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success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34초

C(Cook)P(Patisserie)C(Certificate)-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analysis of C(Cook)P(Patisserie)C(Certificate)-mentoring Program)

  • 오왕규;임현철;김준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9-1007
    • /
    • 2012
  •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model of CPC-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 mentoring theory and research environment analysis as well as to present the operation ca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lleges. Major research results should use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s utilizing the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CPC-mentoring program by comparing the before with the after of running the CPC-mentoring program of the research objects, comparison group (61 people) and experiment group (33 people). After running the CPC-mentoring program, whether there was a certification's acquisition or not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34.3% (21) and the experiment group 72.7% (24), (p<0.05) was shown. The goal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PC-mentoring program was to help one another in order to obtain certification. moreover, by engaging in mutually developing human relationship activities thru various methods, such as adaptation of college life, development of sociality, graduation, etc., goo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s well as further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was formed. CPC-mentoring program is neither doing only people that want nor being effective for people only that want. A successful matching will naturally lead to all success since mentoring is human relationships is the misunderstanding. The role of a mentoring coordinator(professor) for the operation of a successful CPC-mentoring program and for the application method of detailed CPC-mentoring program was set.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with the counseling guidance (shared and individual guidance) of students, which is the characterization direction of technical department of the college, it is expected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if utilized in a multilateral manner.

오픈마켓의 웹서비스 품질과 사용자 만족 (A Study on the Web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at Open Market)

  • 손영심;서창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113-127
    • /
    • 2013
  • 오픈마켓의 지속적 성장으로 인해 업체간의 경쟁이 예상되므로 높은 품질확보를 통한 기존 사용자의 이탈방지와 새로운 사용자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마케팅분야에서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척도로 사용되던 서비스 품질을 확대하여 오픈마켓에 맞게 e-서비스 품질로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Udo et al.[6]은 정보시스템의 관점에서 Parasuraman et al.[2]의 e-서비스 품질과 DeLone and McLean[7]의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을 결합하여 웹서비스 품질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do et al.[6]의 모형을 기반으로 한 오픈마켓의 웹 서비스 품질 영향요인으로 웹사이트 개인정보보호, 웹사이트 컨텐츠, 웹사이트 편의성 그리고 오픈마켓 이미지를 제안하였다.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대학 내 평생교육원 수강생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네 가지는 모두 오픈마켓의 웹 서비스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웹서비스 품질은 오픈마켓 사용자의 정보시스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s for Overseas Field Training and Overseas Employment to cultivate Global Leaders)

  • 장지연;고경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01-308
    • /
    • 2020
  • 최근까지 해외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관련 연구들은 이론적 고찰, 실태 분석, 해외 노동시장 동향 분석과 같이 주로 노동시장과 관련한 이슈들을 다루어 왔을 뿐 실제로 다양한 국가에 파견되어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업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이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니드(need)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FGI, 성공사례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당자사들의 현황을 심도있게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해 향후 해외취업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이 취해야 할 교육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외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재의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도출된 요구사항들을 체계화함으로써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프로그램에 대한 바람직한 운영지침을 도출하고, 학생들의 현장실습 및 해외취업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정책적 대안들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 이재희;이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9-3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function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independ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self-estimation, career goal, occupational-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on career maturity(preparation, objective, decisiveness, and certainty)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47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D.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measure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SPSS/WIN 19.0)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the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it was shown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 statically relation, in a relation amo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ird,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plan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and provides a basic material to improve one's active role in their par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in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career-counseling centers at schools for enhanci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ccess.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 기반 이-러닝 시스템 (Web-based E-learning System Supporting an Effective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24-535
    • /
    • 2011
  •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이-러닝 시스템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부분적으로만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 평가방법 및 학습내용수준, 다양한 측면에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보다 향상된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기반 이-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자료구조 교과목에 적용한 후 수강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력을 향상시키며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스타일과 교육 방법이 미치는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and Instructional Method in Cyber-home Learning)

  • 한희섭;한선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1-89
    • /
    • 2011
  • 사이버가정학습은 학습자의 학습 영역을 가정으로 확산해 가는 것이 근본 취지이지만, 학교교육과 연계되지 못하면 그 실효성이 미미하다는 것이 연구학교 교사들의 지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함에 있어서 학교교육과 연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 교육방법과 학습 스타일 등 학습자의 학습 요소가 학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보았다. 사전검사결과 사회과의 학력에 차이가 없는 두 개 학급을 선정해 1학기동안 순수한 사이버학습과 블렌디드 학습의 두 형태로 운영을 해보고, 학력 향상에 미친 요소들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검정해보았다. 그 결과 학습 방법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Kolb의 학습 스타일에서 구체적 경험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과 반성적 관찰을 중시하는 학습 스타일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학교교육과 적극적으로 연계되어 활용되어야 하며,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에 맞추어 적합한 학습 콘텐츠가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 PDF

