종의 친어로부터 그들의 산란기이 진에 적출 보관하였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인정된다. 3. 백련은 체장 40cm(전장 48cm) 가량의 작은 개체도 6년생은 모두 채란 가능하였으며, 포란수는 체장 $40\~44.5cm$ 되는 것에서 $23\~26$ 만개로 추산되었다. 4. 부화 시설로서는 원추형 망부화기를 급수 파이프에 병렬하고, 각 부화기에는 수량 조절용 발브를 달아서 수중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 동작을 하였다. 5. 알의 발생 중, 분할된 할구(세포)가 배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이 생기면, 그 알은 예외없이 괴사하였다. 6. 친어의 사전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는 것이 긴요함을 느꼈으며, 좋은 먹이와 적절한 수심 및 수온을 유지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