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f 'Joongsancheung'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 Published : 2006.12.25

Abstract

The 'Joongsancheung(JSC)', a unique term for the middle class in Korea, is defined as a stratum sharing common lifestyles and a certain level of life chances. It involves non-economic factors such as life chance, educational attainment, occupational groups as well as economic factor. Such objective measures as the occupational status of the main breadwinner, family income,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respondent, and subjective measures of class identification are used for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JSC.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1,515 respondents i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JSC in size and the major determinants of class ident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re is no strong evidence of any significant change of the JSC by the objective measures during the recent decade, there seems to be a slight decrease in th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 addition, binary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self-identification of JSC is heavily influenced by house ownership, along with subjective evaluation of one's own income and property ownership.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pparent class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reflects not so much objective conditions but subjective perception of respondent of his or her circumstance. It is suggested that problems of housing and relative derivation people have as regards income and property should be resolved to alleviate such class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중산층’은 경제적 요소뿐만 아니라 생활기회, 교육수준, 직업적 지위 등 비경제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계층범주이다. 중산층의 객관적 판별기준으로는 화이트칼라와 구중간계급 계층, 2년제 대학이상의 교육수준, 월평균 300만원 이상의 소득, 30평 이상의 주택 거주 등이 있다. 주관적 측면에서의 중산층은 중간계층 귀속의식과 중산층 귀속의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객관적 기준으로 측정힌 중산층 규모는 약 66.9%로 2000년 전후의 다른 조사와 비교해 최근 중산층이 크게 감소했다는 증거는 없다. 주관적 지표로는 중간계층 귀속의식이 약 74%, 중산층 귀속의식이 약 20%로 나타나, 과거 다른 조사에 비해 다소 낮았다. 중산층 귀속 여부를 종속변수, 객관적 지표 및 주관적 지표를 독립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산층 귀속의식은 주택 소유 변수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 교육, 직업 등의 객관적 지표보다는 소득수준과 재산정도에 관한 주관적 평가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양극화를 극복하고 균형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산층 규모 확대와 더불어 상대적 박탈감 해소 노력이 요구된다. 그런데 최근 한국사회는 중산층의 확대와 계층 양극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계층의 양극화는 객관적인 조건의 변화보다는 주관적인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중산층에 대한 인식의 기준이 상승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 비해 자신이 더 나아지지 못했다는 상대적 박탈감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양극화의 해소를 위해서는 주택문제의 해결과 아울러 소득 및 재산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의 해소가 주요한 과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동 (1991) '한국 중간계급 연구동향' <사회계층-이론과 실제> 117-142
  2. 김영모 (1997) <한국의 중산층 연구> 중앙대학교 출판부
  3. 보건복지부 (2006) www.mohw.go.kr
  4. 신광영 (2006) '중산층 살리기는 사회양극화 해소의 해법인가?' <중산층 확대와 양극화의 해법>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포럼 1 차 발표자료집, 19-28
  5. 유영준 (1985) '국가발전에 있어서의 중간계층의 역할에 관한 소고' <개인과 국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1-182
  6. 이재열 (2006) '한국의 사회통합과 중산층 육성의 과제' <중산층과 한국의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포럽 3 차 발표자료집
  7. 장미혜 (2006) '한국 중산층의 양극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중산층과 한국의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포럼 3 차 발표자료집, 59-89
  8. 장세훈 (2006) '중산층의 주거현실에 비춰본 중산층 육성 정책의 방향' <중산층과 한국의 사회통합>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포럼 3 차 발표자료집, 123-149
  9. 조돈문 (1996) '중간계급의 계급적 성격과 계급적 이칠성' <한국사회학> 302(여름호):269-303
  10. 통계청 (2006) kosis.nso.go.kr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한국사회의 신뢰 실태조사> 한국정신문화연구 원 연구보고서
  12. 한상진 (1987) '한국중산층의 개념화를 위한 시도' <한국사회학> 21(여름호) : 121-148
  13. 한상진, 김병조, 은기수, 정철희, 조동기 (2006) '한국사회의 가치관과 문화변 동 비교연구' (미간행 연구보고서)
  14. 함인희, 이동원, 박선웅 (2001) <중산층의 정체성과 소비문화> 집문당
  15. 현대사회연구소 (1985) <한국 중산층의 규모와 생활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85-13
  16. 홍두승 (2005)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홍두승, 김병조 (2006) '한국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 <중산층 확대와 양 극화의 해법>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포럼 1차 발표자료집, 3-18
  18. 홍두승, 이동원 편 (1993) <집합주거와 사회환경: 소형 아파트단지 과밀의 사회적 함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 홍석표, 원종욱, 백화종, 김성일, 홍미 (2003) <경제위기 직후의 중산, 서민 층 생활 실태 변화와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 홍성민, 민주홍 (1999) 현대 경제 연구원 VIP Report
  21. Carchedi, Guglielmo (1977) On the Economic Identification of Social Classe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22. Dahrendorf, Ralf (1959)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Hardy, Melissa. and Alan Bryman (eds). (2004) Handbook of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24. Jackman, Mary R. and Robert W. Jackman (1983) Class awareness in the United State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Menard, Scott. (1995)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on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07.106). Thousand Oaks, CA: Sage
  26. Poulantzas, Nicos (1975) Classes in Contemporary Capitalism (translated by David Fernbach). London: Verso
  27. Szymanski, Albert (1983) Class Structure: A Critical Perspective. New York: Praeger
  28. Veenhoven, Ruut (2002) 'Why Social Policy Needs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58):33-45 https://doi.org/10.1023/A:1015723614574
  29. Wright, Erik O. (1978) Class, Crisis and the State, London: Verso
  30. Wright Erik O., Cynthia Costello, David Hachen, and Joey Sprague (1982) 'The American Class Structur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December):709-726 https://doi.org/10.2307/209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