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group method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Optimization of the Flip Angle and Scan Timing in Hepatobiliary Phase Imaging Using T1-Weighted, CAIPIRINHA GRE Imaging

  • Kim, Jeongjae;Kim, Bong Soo;Lee, Jeong Sub;Woo, Seung Tae;Choi, Guk Myung;Kim, Seung Hyoung;Lee, Ho Kyu;Lee, Mu Sook;Lee, Kyung Ryeol;Park, Joon Hyu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optimize the flip angle (FA) and scan timing of the hepatobiliary phase (HBP) using the 3D T1-weighted, gradient-echo (GRE) imaging with controlled aliasing in parallel imaging results in higher acceleration (CAIPIRINHA) technique on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patients who underwent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ur 3D T1-weighted GRE imaging studies using the CAIPIRINHA technique and FAs of $9^{\circ}$ and $13^{\circ}$ were acquired during HBP at 15 and 20 min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gadoxetic acid. Two abdominal radiologists, who were blinded to the FA and the timing of image acquisition, assessed the sharpness of liver edge, hepatic vessel clarity, lesion conspicuity, artifact sever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using a five-point scal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ther radiologist to estimate the relative liver enhancement (RLE) and the signal-to-noise ratio (SN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scores of the HBP with an FA of $13^{\circ}$ during the same delayed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BP with an FA of $9^{\circ}$ in all the assessment items (P < 0.01). In terms of the delay time, images at the same FA obtained with a 20-min-HBP showed better quality than those obtained with a 15-min-HB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ative scores between the 20-min-HBP and the 15-min-HBP images in the non-liver cirrhosis (LC) group except for the hepatic vessel clarity score with $9^{\circ}$ FA.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RLE in the four HBP images (P = 0.012). However, in the subgroup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LE was found in the four HBP images in either the LC or the non-LC groups. The SN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four HBP images. In the subgroup analysis, 20-min-HBP imaging with a $13^{\circ}$ FA showed the highest SNR value in the LC-group, whereas 15-min-HBP imaging with a $13^{\circ}$ FA showed the best value of SNR in the non-LC group. Conclusion: The use of a moderately high FA improves the image quality and lesion conspicuity on 3D, T1-weighted GRE imaging using the CAIPIRINHA technique on gadoxetic acid, 3T liver MR imaging. In patients with normal liver function, the 15-min-HBP with a $13^{\circ}$ FA represents a feasible option without a significant decrease in image quality.

한국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잔여갑상선 제거를 위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에 의한 소변 내 요오드량 감소 분석; 전향적 연구 (Analysis of Urine Iodine Excretion Decrease by Two-Week Stringent Low Iodine Diet for Remnant Thyroid Ablation with Radioactive Iodine in Korea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rospective Study)

  • 최준혁;김훈일;박장원;송은훈;고봉진;천기정;김병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5호
    • /
    • pp.375-382
    • /
    • 2008
  • 갑상선암 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위한 전 단계로 시행되는 저요오드식이는 표준화된 전처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시행방법에 관련된 권고들이 최근 생겨나고 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요오드 섭취가 많은 지역이므로 권장된 요오드 배설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억제시키는 약물의 제한, 조영제가 사용된 경우에서 최소 3개월 이후로 치료 일정을 정하기, 전담 영양사에 의한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식이 요오드섭취가 많은 한국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소변 요오드량이 적정 수준으로 감소하는 지에 대해 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1월부터 외부 병원에서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 받고, 잔여 갑상선 제거 목적으로 고용량 방사성요오들 치료를 위해 본 연구자들의 병원에 의뢰된 환자들 중 recombinant human thyrotropin 또는 levotriiodothyronine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오드 함유 약물이나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제한할 수 있는 약물을 점검했고, 조영제가 사용된 경우 치료 일정을 최소 3개월 이후로 결정하였으며 전담 영양사에 의한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교육을 시행하였다.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24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소변 내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해서 24시간 소변 채집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부군을 대상으로 24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51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모든 환자에서는 24시간 소변 요오드량이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787\;{\mu}g/d$에서 $85\;{\mu}g/d$로 감소가 되었고 74.4%에서 $100\;{\mu}g/d$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소변 채집이 보다 적절한 하부군 14례에서는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505\;{\mu}g/d$에서 $99\;{\mu}g/d$로 감소되었고 78.6%에서 $100\;{\mu}g/d$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잔여갑상선제거를 위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에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했을 때 24 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이 평균 $99\;{\mu}g/d$로 감소하였고, 78.6%에서 $100\;{\mu}g/d$이하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식이 요오드섭취량이 많은 한국에서는 최소 2주 이상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가 고려되어야 하며,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금정산(金井山) 일대(-帶)의 삼림식생분석(森林植生分析)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in Mt. Kumjeong)

