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level of health

검색결과 816건 처리시간 0.023초

농촌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자기부양행동과의 관련성: 가구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Self-Care Behaviors of Rural Elderly in Korea: Focused on Living Arrangement Differences)

  • 윤순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7-9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and self-care behavior of rural elderly in Korea, focused on the difference among three distinctive living arrangements; living alone, living only with his/her spouse, and living with their married childr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from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586 elderly aged 65 or older and living in rural area,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lso, self-care behavior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life-style practice, medical self-care, adaption to functional limita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Rural elderly perceived their health little and more 'bad' but their ADL capacity were 'not difficult', especially among elderly living with spouse. 2) The level of 20 items in self-care behavior ($1{\sim}5$score) was ranged from 2.51 to 3.81 score. The behavior level of regular exercise, setting up additional phone, taking a nutrient, and testing BP or pulse regularly were low but that of taking a medicine according to prescription, close contact with other people, and regular eating were proportionally high. 3) The majority of self-care behavior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health positively but medical self-care behavior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health or ADL nega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톨루엔 취급 근로자의 건강장해 (Health Impairment among Toluene exposed Workers)

  • 문영한;노재훈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177-183
    • /
    • 1986
  • Subjective symptoms, counts of blood cells and liver function test were conducted on 198 male workers who were exposed to toluene in Kyungin a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1986. According to the level of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the total sample was classified into the high exposure group ($concentration{\geqq}3g/1$) and the low exposure group(concentration<3g/1).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two group: 1) Contrary to the previous findings. the urinar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of toluene exposed workers showed bimodal distribution. It meant that the toluene exposed workers were mixed with the non-exposed or minimal exposed workers. 2) The high exposure group showed a lower level of leucocytes counts ($6,630{\pm}1,860{\mu}l$) than the low exposure group ($6,340{\pm}1,960/{\mu}l$). 3) The high exposure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SGOT, SGPT and r-GTP than the low exposure group (p<0.05). 4) The high exposure group complained much more subjective symptoms (e. g. skin rash, loss of appetite, palpitation) than the low exposure group.

  • PDF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연령집단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ge Groups)

  • 이상철;조준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61-86
    • /
    • 2017
  •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핵심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들의 역동성과 관련한 논쟁이 존재하고, 두 번째는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이 과연 선형적인 관계인가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가와 관련한 논쟁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을 설정한 상호작용모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주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아울러 이질적인 연령집단에 따른 관계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 개념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KSHAP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한 반면, 주관적 사회적 고립은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과 이질적인 연령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신체적 건강에 대해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객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전기노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후기노인의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집단에 따라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과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객관적 사회적 고립과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 김정희;김옥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9-40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Method: The General Health Perception, 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aire was used to measure health perception. The Caregiving Master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mastery, while the 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 of well-being. Result: Subjective health, caregiving mastery, patient's ADL and caregiving duration influenced on caregiver's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health had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aregiving duration and patient's ADL ha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aregiving mastery. Conclusion: It is need to develop a health program for the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and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caregiver's ability, thereby improving the well-being of the family caregivers.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청소년의 또래 애착 영향 요인 탐색 (Exploring Influence Factors for Peer Attachment in Korean Youth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09-214
    • /
    • 2017
  • 본 연구는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2016년 지역아동센터의 아동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419명(남 210명, 여 209명)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또래애착 여부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학업 성적 만족도, 주관적 가구경제수준,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자녀대화 빈도,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상, 자아존중감, 주관적 생활 만족도, 휴대전화의존도를 포함하였다. 또래애착의 예측 요인은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상, 성,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자녀 대화 수준, 주관적 가구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는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관련이 높은 요인이었다. 청소년기의 성공적인 사회관계 형성을 위해서 또래 애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시-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비교 (The Comparis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Urban-Rural Elderly)

  • 이정훈;이희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3-565
    • /
    • 2016
  •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노인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 근린 여가활동에 따른 건강 수준 차이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 등급으로 구분된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을 토대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추정 결과 개인의 인구 사회 경제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접촉과 근린 여가활동들도 도시와 농촌 노인의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건강 수준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의 경제적 수준(교육수준과 가구 소득)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노인의 경우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건강 등급 1등급을 높일 오즈비가 1.82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들 수 있다.

  • PDF

치과기공사의 직무환경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Job Environment and Health Condition of Dental Technicians)

  • 권은자;한민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7-47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ntal technician's job environment and health condition level and to examine its correlation. Methods: 250 dental technicians in Seoul, Incheon, and Jeonbuk area were selecte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1, 2010 to November 25, 2010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 for the tools for this stud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its prove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49 questions which included general attribute of subjects(14 questions), job Environment(13 questions) and health condition(22 questions).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by computerized system with SPSS Win 17.0.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job environment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of gender, working hours a day(Hour), healthy condition, job satisfaction level with dental technician, plan for task continuity in dental technician(P<0.05). The average in the job environment was indicated to be high with 2.8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health condition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of gender, task field, working hours a day(Hour), healthy condition, job satisfaction level, plan for task continuity(P<0.05). The average in the self health recognition was indicated to be high with 2.83. Conclusion: Correlation between job environment and health condition, all of variables were indicated to have reverse correlation, thereby having been shown that the worse job environment leads to the more physical subjective symptoms.

스트레스인식에 따른 중년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by stress perception)

  • 권명진;김선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07-317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2014년, 2016년,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0-64세의 중년으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답한 7,9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25.0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그룹의 경우 가구소득수준, 교육수준, 외식빈도,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 우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21.4%이었다(p<.001).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그룹의 경우 가구소득수준, 교육수준, 배우자와 동거여부, 주당 아침식사 빈도, 유산소운동 실천여부,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 우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38.7%이었다(p<.001). 따라서 향후 중년의 스트레스 감소 중재 시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Mothers)

  • 장분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evel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mothers, health educators should encourage mother to have continuous dental care habits for lifelong dental health with practical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0 mothers of four-year, fifth-year and sixth-year from elementary school in Daegu area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6, June to 27, June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10.0 program. Result: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hers, knowledg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age,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Second, mothers, number of toothbrush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as over three times a day.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between visiting frequency of dental clinic for one year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age,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Fourth, yes or no of use in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degree of education, yes or no of occupation, subjective economy. Fifth, mothers, knowled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

  • PDF

건강검진 수검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Examination Acceptance Rate: Focused o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유아현;조수현;신혜원;이성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건강검진에 대한 현 상황을 제시하여 수검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구적 요인(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건강 요인(흡연, 음주, 비만, 주관적 건강상태)을 각각 선정하고, 선정된 요인이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병원 수·소득수준에 따른 수검자를 시각화했다. 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제외한 건강 요인, 인구적 요인, 병원 개수 모두 검진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인구적 요인의 연령 중 20대와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과, 건강적 요인의 비만여부 중 저체중이 미수검률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집단들의 미수검자에 대한 홍보와 지원,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