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Stress

검색결과 73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 신입생의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특성 분석: 일개 대학 신입생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Subjective Stress Level Associated with Health Characteristics among First-Year Students of University: Focusing on the Freshman Health Survey in an University)

  • 김영복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28
    • /
    • 2017
  • O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to analyze health promotion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stress level among first-year students of university. Methods: To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subjective stress level and health promotion factors, health survey was conducted with 3,892 students who were first-year students in an university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February 26 to March 10, 2015 in an univers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health promotion factors by subjective stress level. Results: 1,015 students (26.1%) were on high stress level and 2,110 students (54.2%) were in healthy status. The 10.8% of them was obesity group and the 40% was alcohol use disorder group. The 8.2% had experienced depression in the last 1 year.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it remained significantly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stress level by sex, subjective health status, sleep hours in a day, eating frequency of fruit and vegetable in a day,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thought in the last 1 year(p<0.05, p<0.01).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significant the difference by age, BMI, alcohol use disorder, eating breakfast, regular exercise and current smoking. Conclusion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of first-year students of university, it should provide the intensive mental health program to women on campuses.

  • PDF

정상인에서의 스트레스 반응 정도와 산화스트레스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sponse and Oxidative Stress among Healthy Volunteers)

  • 변순임;김지영;조성훈;김종우;황의완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38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psychological stress, physical stress response and oxidative stres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87 healthy volunteers. To assess subjective psychological stress, SRI(stress response inventory) was completed. To assess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response, HRV(Heart Rate Variability) were tested. To assess oxidative stress, d-roms(Derivatives of reactive oxygen metabolites test) test was conduc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SRI(Stress Response Inventory) score, low stress response(LSR: lower than 30 percentile), Medium(MSR: 30-70 percentile) and high stress response(HSR: higher than 70 percent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sponse and Oxidative Stress was estimated by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mographic data among 3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oxidative stress among 3 group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psychological stress and oxidative str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oxidative stress between HSR group and LSR group.

  • PDF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관계성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f Enterpriser on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job stress factors and relationship)

  • 변희지;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8-137
    • /
    • 2020
  • 기업가정신에 대한 학술연구는 오랜 기간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 되어 왔지만, 기업가정신과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전적스트레스와 방해적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개인적 특성인 자기결정성 요소 중 관계성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 연구결과로 첫째, 기업가정신은 도전적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긍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방해적스트레스에는 부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도전적스트레스는 관계성에 긍정의 영향을 주었고, 주관적 웰빙에는 긍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미비하였으며, 방해적스트레스는 관계성과 주관적 웰빙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도전적스트레스와 방해적스트레는 관계성을 통해 모두 주관적 웰빙에 긍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은 주관적 웰빙에 도움을 주고, 방해적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을 방해 할 수 있는 요인이며, 관계성은 경영자의 주관적 웰빙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논의하고 시사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on Oral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Oral Health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Chung, Kyung-Y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6-135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ance exam stress on oral health behavior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1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We performed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of the entrance exam stress was 2.73, and among the sub-areas, the tension for exam/poor stress was the highest with 3.21. As a result of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ral mucosal disease was lower in family income level (p<0.05), bad breath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lower academic performance (p<0.001) and family income level (p<0.05). As a result of oral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alysis, dental caries has more than 4 times of caries snacks (per week) (p<0.05), bad breath was found to be more perceived when the average number of daily brushing was 2 or less (p<0.01).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ere that dental caries was a patients pressure stress (β=0.202); temporomandibular disorder (β=0.227), xerostomia (β=0.342), and oral mucosal disease (β=0.190) were insufficient spare time; bad breath was academic performance (lower) (β=0.231) and insufficient spare time (β=0.18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subarea of entrance exam stress, excluding future uncertainty stress.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prevent oral diseases for students with high parental pressure and insufficient spare time stress as well as finding practical ways to reduce entrance stress.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 안성아;심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21-703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주관적 행복에 간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에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을 위해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완화,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 강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61-4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9명의 대학생들에게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을 한 결과,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에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잇점이 부각되었고, 생활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낮추고 주관안녕을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 제고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Security Agents)

  • 김경식;김찬선;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0-62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9년 서울 소재 12개소 민간경비회사의 시큐리티 요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420부를 배부하였으며, 387명을 표집하였으며 최종 분석은 356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참가빈도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기간은 직무스트레를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에 참가하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사회적지지가 높아지며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참가기간과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한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활동 참가와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된다. 넷째, 여가활동 참가의 빈도와 기간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활동 참가 빈도가 증가하면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되고, 참가기간이 증가하면 직무스트레스는 감소되며,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면 주관적 안녕감은 증가된다. 사회적 지지 또한 증가 할수록 주관적 안녕감 역시 증가된다.

  • PDF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스트레스의 인지수준에 따른 구강증상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with oral symptom experiences by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in the Korean adolescents)

  • 한여정;김한수;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5-47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and oral symptom experiences including toothache, gum diseases, and oral soft tissue diseases in the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68,043 adolescents recruited using a web-based survey, National Korean Youth Risk Behavior in 2015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oral health behaviors, and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Finall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and oral symptom experienc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oothach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the score of 1.59 (95% CI; 1.49-1.68),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38 (95% CI; 2.24-2.53) compared to the low group. Gum diseas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41 (95% CI; 1.32-1.51),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1.99 (95% CI; 1.86-2.13). Oral soft tissue disease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59 (95% CI; 1.45-1.74),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55 (95% CI; 2.33-2.79). Bad breath related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rate group with 1.48 (95% CI; 1.39-1.57), and was greater in the high group with 2.10 (95% CI; 1.97-2.25). Conclusions: Higher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level was found to affect the oral symptoms experienced. Therefore, the stress management plan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cause identification of the main stress in the adolescents. Practical an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in the schools.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의 이중 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안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62-7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24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검사, 정서빈도검사, 감사성향 척도 및 주관적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렬적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6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 감사성향 및 행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감사성향이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성향도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행복에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적 웰빙 수준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Subjective Health Status, Job Stress and Andropause Symptoms among Middle-aged Male who Work

  • Kwon, Mi-Hyoung;Oh, Ji-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09-116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을 다니는 중년 남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직무스트레스 및 갱년기 증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시, C도의 3개 시의 40~59세 직장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54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갱년기 증상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결혼상태, 직업만족도였다. 대상자의 68.83%가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직무스트레스(r=-.204, p=.011) 및 갱년기 증상(r=-.248, p=.002)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과(r=.341,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갱년기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였으며, 이 변인에 의한 설명력은 13.8%였다. 따라서 직장을 다니는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상을 관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