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class percep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6초

한부모가정 자녀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계층인식이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Subjective Class Perception on Suicidal Ideation in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Verification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 최아영;박유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57-66
    • /
    • 2023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자녀의 주관적 계층인식이 자살 충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우울과 주관적 건강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를 활용하였고, 조사에 응답한 한부모가정 자녀 61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관적 계층인식이 높을수록 자살충동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계층인식과 자살충동의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계층인식과 자살충동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인식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한부모가정 자녀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계층인식에 따른 자살충동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했다.

산재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Socioeconomic Class Recogni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Injured Workers)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142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o relevance of socioeconomic class recogni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injured workers. Methods : We used data collected over 3years by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PSWCI; 2015).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 22.0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the socioeconomic class recogni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jured workers. Results : First, the income groups of first class, second class and third class were analyzed as being of lower socioeconomic class status, and the income group four class and five class was analyzed as being the middle-ower the socioeconomic class status. Second,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oeconomic class status, as analyzed by Model 1 using only the parameters of socioeconomic status recognition and Model 2 and Model 3 using income cla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 Health and industrial accident policies are needed to improve awareness of socioeconomic class status of injured workers.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Causual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n Opportunity Inequality)

  • 이병훈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157-179
    • /
    • 2017
  • 우리 사회에서는 언론이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금수저-흙수저"로 구분되는 수저계급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 신분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대중적 담론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2000년대 말 이후 객관적인 소득분배구조의 일정한 개선이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에 있어 오히려 계층이동/세습이나 사회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회불평등의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기회불공평, 기회불평등의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내려지고 있으며, 특히 주관적인 계층지위에 따라 그 부정적 평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경제적 성취기회 불공평, 기회불평등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부모세대와 본인세대의 계층지위(-), 차별 불이익 경험(+), 연령(-), 대학 대학원의 고학력(+)이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연하면, 15세 성장기(부모세대)와 조사시점의 주관적 계층지위가 낮을수록, 차별 불이익의 경험을 가질수록, 젊은 연령층일수록, 그리고 대학 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우리 사회의 기회불평등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인식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성취기회의 불공평과 기회불평등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실업자 및 비정규직 또는 비경제활동이 높은 부정적 인식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기회불평등의 심각성과 노력성취에 대해 중위소득 가구 및 상위소득 가구가 부정적인 인식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계층인식 변화와 의료비지출과의 관련성 (Relevance of Change on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dical Expenditure)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gap i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hierarchy and medical expenditu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expenditure. Methods: An analysis based on the the data extracted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 Health Panel for 2012-2013 (n=9,359) is conducted. Further in this study, data analysis included 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industrial workers. Results: Model I showed decreases in medical expenditure by 1.247, 1.391, and 1.441 times in social classes one, two, and Model II showed an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 by age, spous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insurance type, income class, economic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and change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state and community require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support, in addition to individual efforts, to reduce medical expenditur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las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 JUNG, Myung-He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543-55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aimed to not only analyze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but also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of life within the socioeconomic status where the elderly consider themselves to be an integral part. The elderly's satisfaction in life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The correlations of objectiv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were also observed. For this purpose, the Korea Labor Panel 17th data (2014) was used to conduct a one-way batch distribu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the Korean elderly in terms of class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with a lowe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The relative influences were stronger than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much higher than the objective income level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independent of the objective income level.

실습교과목에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수·학습 사례 및 효과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Cases and Effects Using Virtual Reality (VR) in Practice Subjects)

  • 최나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52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and taught VR content to be used in clothing design and composition practice, which are practical subjects for home education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examined the learning effects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R experiences. First, after experiencing classes using VR content,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were examined considering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of learning sewing machines in classes using VR content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class level, clas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ere affect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VR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 of VR classes prior to experiencing VR content related to sewing machines developed for practical subjects, VR experiences affected class participation, class level, expectations, but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The advantages of the VR class that students mention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included interest in the clas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 VR experience, and the use of VR. As for the disadvantages, difficulties in using the device, dizziness, frustration when using the device,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were mentioned.

