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knowledg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4초

Impact of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matter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ir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Performance

  • Wong, Tak-Wah;Lai, Yiu-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51-6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ntry level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The sample consisted of 24 mathematics student teachers, 12 of whom passed A-Level mathematics and 12 of whom only passed O-level mathematics. They were all studying in a 4-year bachelor of education (Honours/Primary) programme; they were either majoring or minoring in mathematics.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is not related to their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or their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may lead society to consider whether student teachers who have passed O-level mathematics are already eligible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 primary mathematics teacher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raises the issues of how to develop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hether we need to restructure our bachelor of education (Primary) programmes' curriculum in teacher professionalism.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dentification of Knowledge Gaps Regarding Healthcare Workers' Exposure to Antineoplastic Drugs: Review of Literature, North America versus Europe

  • Hon, Chun-Yip;Barzan, Cris;Astrakianakis, Georg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4호
    • /
    • pp.169-174
    • /
    • 2014
  • We have been examining the issue of healthcare workers' exposure to antineoplastic drugs for nearly a decade and have observed that there appears to be more publications on the subject matter originating from Europe than from North America. The concern is that findings from Europe may not be generalizable to North America because of differences in handling practices, regulatory requirements, and training. Our objective was to perform a literature review to confirm our observation and, in turn, identify gaps in knowledge that warrants addressing in North America. Using select keywords, we searched for publications in PubMed and Web of Science. All papers were initi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riginating continent and then categorized into one or more subject categories (analytical methods, biological monitoring, occupational exposure, surface contamination, and probability of risk/exposure). Our review identified 16 papers originating from North America and 55 papers from Europe with surface contamination being the subject matter most often studied overall. Based on our results, we are of the opinion that North American researchers need to further conduct dermal and/or urinary drug contamination studies as well as assess the exposure risk faced by healthcare workers who handle antineoplastic drugs. Trends in exposure levels should also be explored.

수업 반성 저널을 통해 살펴 본 초등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Examined through Their Reflective Journals)

  • 양기창;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72-385
    • /
    • 2012
  • For decades, reflection has been recognised as a meaningful tool to bring forth teachers' ownership as well as knowledge and action empowerment in teacher education.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Korea. In this study, 71 reflective journals of 24 elementary teachers on their science teaching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a concept suggested by Davis (2006). Unproductive reflection is mainly descriptive without analysis, whereas productive reflection can promote teachers' learning by integrating four aspects of teaching (learner/learning, subject matter knowledge,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result showed what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and emphasize and how they integrate their ideas. Most of reflective journals included aspects of 'instruction', 'learner/learning',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However 'instruction' was emphasized most frequently (69.0%) than 'subject matter knowledge' (33.8%) and 'learner/learning' (26.8%). 'Assessment' was hardly included nor emphasized. More than half of the journals (56.3%) showed no integrations, which were unproductive reflection. A third of the journals (32.4%) integrated only two aspects among four. Average score of integrations was 1.6 on a scale of 4 points. The integrations were not affected by the length of reflective journals and the teaching exper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ductive reflection would not increase naturally with teaching experience and there needs more tactful guidance to develop elementary teachers' productive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67-3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classes. Through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explore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PCK.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PCK.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teacher's PCK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ith varying focus and emphasis. The features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CK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 secondary teach content, teachers value pedagogical knowledge (PK) content knowledge (CK). The primary school PCK requires mor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to subject areas. PCK be without content knowledge, and the teacher's PCK is subject-specifi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CK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ways to set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블룸 이론 기반 KAIE 교육과정의 프로그래밍영역 평가 기준 탐색 (Study of the Assessment Criteria for Programming Education of KAIE curriculum based on Bloom's Theories)

  • 신수범;김철;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5-203
    • /
    • 2018
  • 본 연구는 정보과교육이 정규교육과정에 편입됨에 따라서 정규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의 이론적인 기반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평가에서 가장 일반적인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블룸의 지식유형, 교육목표분류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영역은 컴퓨팅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과교육의 단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도에 개발한 한국정보교육학회 정보과교육과정에서 프로그래밍 영역만을 요약하여 블룸의 이론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블룸의 지식유형을 적용하고 전문가 패널을 통해 질적 조사를 한 결과 16개의 교육과정 요목에서 14개, 87%가 개념 및 절차적 지식이었으며 12개, 75%가 이해 및 적용 단계 목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블룸 기준의 적용은 정규교육에서 필요한 평가 방향, 도구 개발에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09-135
    • /
    • 2012
  •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과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본 연구자는 교사 지식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교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상황에 국면하게 되고, 교사 지식은 이러한 상황 모두에 요구되나, 실제의 수업 상황에서 모든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 평가 기준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평가,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일이다. 이에 따라,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8)^{\frac{1}{3}}$에 내재된 수 체계 확장의 의미와 오류 해석 (The Meaning of the Extensions of Number Systems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Error Analysis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s of $(-8)^{\frac{1}{3}}$)

  • 최영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45-150
    • /
    • 200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subject-matter knowledge related to the problem about rational exponent with negative bases. From the school mathematics point of view, we first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extensions of the number systems. We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 involved in the (-8)$^{1}$ 3) through the natural interpretation of rational exponent with negative bases by the complex number. we explain why it is important for a teacher to have the subject-matter knowledge in order to detect and correct student\`s mistake and misunderstanding.

  • PDF

교과지식으로서의 유클리드 기하와 벡터기하의 연결성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Classical Euclidean Geometry and Vector Geometry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Subject-Matter Knowledge)

  • 이지현;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73-581
    • /
    • 2008
  • 학교기하에서는 논증기하, 해석기하, 벡터기하 등의 다양한 접근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유클리드 기하에 대한 다양한 접근 사이의 연결성은 기하학적 방법과 대수적 방법의 연 결성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과지식의 측면에서, 논증기하증명에서 벡터와 내적의 대수적 성질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서 학교 수학에서 기하학적 증명과 벡터와 내적을 이용한 대수적 증명의 연결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