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 Received : 2012.01.10
  • Accepted : 2011.02.11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On the standards or elements of teaching evaluation,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has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earch such as : 1)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eaching evaluation between 2004 and 2006, and 2) investig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 Knowledge. The purposes of development of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through those studies were to improve not only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but also their own teaching methods or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standards were revised and mod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focused on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s, and teaching contexts. For this purpose, the part of subject matter knowledge was consisted of four evaluation domains such as the knowledg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knowledge of mathematical contents, methodological knowledge, mathematical value. The part of Learners' unders tanding included the evaluation domains such as students' intellectual and achievement level, students' misconception in math, students' motivation on learning, students' attitude on mathematics learning, and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The part of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was consisted of seventh evaluation domains such as instruction involving instructional goal and content, instruction involving problem-solving activity, instruction involving learner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 instruction on communication skills, planning of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 development on assessment tool, application on assessment result in class were new established. Also, the part of teaching context was consisted of four evaluation domains such as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tools and materials, commercial manipulatives, environment of classroom including distribution and control of class group, atmosphere of classroom, management of teaching contexts including management of student. According to those evaluation domains of each teacher knowledge, elements on teaching evaluation focused on the teacher's knowledge were established using the instructional evaluation framework,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four areas of obtaining, planning, acting, and reflecting.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과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본 연구자는 교사 지식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교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상황에 국면하게 되고, 교사 지식은 이러한 상황 모두에 요구되나, 실제의 수업 상황에서 모든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 평가 기준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평가,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일이다. 이에 따라,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훈․이주섭․최승현․강대현․곽영순․유정애․양종모․최원윤․김영애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연구보고 RRC 2002-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임찬빈․이화진․곽영순․강대현․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연구보고 RRI 2004-5.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임찬빈․이화진․서지영․차우규 (2005).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 일반 기준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5-3.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임찬빈․이화진․최승현․오은순․이경언․이수정․노은희․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조난심 외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 - 학교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01-10.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조성민 (2006).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 : 고등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최승현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 2007-3-2.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최승현․강대현․곽영순․장경숙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 RRI 2008-2.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황혜정 (2010a).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10. 황혜정 (2010b).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3), 397-413.
  11. 황혜정 (2010c).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69-594.
  12. 황혜정 (2011a).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13. 황혜정 (2011b).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14. Ball, D. L., & McDiarmid, W. (1990). The Subject-Matter Preparation of Teachers. In W. R. Houston (Ed.), Handbook fo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 Macmillan.
  15.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 Kluwer.
  16.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17.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18.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20.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1. Smith, D. 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orwell, MA :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Stein, M. K., Baxter, J. A., & Leinhardt, G. (1990). Topic-matter knowledge and elementary instruction: A case from functions and graph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er, 27(4), 639-663.
  23. Winsor, M. S. (200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s and its effect on lesson planning at the secondary level.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Cited by

  1.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vol.55, pp.2,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2.171
  2. Analysis of a Korean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s in U.S. vol.20, pp.2, 2016, https://doi.org/10.24231/rici.2016.2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