창업지원이 청년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stablished business start - up support Impact on The youth of business performance)

  • 전인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103-114
    • /
    • 2012
  • 본 연구는 지원정책이 청년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강화코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창업자의 교육수준과 창업기업의 성과와 창업지원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창업지원프로그램에 의한 지원성과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이 성공창업패키지에 참가하는 청년창업자 또는 청년예비창업자들에 의해 지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달리할 것으로 보고 지원정책을 연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년창업자들의 특성과 창업지원 정책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정부의 지원정책을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창업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질적인 기술창업이 가능한 공대생을 중심으로 기간은 2012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하였으며, 자료 수집의 방법은 창업프로그램에 참가하였던 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하였으며, 157부를 각각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20대 여성의 미용형태별 건강위해 실태조사 (A Research on the Health Hazards by the Patterns of Beauty Care)

  • 신명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9-149
    • /
    • 2001
  •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beauty industry has flourished. More women than ever before are concerned about make-up, hair care,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etc. With the success and commercialization of beauty industry, unconfirmed beauty care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arket. However, the health hazard from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ddress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1) to examine the utilization pattern of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and 2) to examine the health hazard from beauty care services. For this study, two majo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were selected. While 450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one women's university, the other 450 were from mixed university. Using survey questionnaire, we interviewed with 90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beauty care patterns, makeup accounted for 78.6%, Skin care 49.5%, weight/body control 32.0%, hair care 81.5%, and cosmetic operation 14.9%, indicating significant high rates of makeup(x2=9.215, p=0.002) and hair care(x2=4.435, p=0.035) at both mixed and women's universities. The health hazard was measured using four questions. The past studies have not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ethodological issue of how to ask health hazard. Depending on how to ask health hazar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varied.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short period, over 60% of respondents reported health problems; when they were asked in other ways-1)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long period, 2)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whole body problems, 3) whether or not they had permanent traces on skin due to beauty car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dropped substantially to less than 10%, This finding indicates the importance of ‘words’ used in ques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utilization of beauty care services were examined, using χ2 test or t test.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 and beauty care.

  • PDF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평가 (Pereeption on curriculum reformation and evalution of medical school)

  • 이수곤;정명현;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9권2호
    • /
    • pp.1-12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success in curriculum reformatio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faculty survey. Methods: We analyzed the 105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horn 450 faculties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2, 2005. The interview of focus group was conducted to 105 faculty and students using 10 interview questions from July 25 to August 29, 2005. The data of focus group interview and faculty survey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ile. Results : 66.7% of faculty have pointed out that it is right a direction of new curriculum but there are some problems in curriculum management.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problem in the new curriculum is as follows :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15.3%). deficiency of faculty understanding(10.5%). The faculty comments on the improvement areas of new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 revision (8.6%). efficiency of curriculum management (6.7%), reward and incentive system of education(6.7%). The focus groups pointed out the important factors of curriculum reformation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ity between subjects, improvement of student achievement test, enhanc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responsibility and authorities of course director. Conclusions : It should be concluded. to succeed curriculum reformation, which the purpose of curriculum reformation announces obviously and management group should effort continuously so that professors may understand the new curriculum. The course directors have to responsibility and authorities operating the subjects and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the students' evaluation system and faculty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국내 대학의 영어강의 사례 연구 : EAP과정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English-medium instruction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programs)

  • 김태호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251-2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개설되는 영어강의를 참관하고,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강의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국내 대학에서 개설되는 영어강의의 문제가 무엇인지, 영어강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우선 일부 강좌만 영어강의로 개설하는 부산 소재 국립대학과 전체 강좌를 영어강의로 개설하는 울산 소재 국립대학의 영어강의를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를 전체 강좌를 영어강의로 개설하는 일본 대학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영어강의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강의를 참관하고 분석하였으며, 해당 강의의 교수자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강의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두 대학에서 개설되는 영어강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영어구사력을 영어강의 수강에 충분한 수준으로 높이고, 학습자간 영어구사력의 편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학습자의 영어구사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영어강의 수강을 위한 학문목적 대학영어교육(EAP)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