  • 윤충원;배관호;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3권
    • /
    • pp.31-44
    • /
    • 1995
  •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식생단위를 찾아내기 위하여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의 경계지역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금정산(북위 $35^{\circ}$03' ~$35^{\circ}$17', 동경 $129^{\circ}$01'~$129^{\circ}$05')의 현존삼림식생을 중심으로 ZM 방식으로 식생분류를 하였고, 아울러 군락의 안정성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금정산 일대의 상림식생은 10개군락, 9개군, 2개소군으로 분류되었다. I. 개서어나무군락(群落)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A. 노각나무군(群) (Stewartia koreana group) I-B. 쥐똥나무군(群) (Ligstrum obtusifolium group) I-C. 초피나무군(群) (Carex humilis group) II. 굴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I. 졸참나무군락(群落) (Quercus serrata community) III-A. 거북꼬리군(群) (Boehmeria tricuspis group) III-B. 전형군(典型群)(Typical group) IV. 등나무군락(群落) (Wisteria floribunda community) V. 신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V-A. 조릿대群(Sasa borealis group) V-B. 그늘사초군(群) (Carex lanceolata group) V-B-1. 족도리소군(小群) (Asarum sieboldii subgroup) V-B-2. 해변싸리소군(小群) (Lespedeza ${\times}$ maritima subgroup) VI. 소나무군락(群落) (Pinus densiflora community) VI-A. 사스레피나무군(群) (Eurya japonica group) VI-B. 전형군 (Typical group) VII. 떡갈나무군락(群落) (Quercus dentata communty) VIII. 소사나무군락(群落) (Carpinus coreana community) IX. 해송군락(群落) (Pinus thunbergii communily) X. 상수리나무군락(群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2. 16개 식생단위중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Eurya japonica group)이 난대림과 온대남부림을 경계하는 지표식생군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노각나무군은 치묘와 치수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상충임관아래에서는 천연갱신이 어려운 종으로 사료되었다. 4. 분류된 식생단위와 해발과의 관계에서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 해송군락은 주로 해발 500m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해발 500m 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식생단위와 지형과의 관계에서는 개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사스레피나무군은 사면중부이하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전형군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해송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은 사면중부이상에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청옥산(靑玉山) 삼림식생(森林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석방법(分析方法)으로 - (A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Mt. Cheongok, Kyungsangpuk-do - by the Method of Phytosociological Studies -)

  • 오승환;윤충원;배관호;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27-39
    • /
    • 1998
  • 조림구역(造林區域) 결정(決定), 각종(各種) 임업작업시(林業作業時) 특별히 보존해야 할 군락(群落)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천이(遷移)의 방향(方向)을 밝힐 목적(目的)으로 청옥산(靑玉山) 일대(一帶)의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종조성(種造成) 차이에 근거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분석법(分析法)으로 삼림군락분류(森林群落分類)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청옥산 일대 삼림(森林) 식생(植生)은 금강소나무군락(群落), 신갈나무군락(群落), 일본잎갈나무군락(群落), 박달나무군락(群落), 졸참나무군락(群落), 물푸레나무군락(群落), 전나무군락(群落), 들메나무군락(群落), 고로쇠나무군락(群落), 층층나무군락(群落), 서어나무군락(群落), 물박달나무군락(群落)으로 구분되었다.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꽃며느리밥풀군(群)과 전형군(典型群)으로 구분되었고,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의 꽃며느리밥풀군(群)은 꼬리진달래소군(小群)과 전형소군(小群)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群落)은 생강나무군(群)과 단풍취군(群)으로 구분되었고 신갈나무군락(群落)의 단풍취군(群)은 전형소군(典型小群)과 큰개별꽃소군(小群)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群落)중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의 꼬리진달래소군(小群)과 들메나무군락(群落)은 온대남부지역(溫帶南部地域) 산림(山林)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군락(群落)이다. 일교법(一敎法)으로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해발 450~1,100m 사이의 사면 상부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군락(群落)이 해발 700m 이상의 지역을 우점(優點)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상부와 능선부에 분포하는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사면중부이하의 금강소나무군락(群落)은 낙엽활엽수림(落葉闊葉樹林)으로 천이(遷移)되어 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균체 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Bacillus anthracis의 동정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for the Identification of Bacillus anthracis)

