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the Students in 5th Grade

초등학교 5학년의 산술적 사고 수준 분석

  • Received : 2020.01.20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Since arithmetic is the foundation of school mathematics, it needs to be taught meaningfully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students beyond the fluency of computing skil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100 students in 5th grad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As a result, 82 students were at 1st level and 15 students were at 2nd level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rithmetical thinking and types of errors and misconceptions made by the students, and derived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arithmet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산술은 학교수학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계산 숙달의 측면을 넘어서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의미 있게 지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미인, 장혜원(2017b)에서 개발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산술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0명 중 82명이 산술적 사고의 1수준, 15명이 2수준에 해당하고, 0수준, 3수준, 4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각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해당하는 5학년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이 일반적인 예상보다 낮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높은 비율을 보인 1수준, 2수준 학생들이 지니는 산술적 사고의 특징, 오류 유형 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초등 수학에서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것에 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흥규 (1997). Dewey의 지식론과 산술 교육론.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1), 415-434.
  2. 국립국어원 (2020). '산술(算術)'의 정의. 표준국어대사전.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에서 2020년 1월 인출.
  3. 김남희 (1994). 대수적 사고에 관한 고찰 : 산술과의 관련성과 변수개념.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4(2), 189-204.
  4. 김성준 (2002). 대수적 사고의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49-68.
  5. 김성준 (2003). '대수적 사고'와 관련된 선행 연구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년도 수학교육학연구 발표대회논문집, 577-598.
  6. 김윤영 (2016). 연산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 수업의 구현 및 초등학교 학생들의 연산 감각 분석 -나눗셈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도종훈, 최영기 (2003).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수학교육, 42(5), 697-706.
  8. 우정호, 김성준 (2007).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7(4), 453-475.
  9. 이종학 (2014). 산술과 대수 영역의 문장제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1083-109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1083
  10. 이화영 (2011).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임미인 (2017). 산술적 사고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임미인, 장혜원 (2016).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 489-508.
  13. 임미인, 장혜원 (2017a). 산술적 사고의 의미와 요소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7(4), 765-789.
  14. 임미인, 장혜원 (2017b). 산술적 사고 수준의 분석 및 검사 도구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4), 575-598.
  15. 임미인, 장혜원 (2018). 수와 연산 영역에서 부진을 경험한 중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 변화 및 대수적 사고로의 이행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3), 345-365.
  16. 최지선, 박교식 (2009).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4), 513-530.
  17. Amerom, B. A. (2002). Reinvention of early algebra: developmental research o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Utrecht University.
  18. Baroody, A. J., & Dowker, A. (2003).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 concepts and skills: constructing adaptive expertis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 Brownell, W. A. (1947). The place of meaning in the teaching of arithmetic. Elementary School Journal, 47, 256-265. https://doi.org/10.1086/462322
  20. Buswell, G. T. (1950). Study pupil's thinking in arithmetic. The Phi Delta Kappan, 31(5), 230-233.
  21. Dooren, W. V., Verschaffel, L., & Onghena, P. (2002). The impact of preservice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their evaluation of students' strategies for solving arithmetic and algebra problem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5), 319-351. https://doi.org/10.2307/4149957
  22. Fatwa sari, A., & Ernawati, A. (2019). Arithmetic thinking: reflect on the order of operation. Proceeding of the Second Ahmad Dahl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2(1), 13-18.
  23. Filloy, E., & Rojano, T. (1989). Solving equations: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9(2), 19-26.
  24. Guberman, R. (2016).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evalua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appropriat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4), 739-755. https://doi.org/10.1007/s10763-014-9600-7
  25. Leontiev, A. N. (2005). On the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in the child. Journal of Russian and East European Psychology, 43(3), 78-95. https://doi.org/10.1080/10610405.2005.11059248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 Reston, VA: NCTM.
  27. Oliveira, H., & Mestre, C. (2014). Opportunities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in elementary grades throughout the school year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In Li, Y., Silver, E. A., & Li, S. (Eds.), Transforming mathematics instruction : multiple approaches and practice, (pp. 173-197). NY: Springer.
  28. Smith, E. (2007). Representational thinking as a framework for introducing functions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Kaput, J. J., Carraher, D. W., & Blanton, M. L.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133-160). NY: Lawrence Erlbaum.
  29. Steffe, L. P., & Cobb, P. (1988). Construction of arithmetic meanings and strategies. NY: Springer.
  30.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31.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rlando, Fla: Academic Press.
  32. Vergnaud, G. (1979). The acquisition of arithmetical concep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0(2), 263-274. https://doi.org/10.1007/BF00230990
  33. Warren, E. (2003).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2), 122-137. https://doi.org/10.1007/BF03217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