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Thinking

검색결과 2,674건 처리시간 0.028초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확률적 사고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ability Activities in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정;신애경;이상권;최미화;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87-793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와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확률적 사고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5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을 투입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투입 전에 SRT II와 확률적 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고, 투입 후에 확률적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확률 문제 해결에서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은 주관적 전략과 양적 전략을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전기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은 양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수준의 확률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확률적 사고의 형성을 인지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기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5학년의 산술적 사고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the Students in 5th Grade)

  • 임미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9-108
    • /
    • 2020
  • 산술은 학교수학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계산 숙달의 측면을 넘어서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의미 있게 지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미인, 장혜원(2017b)에서 개발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산술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0명 중 82명이 산술적 사고의 1수준, 15명이 2수준에 해당하고, 0수준, 3수준, 4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각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해당하는 5학년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이 일반적인 예상보다 낮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높은 비율을 보인 1수준, 2수준 학생들이 지니는 산술적 사고의 특징, 오류 유형 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초등 수학에서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것에 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과학교육에서 지구시스템 인식강화를 위한 시스템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The Development and Applying Effects of Systems Thinking Teaching Program for Improving Recognition of the Earth System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3-3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ying possibility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ES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improving of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 earth systematic nature by systems thinking education - for this was the recognizing as earth systematic nature was the key element of ESE, and the systems thinking skill is accredited very effective tool for the understanding with earth systematic nature. For this, the systems thinking's teaching-lear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6th students (21s) for 10hours'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most of the 6th students didn't recognize with earth systematic nature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vapor being in every nature environments. In systems teaching-learning classes, most of students participated positively in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d the aim of a lesson. In the testing results for students' recognition improving to earth systematic nature after the systems thinking education, about 24% students were showed the improving results of the recognition with earth systematic nature.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just as the achieving of the points of ES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approaching method of the systems thinking education is worth attempting to applying of the ESE.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Problem Solving and Posing with Fractions

  • Cheng, Chun Chor Litw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29
    • /
    • 2012
  • One of the important aims in mathematics education is to enhance mathematical thinking for students. And students posing questions is a vital process in mathematical thinking as it is part of the reasoning and communication of their learning.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tudents develop their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working on tasks in fractions and posing their own questions after successfully solved the problems. The teaching was conducted in primary five class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reasoning is related to their analogy with what previously learned. Also, posing their problems after solving the problem not only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roblem, it also helps students to explore on different routes in solving the problem and extend their learning content.

일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영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1-40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86 dental hygiene students in for colleges Jellabukdo from March to June, 2016. The study instru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e instrument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adapted from Yoon and consisted of intellectual zeal/curiosity, prudence, self-confidence, systemicity, intellectual impartiality, sound skepticism, and objectivity. Each question was measured by Likert 5 point scale. Cronbach's alpha was 0.73 in the study. The instrument for self-efficacy was adapted from Kim and consisted of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choice using Likert 5 point scale. Cronbach's alpha was 0.73 in the study.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details of each area showed a strong correlation.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in passion was 0.721 for curios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verall(p<0.01).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물의 순환 학습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System Thinking in Learning of Water Cycle)

  • 김보민;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412-4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system thinking when they learn the unit of "Journey of Water" in terms of four key elements of system thinking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a system, non-linearity and cyclic features, inter-relations and feedback between system properties, and temporal and invisible aspects of a system. Data included students' worksheets and their responses to a set of Likert-scaled and written assessment items on water cy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system thinking did not have any hierarchy in relation to the key elements of water cycle system. In addition, the aspects of individual student's system thinking on its sub-element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there were core ideas of system thinking which were intensively considered according to a given context to understand a complex systemic subject. When students learn water cycle, understanding of non-linearity and inter-relations were weaker compared with other key elements of system thinking. Therefore, if these two factors are taught in advance, it can promote understanding of whole system of water cycle.

열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 -발현의 맥락 및 논리적 사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Features of Intuitive Thinking Emerge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bout Thermal Phenomena: When Intuitive Thinking Appears and How it i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 박준형;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23-53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의 맥락'과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9명에게 열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설명 기저에 있는 사고의 맥락을 총체적으로 탐색 할 수 있는 임상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관적 사고의 특징을 '발현 과정의 특징'과 '발현의 촉진'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직관적 사고의 발현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관적 사고를 통해 해결방법을 먼저 떠올리고 논리적으로 해결방법을 정당화하였으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구체물과 추상적 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 짓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충분하지 않은 정보 속에서 직관적인 예감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갔다. 둘째, 직관적 사고는 의도적인 사고 전략을 통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략으로 그림으로 그려보기, 다른 관점이나 반대로 생각해 보기, 방법을 통합하기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직관적 사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던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를 드러내어 탐색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초·중·고등학생의 천문학적 사고 분석 (Analysing Astronomical Think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Ordered Multiple Choice Items)

  • 최준태;이기영;박재용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5-14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하여 초 중 고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각 3개의 공간적 사고와 시스템 사고 측정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구성하고, 이를 강원도 소재 12개 학교 5학년, 8학년, 11학년 학생 총 1,066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였다. 수집된 학생 응답 자료를 고전 검사 이론의 추리 통계와 문항 반응 이론의 Rasch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적 사고 중 공간적 사고 수준은 천체의 공간 위치와 방향은 파악할 수 있지만 2차원 평면에서의 천체 운동을 3차원으로 변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천문학적 사고 중 시스템 사고 수준은 천체의 운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와 요소 간 연관은 파악할 수 있으나 시스템의 경향성은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사고와는 달리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특정 상황(내용)에서 발현되는 천문학적 사고가 학년에 관계없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천문학적 사고의 상황(내용)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은 학교 수업에서 천문학적 사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과학고생과 일반학생의 차이 (Difference of the science and the general high school for the relation of think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 나동진;김진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69-85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고와 일반고의 사고양식의 차이를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검증하였다. 과학고 122명, 일반고 93명 등 총 2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와 일반고 학생들의 사고 양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고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다양한 사고양식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과학고의 경우, 경로분석을 통해서 지능이 전체 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법적 사고 양식과 군주적 사고양식을 통해서도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끝으로 과학영재의 사고양식의 특성을 통해서, 현 과학영재교육의 개선과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 강철웅;김형범;정진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5-173
    • /
    • 2013
  •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science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ogical thinking test was given to 108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2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61.1% of students wer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in their logical thinking, 27.8% were in their transitional period, and 11.1% were in their formal operational period. By using Flow-Map, 32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 Students' flexibility of cognitive struc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gical thinking and the levels of understanding concepts as well. However, misconception didn'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the characters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y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that as you get higher levels of logical thinking, their cognitive structure to understand concept was more systemized, in order and more logical.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First,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variou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at affec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refore, lesson planning and class should be done by reflecting their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since they had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more systema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