  • 김원용;송태욱;송미옥;남지연;박철민;김기정;정상인;최철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1-40
    • /
    • 2000
  • Bacillus anthracis, the etiological agent of anthrax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Bacillus subgroup I with B. cereus, B. mycoides and B. thuringiensis based on morphological and DNA similarity. DNA studies have further indicated that these species have very AT-rich genomes and high homology, indeed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se four sub-species be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one species. Sever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obtain good differentiation between these species. However, none of these methods provides the means for an absolutely correct differntiation. The analysis of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was employed as a quick, simple and reliabl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21 B. anthracis strains and closley related strain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B. anthracis and B. anthracis closely related strains in FAMEs profiles. All tested strains of B. anthracis had a branched fatty acid C17:1 Anteiso A, whereas the frac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Iso C17:1 w10c was found in B. anthracis closely related strains. By UPGMA clustering analysis of FAMEs profiles, all of the tested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defined at Euclidian distance value of 24.5. The tested strains of B. anthracis were clustered together including Bacillus sp. Kyungjoo 3. However, the isolates of B. anthracis closely related spp. Rho, S10A, 11R1, CAU9910, CAU9911, CAU9912 and CAU9913 were clustered with the other gro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solates of B. anthracis Bongchon, Kyungjoo 1, 2 and Bacillus sp. Kyungjoo 3 were reclassified as a B. anthracis. It is concluded that FAMEs analysis provides a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B. anthracis from closely related taxa.

  • PDF

An Updated Meta-analysis and System Review:is Gemcitabine+Fluoropyrimidine in Combination a Better Therapy Versus Gemcitabine Alone for Advanced and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 Tu, Chao;Zheng, Feng;Wang, Jin-Yu;Li, Yuan-Yuan;Qian, Ke-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81-5686
    • /
    • 2015
  • Background: Pancreatic cancer ranks fourth in deaths caused by cancers throughout the world. Gemcitabine chemotherapy is the primary method of treatment of advanced pancreatic cancer, and in asco2014, it is still firstline chemotherapy. Howeve,r gemcitabine+fluorouracil regimens are also licensed and widely used worldwide. Clinical trials are the best way to evaluate drug efficacy.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o assess whether gemcitabine+fluoropyrimidine combination therapy improves the prognosis of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compared with gemcitabine treatment alone. Materials and Methods: A quantitative up-to-date meta-analysis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gemcitabine-based combination treatment compared with gemcitabine mon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Inclusion was limited to high-quality randomized clinical trials. Results: A total of 12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analysis, with a total of 3,038 patients recruited. The studie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including 5-FU / CAP / S-1 combined with gemcitabine. For the primary endpoint of overall survival (OS), gemcitabine-based combination therapy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 (HR, 0.88; 95% CI, 0.81-0.95) than gemcitabine monotherapy. The analysis of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lso provided a significant result for the combined therapy in a total of 8 trials (2,130 patients) (HR, 0.74; 95% CI, 0.63-0.86). With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dosing delivery, we found that in the injection group with 3 trials (889 patients), a negative result was found (HR, 0.93; 95% CI, 0.77-1.12); while a positive result was observed in the oral group with 9 trials (2,149 patients) (HR, 0.87; 95% CI, 0.80-0.95). Conclusions: Gemcitabine combination therapy provides a modest improvement of survival, but is associated with more toxicity compared with gemcitabine monotherapy.

Ribosomal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Gliocladium 속과 근연속에 관한 계통 분류학적 연구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Gliocladium and its Related Taxa by Comparing the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5.8S r-DNA)

  • 박주영;김기영;하명규;신용국;박용하;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91-197
    • /
    • 1999
  •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Gliocladium and its related tax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of the sequences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2) and 5.8S ribosomal DNA (rDNA). It was focused especially on the generic concept by comparing with the related genera such as Trichoderma, Hypocrea, Verticillium, Penicillium and Talaromyces. Gliocladium species and its related genu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first group includes Penicillium-like strains such as Penicillium, Tararomyces, Verticillium and one species of Gliocladium (G. cibotii JCM 9203 and JCM 9206). Especially, Gliocladium cibotii JCM 9203 is thought to be the similar species with Verticillium bulbillosum JCM 9214. Between these two species, Gliocladium cibotii and Verticillium bulbillosum, the intraspecies concept needs to examined with culture condition.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second group includes two species Verticillium, Verticillium tricorpus and Verticillium albo-atrum which extracted from the GenBank database in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Trichoderma-like strains, such as Trichoderma, Hypocrea and several species of Gliocladium are included in the third group. Also, Gliocladium penicillioides IFO 5869 and Gliocladium catenulatum ATCC 10523 formed the subgroup of Trichoderma-like strains. The species of Gliocladium were dispersed in Trichoderma-like and Penicillinum-like group, and only one species of Gliocladium cihotii used in our study was located in Penicillium-like genus group. The species of Verticillium appeared in all three groups and the species of Trichoderma formed the monophylogeny with Hypocrea (telemorph). Also, Gliocladium virens was grouped with Trichoderma harzianum with a high bootstrap value, supporting that Gliocladium virens is to be placed in Trichoderma. The results suggest that Gliocladium is polyphyletic, and is more Trichoderma-like than Penicillium-like.

