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Thinking

검색결과 2,674건 처리시간 0.031초

'생각하는 과학' 활동이 중학생들의 기체 분자 운동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활동에 대한 인식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as Particles Behavior Concepts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cognition on Its Activities)

  • 이상권;김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68-7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기체 분자운동'의 개념 이해에 형식적 조작기로의 인지가속을 목적으로 하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사전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이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필요한 논리적 요소로 변인, 비례, 보상, 형식적 모형 등의 4가지 논리를 추출하였다.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 4가지 논리와 관련된 9개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처치한 후에 기체 분자 운동의 수업을 실시하고,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대한 성취도 평가를 하였다. 기체 분자 운동 개념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성취도는 t-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 별 분석에서는 사전 인지 수준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 결과 실험 집단의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성취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도 평가의 논리 별 정답률에서는 변인 통제, 보상, 형식적 모형논리의 정답률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비례 논리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험 집단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활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사고력과 태도 영역이 기체 분자 운동의 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구체적 조작기 후기(2B)의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취도도 높았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와 있지 않는 실험 소재를 다루게 되어 흥미로웠으며 실험 후 토론 시간을 가지면서 연구자가 된 듯한 느낌을 갖게 되어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통해 자신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 같다고 답변하였다.

  • PDF

성별 및 학년 수준에 따른 비판적 사고력의 발달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 Relating Sex, Grade to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황희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240-2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s were 396 junior and 371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nificant grade level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econd, there was a signficant sex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grade level and sex. Third, crit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초등과 중등 예비교사의 사고양식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황순영;강승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90-399
    • /
    • 2009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search, 295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The subjects completed the Thinking Styles Inventory(TSI) and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ventory(CCTDI).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oup in the thinking styles(Type I and Type II). Second,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in the CCTDI. In this result,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in self-confidence sub-scale of CCTDI.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교구와 학습자 수준에 따른 컴퓨팅사고력 향상도 비교 (Comparis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mprovement Based on Teaching Aids and Student's Level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 이영재;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1-39
    • /
    • 2020
  • 소프트웨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특정 환경이나 학습자만을 고려한 경우가 많아 학교현장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인 교구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학습자 수준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활동을 구성하여 소프트웨어교육을 실시하고, 학습자들의 컴퓨팅사고력 향상도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소프트웨어교육 방법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교구와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 컴퓨팅사고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활용 교구에 있어서는 비주얼 프로그래밍과 언플러그드 방식을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이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는 사전검사에서 컴퓨팅사고력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교수·학습활동을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학습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보인다.

중학교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없는 기하문제해결과정 분석 (Analysis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without Dia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윤희;조정기;고은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89-404
    • /
    • 2013
  • 연구자들은 수학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 단순히 완성된 체계를 전달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소박하고 직관적 수준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인 형식화 단계를 거쳐 연역적인 체계로 나아가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제시되지 않은 기하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소박한 기하적 사고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보여준 소박한 사고에는 첫째, 조건과 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부족, 둘째, 시각적 자료에 의존한 직관적 판단의 활용, 셋째, 기하에서 특수한 사례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넷째, 정당화되지 않은 가정의 사용 등이 확인되었다. 이를 교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역시 논의되었다.

  • PDF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퍼즐 기반 컴퓨터과학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정철;김종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183-119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and to confirm the effects. To do so, we selected 2 classes with a similar level of pre-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Jeju Province. After that, from 2 classes, we designated the 5th grade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as group A and designated students of the same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as group B. In a total of 28 sessions during an 18 week period,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Learning Program was used with 31 students in group A, and the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course was used with 25 students in group B.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computational cognition and its creativity, of the students in group A compared to students in group B. Also, this study proved that the Puzzle-Based program correlated with positive changes group A students'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proven effectiveness, we introduce the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문제중심학습법으로 학습한 간호학생의 메타인지, 비판적 사고력,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PBL))

  • 황윤영;박창승;주민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6-15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gree of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BL. Method: The subjects were 140 nursing students who had studied through PBL over three terms at C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0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10.0. Results: The mean score of meta cognition was 40.14 (SD=6.02), critical thinking was 181.46 (SD=14.49), and self-efficacy was 942.93 (SD=167.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 cognition and self-efficacy and age. Also, meta cogni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ropriateness to nursing and interest in nursing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ropriateness to nursing, interest in nursing knowledge, interest in lab on campus and interest in clinical practicu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bout man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ny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 PDF

문장구조 중심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이해력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수준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in Computer Programming Understanding Ability focused on Statement Structures between Genders and Abstract Thinking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 박찬정;현정석;진희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9-80
    • /
    • 2016
  • 21세기 핵심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이 주목받으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 중등학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차이의 원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성별 차이와 더불어 학습결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로서 학생들의 추상적 사고수준에 초점을 두었고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C언어와 러플(RUR-PLE)을 사용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 요소인 추상화(abstraction)의 개념에 초점을 두고 고등학생 587명의 추상적 사고수준을 조사한 후, 다양한 프로그램 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남 여학생들이 추상적 사고수준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남녀학생들 장점은 향상시키면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방법을 제언하였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based AI education program)

  • 이재호;이승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23-7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 프로세스로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초등학생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인공지능의 이해, 공감적 문제발견, 문제 정의, 아이디어 창출, 프로토타입 제작, 평가 및 공유 단계로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사전 사후 검사한 결과 학년별로 컴퓨팅 사고력이 상승했으며, 학생들은 공감적 문제발견에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엿볼 수 있었고,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팀원 간 의사소통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중 하나의 방안으로써 학습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비판적 사고 기술에 관한 종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 신경림;하주영;김건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2-389
    • /
    • 2005
  • Purpose: This longitudinal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4-year baccalaureate program at a university in Korea. Method: The study used a longitudinal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32 nursing students who were completing their 1st, 2nd, 3rd, and 4th year in a baccalaureate program at a selected university was included. The subjects completed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ventory (CCTDI),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CCTST),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peated ANOVA, adjusted p-value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AS 8.12.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ccording to academic year in the CCTDI total mean score (F=7.54, p= .0001) and subscales of Open-mindedness, Self-confidence, and Maturity. Contrari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CTST total mean score and subscales' score except Analysis.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skills, so it will be necessary to repeat a study like this, and the translated instruments should be modified by considering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