대학생의 수업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College Class Perception among College Students)

  • 심태은;이송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80-18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업방식을 도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Q표본은 33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었고, P표본은 교양수업을 듣는 4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수업을 통하여 성장하려고 하는 욕구가 강한 '내실 있는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2는 수업을 듣는 과정이 일을 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실무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3은 수강인원수나 교수와의 소통, 실질적인 환경 등에 중점을 두는 '교육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4는 스스로 듣고 싶은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적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인적인 역량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수업의 질을 향상하고 다양한 대학생의 수업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f 'Joongsancheung')

  • 조동기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89-109
    • /
    • 2006
  • ‘중산층’은 경제적 요소뿐만 아니라 생활기회, 교육수준, 직업적 지위 등 비경제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계층범주이다. 중산층의 객관적 판별기준으로는 화이트칼라와 구중간계급 계층, 2년제 대학이상의 교육수준, 월평균 300만원 이상의 소득, 30평 이상의 주택 거주 등이 있다. 주관적 측면에서의 중산층은 중간계층 귀속의식과 중산층 귀속의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객관적 기준으로 측정힌 중산층 규모는 약 66.9%로 2000년 전후의 다른 조사와 비교해 최근 중산층이 크게 감소했다는 증거는 없다. 주관적 지표로는 중간계층 귀속의식이 약 74%, 중산층 귀속의식이 약 20%로 나타나, 과거 다른 조사에 비해 다소 낮았다. 중산층 귀속 여부를 종속변수, 객관적 지표 및 주관적 지표를 독립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산층 귀속의식은 주택 소유 변수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 교육, 직업 등의 객관적 지표보다는 소득수준과 재산정도에 관한 주관적 평가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양극화를 극복하고 균형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산층 규모 확대와 더불어 상대적 박탈감 해소 노력이 요구된다. 그런데 최근 한국사회는 중산층의 확대와 계층 양극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계층의 양극화는 객관적인 조건의 변화보다는 주관적인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중산층에 대한 인식의 기준이 상승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비해 자신이 더 나아지지 못했다는 상대적 박탈감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서는 주택문제의 해결과 아울러 소득 및 재산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의 해소가 주요한 과제이다.

바닥충격음의 평가등급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te Classification of Floor Impact Noise)

  • 류종관;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86-491
    • /
    • 2002
  • Auditory experiments based on subjective responses were undertaken for the standard heavy and light weight impact noise. Relations between noise levels and subjective evaluations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noise class was rated with the range of sensible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various social responses for the floor impact noise. The rate classification for the heavy weight impact noise is suggested as a design guide for concrete slabs which satisfy the residents' requirements in various sound insulation capacities of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s.

  • PDF

중고령자 가구의 소비분위별 개인단위 소비지출 결정요인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 by Consumption Quintile of Middle and Older Elderly Households)

  • 김순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573-588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 by the consumption quintile of Middle and Older Elderly Households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ed it. Sample of 2,983 households was collected from the 6th KLoSA in 2016. First, when comparing the HH's living expenses by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wo persons to a person ratio, more than six persons to a person ratio were 2.007 and 4.148, respectively. The ratio increased as the number of family member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ratio increase decreased. Second, the per capita living expenses for the first and fifth quintile were 5.11 million won and 16.93 million won at the per capita living expenses that applied the OECD's equivalence scale to the HH's living expenses. The per capita living expenses for the fifth quintile was 3.31 times higher than in the first quintile. Third,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per capita living expenses by the consumption quintile, the marital status was the significant for all consumption quintiles; however, HH's income, HH's total asset, HH's financial asset, pension,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economy class, home ownership, residence (metropolitan or small city), educatio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on groups were significant in some quintiles among all quintiles. Fourth,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per capita living expense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first quintile followed by second quintile, third quintile, fourth quintile, marital status, HH's income, home ownership, HH's total asset, participation groups, residence (metropolitan),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economy class, i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