  • PDF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에 의한 표고 버섯 품종간 비교 (Differentiation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by Isozyme Polymorphism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박원목;고한규;박노조;홍기성;김규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176-190
    • /
    • 1997
  • Isozyme PAGE에 의한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에서 수집된 63개의 표고 버섯(Lentinus edodes)품종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여 보았다. NTSYS PC program을 통하여 비교에 사용되어진 3가지 isozyme 즉 esterase, peroxidase, acid phophatase 등은 각각 10, 7, 3개의 isozyme polymorphism type으로 나뉘어질 수 있었고, 이러한 3개의 isozyme type들은 group-average method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었다. 또한 RAPD를 통한 표고 품종간 유연관계 비교는 사용되어진 총 20개의 random primer 들중 3개의 primer(OPA 03, OPA 18, OPA 19)가 품종간 polymorphism을 보였고 사용되어진 전체 random primer의 PCR product들의 집단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사용되어진 두 가지 방법 즉, isozyme polymorphism및 RAPD pattern에 의해 구분되어진 63개 표고 버섯 품종의 subgroup level에서의 절대적인 유사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Yii-Mattila(1996) 등에 의하면 품종간 비교시 isozyme analyses에서와는 달리 RAPD analyses에서는 많은 수의 strain-specific band들이 얻어질 수 있고 이것이 두 방법간의 유사성을 관찰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 PDF

XTR을 가장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확장체 (The Most Efficient Extension Field For XTR)

  • 한동국;장상운;윤기순;장남수;박영호;김창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7-28
    • /
    • 2002
  • XTR은 유한체 GF( $p^{6}$)의 곱셈군의 부분군의 원소를 새롭게 표현하는 방법이며, 유한체 GF( $p^{6m}$)으로도 일반화가 가능하다.$^{[6,9]}$ 본 논문은 XTR이 적용 가능한 확장체 중에서 최적 확정체를 제안한다. 최적 확장체를 선택하기 위해 일반화된 최적 확장체(Generalized Optimal Extension Fields : GOEFs)를 정의하며, 소수 p의 조건, GF(p)위에서 CF( $p^{2m}$)을 정의하는 다항식, GF($P^{2m}$)에서 빠른 유한체 연산을 실현하기 위해서 GF($P^{2m}$)에서 빠른 곱셈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구현 결과로부터, GF( $p^{36}$ )$\longrightarrow$GF( $p^{12}$ )이 BXTR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확장체이며, GF( $p^{12}$ )에서 Tr(g)이 주어질 때 Tr( $g^{n}$ )을 계산하는 것은 평균적으로 XTR 시스템의 결과보다 두 배 이상 빠르다.$^{[6,10]}$ (32 bits, Pentium III/700MHz에서 구현한 결과)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Agitation, Anxiety and Depression in Dementia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채공주;이미경;남은숙;이호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0-530
    • /
    • 2021
  • 목표: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초조행동,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PsycINFO에서 종합적인 문헌검색을 하였고 메타분석에서는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 차이(Hedge's g)와 95% 신뢰 구간은 요약 측정으로 산출하고 랜덤 효과 모델과 역분산 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13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오류 위험 평가를 위한 코크란 평가도구를 근거로 질 평가를 하였다. 결과: 효과 크기(Hedge's g)는 1차 결과 변수인 인지기능 0.31[95% CI:-0.02, 0.65], 초조행동 -0.03[95% CI: -0.17, 0.11], 2차 결과 변수인 불안 -0.61[95% CI: -1.17, -0.05], 우울 -0.44[95% CI: -0.88, 0.00]이었다. 음악중재 유형별 하위그룹 분석 결과 복합음악요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g=0.45[95% CI: 0.03, 0.87])에 유의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악요법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복합음악치료는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