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Mental Health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학생정신건강사업 현황 및 관련 교육 요구도: 초중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대상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Mental Health Programs and the Needs for Related Training: Focusing on School Nurses and School Counselors)

  • 진영란;강미경;이윤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26
    • /
    • 2018
  • Purpose: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eenagers in Korea is suicide. Also, it is known that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identified based on the levels of perceived stress or depression is very po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mental health programs in Korea and the associated problems and to explore ways to make the programs more effectiv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15 school nurses and school counsel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associated problems of school mental health programs as well as the need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student mental health. Results: Few mental health programs other than counseling for at-risk students were being carried ou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tudent mental health management were, in terms of management, 'accountability in case of incidents such as student suicide' and 'parents uncooperative in their kid's mental health management (visit to hospital, etc.)' and, in terms of manpower, 'unclear R&R between school nurses and school counselors' and, more fundamentally, 'the lack of human resources.' The need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student mental health were very high and the content required most was 'ways to manage stress of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followed by 'interpersonal conflicts management & conservational skills,' and 'ways to manage student mental illness.' Conclusion: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 mental health programs, we should move on from the current system which focuses only on early discovery and intervention to a more comprehensive system that includes preventive approaches, while having clearer R&R and more workforce dedicated to student mental health programs and attracting more parental cooperation and support.

청소년이 지각한 학교환경과 신체적 .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Related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and Physical . Mental Health)

  • 장영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56
    • /
    • 2000
  • This study is research o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physical and mental symptom at school) in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among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ere selected by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random sampling. The 3,060 subjects were selected 18 schools. The duration for survey was for Nov. 25-Dec. 13, 1998. Th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0.95$. This study use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Factor Analysis in SPSS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significant. (p<0.001). (2) Physical Mental health is related to gender, personal environment, and economic status. (3) Physical Health is related to perceived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 (therapeut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lassrom climat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4) Mental Health is related to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variables(therapeut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lassroom climate, school life satisfaction, teachers' climate, and classmates' attitudes)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counseling, teacher in-service training, student teacher trai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and health policy.

  • PDF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college nursing students)

  • 박성희;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84-8291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 C시의 3년제 과정에 있는 간호대학생을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18.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은 $2.25{\pm}0.65$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은 자기효능감(r=-434, p<.001), 사회적지지(r=-.393, p<.001)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24.7%로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lience, Coping, and Mental Health on Burnout of Student Nurses)

  • 조헌하;강정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99-20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lience, coping, and mental health in relation to burnout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241 student nurses from 2 universities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cheff{\acute{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for burnout in student nurses was 3.01 out of 5 points. Burnout explained 29.2% of the varia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beta}=-.367$, p<.001), coping (${\beta}=.293$, p<.001), mental health (${\beta}=.228$, p=.011), and training hospital (${\beta}=-.198$, p=.026).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research suggest that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burnout student nurses.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for more effective teaching coping methods and strategies and to reduce burnout with nursing practice.

학교상담교사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tudent Mental Health Promotion Enhancement Project Plan-Support Project for School Visits by Mental Health Experts)

  • 강향숙;백형의;이주용;신윤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37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에 대한 학교 상담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학교 상담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 경험 탐색을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업의 효과는 '학교 및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변화', '학교 상담사의 역량 강화', '학교 정신건강 대응 역량 향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업효과의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이 제안한 사업 개선 사항이 정리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 사업의 차별화 방안과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일 지역사회 학생의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Literac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Health Business of among Local Students)

  • 오미정;김민자;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7-4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사회 학생의 정신건강상태, 정신건강지식,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하는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는 '심각한 스트레스'가 31.4%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의 정신건강지식 점수는 40.99점(범위 15-75)으로 다소 낮았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인지여부에서 '들어 본적이 없다'가 45.9%로 가장 많았고, 정신건강사업과 관련하여 정신건강 상담전화에 대해서도 '들어본 적 없다'가 68.3%로 가장 많았고, 복수응답으로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에 대한 정보를 접하는 경로는 '인터넷'이 58.0%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 관리를 위한 정부 예산 증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75.3%로 많았다. 따라서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 인력을 통하여 학생들 수준에 맞는 맞춤형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도박성 게임 경험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 이옥희;서우순;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3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Methods: The study included 260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and collected data from March 1, 2018 to March 31, 201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 Results: First, gambling experience showed high frequency among males (68.5%), 21 years of age and older (45.5%), boarding house (66.1%), and two or more siblings (40.5%). Second, the gambling problem based on the experience of gamb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ademic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gambling control. Third, the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was highly correla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gambling recognition and academic problem. Also, academic problem was highly correlated in order of gambling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effects of gambling experience on the gambling problems were identified as gambling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ambling awareness and mental health. Conclusion: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gambling problem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gambling problem, the government,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should actively promote the harmful effects of gambling and provide regular mental health. education at universities.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유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18-729
    • /
    • 2009
  •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생활지도와 취업지도에 효율적인 관리지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계열 간에는 스트레스요인이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보건계열은 소망대처를 비보건계열은 정서완화 대처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왔다. 정신건강에서 강박증은 보건계열이 공포와 적대감은 비보건 계열이 높음을 나타냈다. 적극적 대처는 편집증과 부적관계를, 소극적 대처는 많은 정신건강 하부구조와 정적관계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적절하지 못했을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 측과 교수는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생활과 취업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사려 된다.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lf-Care App for University Student)

  • 강광순;노선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 설계를 이용하였다. 사용자 중심설계란 대상자에게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해 대상자 요구도 사정-분석-설계-개발-평가-수정 및 보완-적용하는 연구설계이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해 이들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인 음주·수면·우울·스트레스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별 현재 상태에 대한 자가테스트 콘텐츠, 점검 결과 분석 및 알림, 현재 상태에 대한 관리 방안 제시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을 개발하였다. 대상자가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자료를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결과에 대한 정상 혹은 위험 정도를 설명하고 이에 따라 대상자는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영역에 대한 현재 상태를 일자별로 나타낼 수 있는 정신건강자가관리 캘린더와 현재상태를 애니메이션과 상태바를 통해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중심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정신건강 중재로, 지속적이고 더 향상된 프로그램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 개발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시도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 이경민;안은선;전원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4-17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ment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64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software. Results: The mean score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were found to be above and below averag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tal well-being.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mental well-being included self-actualization,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9.1% of mental well-being. Conclusion: Improving self-actualization capability and stress management skills and developing a habit of regular exercise will increase ment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