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Thinking

검색결과 2,674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관계 분석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이지애;박수경;김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773-79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중학생 과학영재 110명을 대상으로 사고 양식,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의 특징과 수준을 조사하고,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은 Sternberg가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기능, 형식, 수준, 범위, 경향성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13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사고 양식 검사는 Sternberg와 Wanger (1991)의 TSI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방법검사'로 명명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를, 과학탐구능력은 국내에서 최근 개발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T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과학영재들은 입법적 사고양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자유주의적, 외부지향적, 계급제, 사법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였고 보수주의적 사고양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사고양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변인은 입법적, 계급제, 지엽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큰 변인은 입법적 사고양식인 반면 과두제 사고양식은 부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사고양식 유형 및 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한 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고양식의 유형별 집단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 실험에서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연구 (Case Study on Verbal Interactions of Teacher-Small Group Students in Science Experiments)

  • 성숙경;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5-386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유형화하여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 하고, 학생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모둠학생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상호작용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호작용 유형은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과 기타의 두 범주로 구분하였고,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은 학생의 사고과정을 기초로 한 의견받기와 교사의 사고과정을 기초로 한 도움주기로 분류하였다. 의견받기는 동의와 질문, 교정, 반대가 포함되고, 도움주기는 정보와 힌트, 질문, 정리, 묻고 답하기로 세분화하였 다. 교사-모둠학생 상호작용은 대부분 교사의 질문과 학생의 답변으로 구성되었는데, 교사의 질문은 대체로 추론 형보다는 단순한 답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았다. 또한 학생보다 교사의 사고과정에 더 많이 치우쳤으며, 정답을 제 시하는 한 두 학생과만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결과 교사의 도움주기 후에도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 생들이 종종 관찰되었다. 그러나 교사는 학생의 의견을 반복하여 동의를 표하거나 칭찬을 많이 하여 자신감을 심 어주고 있었으며, 학생의 모든 활동과 질문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누구나 편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었다. 상호작용의 관찰로부터 학생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상호작용 특성으로 동의나 격려의 표현, 생각을 유도하는 힌트의 제시, 학생의 의견을 기초로 한 상호작용, 허용적 분위기, 생각할 시간 제공, 학생 의 잘못된 의견 교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과학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n Life Science I Class)

  • 이정은;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76-491
    • /
    • 2013
  • 과학교육의 목표가 지식의 습득에서 지식 형성과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과학적 사고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으로 과학 글쓰기가 부각되고 있다.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명 과학I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명 과학I 수업에 활용 가능한 6차시의 과학 글쓰기 활동지와 과학적 사고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6학급 224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3개의 학급에는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하고 다른 3개의 학급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총 6차시 실시하였다. 생명 과학 I 수업에 과학 글쓰기 활동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되었고, 과학적 사고력의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귀납적 사고력, 연역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의 4가지 범주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과학적 사고력 영역의 평가 준거별 분석 결과에서는 귀납적 사고력의 경우 평가 준거 '근거'와 '설명'에서 향상되었고, 연역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결론'과 '설명'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비판적 사고력에서는 평가 준거 '주장', '근거', '설명', '반증'에서,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창의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모든 평가 준거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과학 글쓰기 활동을 위한 자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임상추론 교과목의 적용효과: 일 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이주희;최모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bility in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following enrollment in a clinical reasoning course. Methods: A clinical reasoning course utilizing a human patient simulator and scenarios was offered to 22 senior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in Seoul.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was measured with a checklist of 15 items by analyzing students' performance recorded on video tapes for eight scenario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were measur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cours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The high scored items of clinical competence were: 'obtain relevant subjective/objective data', 'interpret vital signs', 'communicate with healthcare providers', and 'utilize standard precautions including handwash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cores following the course were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A clinical reasoning course utilizing a human patient simulator creates a realistic clinical environment for nursing students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obtain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과학기반 심화융합영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활동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based Enrichment STEAM Gifted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 오동주;배진호;박수홍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13-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based enrichment STEAM gifted program on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two science gifted classes of the 5th grade of local Office of Education in B Metropolitan City. One class including 20 students w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ncluding 20 students was comparison group.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lesson unit 'The world of light through science' was practised, the science based enrichment STEAM gifted program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ereas comparison group was taught traditional gifted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based enrichment STEAM gifted program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improvement of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econd, science based enrichment STEAM gifted program was showed to enh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ignificantly.

공과대학생의 종합설계에 대한 창의융합 인식 비교 (The Awareness Comparison about Creative Converged Competence for the Capstone Design among Engineering Students)

  • 윤석범;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5
    • /
    • 2019
  • 졸업 연구작품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게서 인식되는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 및 융합적 사고와 관련된 역량을 파악하였다. 창의적 능력에서는 참여 학과 학생들에게서 다양한 전공 분야의 이해를 통한 아이디어 창출에 대한 부분의 교육에 더 많은 교육과정과 비교과 활동의 운영이 필요하나 전체적으로는 비참여 학생보다는 높은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창의적 리더십 및 융합적 사고에서는 종합설계와 졸업작품을 진행한 학생이 더 긍정적인 면을 보여주었으며 미참여 학과 학생들은 고등사고, 복잡한 현상의 논리적 분석 및 전체적 파악 등에서 창의적 역량이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추론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 안주현;김명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7-31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a the software SPSS version 25.0. Results: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61, p<.001), self-leadership (r=.50,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48, p<.001). Emotional intelligence (β=.46, p<.001), self-leadership (β=.24, p=.002), and age (β=-.15 p=.017)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Adjusted R2=.42). Conclusion: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need to be improved, and the age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level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tends to decrease in students over 31 years old.

An Analysis of Fraction Operation Sense to Enhance Early Algebraic Thinking

  • Lee, Jiyoung;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217-232
    • /
    • 2012
  • While many studies on early algebra have been conducted,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the operation sense as the fundamental element of algebraic thinking, especially the fraction operation sense. This study explored the dimensions of fraction operation sense and then investigated students' fraction operation sense. A total of 183 of sixth graders were surveyed and 5 students who showed high operation sense were clinically interviewed in order to analyze their algebraic thinking in detail.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a tendency to use direct calculation or employ inappropriate operation sense rather than to use the structure of operation or the relation between operations on the basis of algebraic thinking. This study implies that explicit instruction on early algebra is necessary from the elementary school years.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과 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cience STEAM Program Using Storytelling)

  • 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6-1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e use of storytelling in the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eaching plan and worksheet for students using storytelling in STE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students'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by applying the STEAM program using storytelling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Second, the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 score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stud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STEAM program and gain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lesson. Therefore, using storytelling STEAM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scientific attitude and should be widely applied to gifted education.

Education Course Model based on AP CSP For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 Cheon, Eu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71-178
    • /
    • 2019
  • Computational Thinking is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 core literacy required not only for SW major but also for all students including them. It is not a simple computer software education, but a coding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it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in everyday life and to express the process and solutions. However, in the case of students who lack background knowledge on SW and programming languages for development, it is hard to know how to algorithmize problems and express them using computer devi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education course model to improve the students' thinking skills and to express them effectively. In addition, we confirmed whether the non-major students who learned through this education course model can expres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major field by integrating them with computing accidents and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